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한국유학의 노자 이해
저자 : 금장태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06
ISBN : 8952107020
책소개
조선시대 도학자들은 기본적으로 『노자』를 도학정통에 어긋나는 이단으로 규정해 왔지만, 이러한 배타적 거부의 대세 속에서도 소수의 학자들은 『노자』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열린 정신의 포용적 자세를 보여 주었다. 이이(栗谷 李珥), 박세당(西溪 朴世堂), 서명응(保晩齋 徐命膺), 이충익(椒園 李忠翊), 홍석주(淵泉 洪奭周). 이들은 유교적 기반 위에서 『노자』를 포용적으로 해석하는 주석서를 저술하여 남김으로써, 배타적 거부로 일관하여 유교사상의 순정성을 고수했던 입장과는 달리, 유교와 『노자』의 상호이해와 소통의 가능성을 탐색하였고, 이를 통해 유교사상 자체도 좀 더 깊고 넓게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이 책은 이이에서 홍석주에 이르는 다섯 명의 유학자가 남겨놓은 『노자』주석서를 통해 유학자의 눈으로 노자사상이 이해되고 수용되는 논리와 쟁점을 점검한 것이다. 이들의 연구를 통해서 조선시대 사상사가 독선적 정통주의에만 사로잡혔던 것이 아니라 유연성과 다양성의 흐름을 간직한 것이었음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목차
머리말
Ⅰ. 『노자』의 ‘도’와 조선시대 유학자의 『노자』 이해
1. 『노자』의 ‘도(道)’개념 인식
1) ‘도’의 개념과 인식
2) ‘도’의 체득과 실현
2. 조선시대 유학자의 『노자』 비판과 이해
1) 조선 전기 유교·불교 학자의 『노자』 비판과 이해
2) 조선 후기 유학자의 『노자』 비판과 이해
Ⅱ. 『순언』과 율곡의 『노자』 이해
1. 율곡의 『노자』 이해
2. 『노자』 이해의 입장과 『순언』의 편성구조
1) 이단에 대한 인식과 『노자』 이해의 입장
2) 편성구조와 체계
3. ‘도’의 체용과 실현·
1) ‘도’개념의 이해와 체용구조
2) ‘도’의 실현과 ‘덕’의 성취
4. 수기(修己): 수양의 원리와 과제
1) 수양의 기반과 원리
2) 수기의 실천방법과 수양론적 과제
5. 치인(治人): 치도의 원리와 과제
1) 치도의 근본
2) 치도의 원리와 과제
6. 율곡의 『노자』 이해가 지닌 의미
Ⅲ. 『신주도덕경』과 박세당의 『노자』 이해
1. 박세당의 『 노자』를 보는 시야
2. ‘도’의 실체에 대한 인식
1) ‘도’의 체용구조
2) ‘도’의 실체와 양상
3. 행도(行道)와 수덕(修德)의 실현
1) ‘도’의 실현과 과제
2) ‘덕’의 실천과 과제
4. 정치의 원리와 과제
1) 무위(無爲)의 정치원리
2) 정치의 과제와 방법
5. 박세당의 『노자』 이해가 지닌 특성
Ⅳ. 『도덕지귀』와 서명응의 『노자』 이해
1. 서명응의 『노자』 이해 시각
2. 『노자』 해석의 입장과 체제
1) 『노자』에 대한 해석 입장
2) 『노자』 해석의 체제
3. ‘도’의 본체와 ‘덕’의 실현
1) ‘도’의 본체와 존재개념의 구조
2) ‘덕’의 실현과 덕목
4. 심법과 양생의 과제
1) 겸허(謙虛)·무욕(無欲)의 심법
2) 양생(養生)의 과제와 방법
5. 치도(治道)의 원리와 과제
1) 무위(無爲)·허정(虛靜)의 치도
2) 군덕(君德)과 치도의 과제
6. 서명응의 『노자』 이해가 지닌 특성
Ⅴ. 『담로』와 이충익의 『노자』 이해
1. 『담로』와 『노자』 이해의 과제
2. ‘도’의 실체로서 ‘유·무(有·無)’의 문제
1) ‘유·무’의 항상함과 상호관계
2) ‘유·무’의 생성현상과 자생(自生)·자연(自然)
3. ‘도’의 작용과 ‘덕’의 실현
1) ‘도’의 양상과 실현
2) ‘덕’의 실현과 수신
4. 치도의 원리와 실현
1) 치도의 원리
2) 치도의 실현과제
5. 이충익의 『노자』 이해가 지닌 특성
Ⅵ. 『정로』와 홍석주의 『노자』 이해
1. 홍석주가 『노자』를 보는 입장
2. 『노자』 해석의 체제와 입장
1) 『노자』 해석의 체제에 따른 견해
2) 노자와 유교의 상관성: 일치와 차이
3. ‘도’의 실체와 ‘덕’의 실현
1) ‘도’의 체용(體用)
2) 수기(修己)와 양생(養生)의 방법
4. 치도의 원리와 과제
1) 치도의 원리: 무위(無爲)와 겸하(謙下)
2) 치도의 과제
5. 홍석주의 『노자』 이해가 지닌 특성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