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통일한국의 농업
저자 : 김완배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04
ISBN : 8952105184
책소개
이 책은 최근 북한 농업의 분야별 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음은 물론 통일 이후 한반도 전체의 농업 모습, 어떤 작목을 어느 지역에서 얼마만큼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를 계량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남북한 농산물의 적정생산 및 지역별 배치를 위한 수리계획모형(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을 개발, 사용하였다. 특히 47개 작목에 이르는 작목별 경작가능면적을 구하기 위해 작물생육환경, 지형, 경사, 토양조건 등 지리적 물성기준을 파악하여 한반도 전체의 농업지리정보시스템(Agricultural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을 구축하였다.
분단에서 완전통일에 이르기까지의 예상되는 과정을 6개 시나리오로 구분하여 시나리오별 적정치를 추정 제시함으로써 향후 남북한 농업교류 및 협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남북한 농업의 보완성을 보다 제고시킴은 물론 통일에 대비한 농업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기술적 측면
2) 경제·산업적 측면
3) 사회·문화적 측면
2. 연구목적
3. 연구내용
1) 남·북한의 농업현황분석
2) 남·북한 농업의 통합 GIS 구축
3) 남·북한 통합생산의 최적화를 위한 수리계획모형 개발
4) 최적화 모형을 이용한 시나리오 분석
4. 연구방법
5. 국내외 연구동향
6. 기대효과
Ⅱ. 남·북한 농업현황
1. 자연 및 사회·경제적 여건
1) 자연지리 및 기후
2) 인구와 행정구역
3) 산업구조와 주요 경제지표
2. 농업생산여건
1) 경제면적 및 재배면적
2) 농가인구
3) 영농자재 수급
3. 농업생산현황
1) 식량작물
2) 채소
3) 과실류
4) 특용작물류
5) 양잠
6) 축산
4. 북한 농업정책의 최근현황
1) 김정일체제하의 농정변화 추이
2) 주요 농정의 내용
3) 북한 농업정책의 향후 전망
Ⅲ. 남·북한 농업지리정보시스템
1. 농업지리정보시스템의 개요와 현황
1) 지리정보시스템의 개요
2) 우리나라의 지리정보시스템 현황
2. 농업 GIS의 구축방식
3. 남·북한 농업지리정보시스템
1) 기본 지리정보시스템
2) 기본 지리정보시스템 분석결과
3) 작물별 생육조건
4) 도별 작목별 재배가능면적
Ⅳ. 남·북한 농산물의 적정배치 모형 개발 미 분석
1. 남·북한 농산물 적정배치를 위한 모형의 개요
1) 적정배치의 목표
2) 시나리오별 적정생산 분석
2. 남·북한 통합생산의 최적화 수리계획 모형
1) 모형결정을 위한 검토
2) 모형 수립
3. 남·북한 농산물의 적정배치를 위한 시나리오
1) 시나리오 Ⅰ: 분단, 교역 없음, 계획경제체제 고수, 식량안보제약
2) 시나리오 Ⅱ: 분단, 교역 없음, 계획경제체제 고수
3) 시나리오 Ⅲ: 분단, 극히 제한된 교역자유, 시장경제체제로 전환
4) 시나리오 Ⅳ: 통일, 제한된 교역자유, 시장경제체제로 전환
5) 시나리오 Ⅴ: 통일, 제한된 교역자유, 시장경제체제로 전환
6) 시나리오 Ⅵ: 통일, 교역자유, 시장경제체제로 전환
4. 계량모형 분석결과
1) 시나리오 Ⅰ 분석결과
2) 시나리오 Ⅱ 분석결과
3) 시나리오 Ⅲ 분석결과
4) 시나리오 Ⅳ 분석결과
5) 시나리오 Ⅴ 분석결과
6) 시나리오 Ⅵ 분석결과
7) 시나리오별 통합분석
8) 지역별 적정생산의 변화 비교
9) 통일 전후의 작목별 적정배치도 비교
Ⅴ. 전망 및 향후 정책방향
1. 남·북한 농산물 적정배치 전망
1) 남북관계와 농산물 적정배치
2) 농업정책목표와 농산물 적정배치
3) 남·북한 농업의 상호보완가능성
2. 향후 정책방향
1) 농업정책 목표의 재검토 및 다양화
2) 통일에 대비한 북한 농업의 효과적 지원
3) 남·북한 농산물의 적정입지에 따른 차별적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