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탈냉전시대 한국전쟁의 재조명
탈냉전시대 한국전쟁의 재조명
저자 : 한국전쟁연구회
출판사 : 백산서당
출판년 : 2000
ISBN : 8973272330

책소개


001. 서문/박두복
002. [한국전쟁의 해석과 연구동향]
003. 6.25전쟁에 관한 몇 가지 예비적 토론/김학준
004. 전통주의와 수정주의. 신전통주의와 신수정주의
005. 6.25전쟁의 명칭에 관한 토론
006. 냉전의 종식과 연구의 열전/김명섭
007. 머리말
008. 다국사료 교차분석법의 정착과 연구주제의 공간적 확장
009. 전기적 연구물과 자전적 기록물의 증대
010. 연구주제의 시간적 확장: 종전과정과 전쟁 영향에 관한 연구)
011. 문화적 측면에 대한 연구의 확대
012. 꾸준히 축적되는 전투사적 연구와 군사학적 연구
013. 6.25전쟁 관련 사전류의 편찬사업
014. 맺음말
015. 한국전쟁 연구의 향후 과제와 전망/김영호
016. 머리말
017. 한국전쟁의 원인 연구와 향후 과제
018. 한국전쟁의 전개과정에 대한 향후 연구과제
019. 한국전쟁 종전과정과 향후 연구과제
020. 맺음말
021. [한국전쟁의 국제적 기원. 개입과 갈등]
022. 한국전쟁의 국제적 기원-세계적 냉전의 동북아 침투/이완범
023. 문제의 제기
024. 전통주의. 수정주의 논쟁과 전쟁의 국내외적 기원
025. 한반도에서의 미.소 직접대립: 냉전의 출현, 1945~1948
026. 동북아에서의 동서진영 출현: 중국 공산화와 일본 강화
027. 맺음말
028. 중국의 한국전쟁 개입원인-개입결정의 피동적.능동적측면/박두복
029. 머리말
030. 중소관계와 한국전 개입(개입결정의 피동적 원인)
031. '보가위국'과 한국전 개입(개입의 능동적 측면1)
032. 중국의 한국전 개입의 정치적 요인(개입의 능동적 측면2)
033. 맺음말
034. 한국전쟁 기간 영.미간의 갈등-유화론과 강경론의 대립/김계동
035. 머리말
036. 전쟁 초기 영국의 평화적 해결의 모색
037. 중국의 참전과 영국의 '완충지대안'
038. 영미 정상회담:중국에 대한 강경론과 유화론의 대립)
039. 중국의 침략자 규정 결의안에 대한 논쟁
040. 맺음말
041. 전쟁 전개과정에서의 한.미간의 갈등-이승만의 북론과../홍용표
042. 머리말
043. 전쟁 초기 한.미갈등의 형성
044. 휴전회담과 한.미갈등의 심화
045. 맺음말
046. [한국전쟁과 남북한 국가체제 형성]
047. 한국전쟁과 남한의 국가형성-재정분석을 통한 역사사회../서주석
048. 문제의 제기
049. 전쟁과 국가형성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논의
050. 한국의 전쟁. 국가형성 이해를 위한 재정분석
051. 결론 : 한국에서의 전쟁. 국가형성과정 시론
052. 한국전쟁과 북한체제의 변화-전시생산체제와 지방통치../서동만
053. 머리말
054. 전시산업체제로의 이행과 전시노동입법
055. 전시농업 생산체제
056. 체제의 동요와 지방통치체제의 개편
057. 전후 사회주의건설에서의 함의
058. 한국전쟁이 남북한관계에 미친 영향-김일성의 반미의식../홍용표
059. 머리말
060. 한국전쟁 이전 남북 상호인식의 형성
061. 한국전쟁 이후 김일성의 반미의식
062. 한국전쟁 이후 이승만의 반공의식
063. 맺음말
064. [한국전쟁과 한반도의 평화. 통일]
065. 북한통치의 반성-1950년 가을/라종일
066. 머리말
067. 세계시민전쟁
068. 강대국 정치
069. 점령과 통치
070. 문제
071. 한국전쟁과 한미상호방위조약/온창일
072. 중공군의 한국전 개입과 새로운 전쟁
073. 군사적 승리 대신 정치적 타협안 모색
074. 미국의 전쟁재발 억제구상과 이승만 대통령의 대미동맹
075.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한미동맹관계의 발전
076. 휴전협정의 평화체제화-남북협상의 의사성과 대안적 제안/허만호
077. 머리말
078. 한국전쟁의 제한과 휴전체제의 성립
079. 휴전체제 운영의 파행과 쟁점
080. 휴전체제의 정상화와 평화체제로의 전환방안
081. 맺음말
082. 한국전쟁과 한반도 안보구도의 변화/서주석
083. 한국전쟁의 영향과 한반도의 안보문제
084.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반도 안보구도의 재편과정
085. 한국전쟁 이후 한반도 안보구도의 형성과 변화
086. 한반도 정전체제와 평화체제 수립방향
087. 한반도 냉전구조의 해체-국제적 탈냉전의 유형과 선택적./김계동
088. 머리말
089. 국제적 탈냉전의 유형
090. 한반도 냉전종식 방안
091. 당사자 플러스 다자적 접근:포괄적 신뢰구축
092. 맺음말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