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표준화 교육에서 복잡성 교육으로 (지식, 학습, 교수의 진화사)
표준화 교육에서 복잡성 교육으로 (지식, 학습, 교수의 진화사)
저자 : 브렌트 데이비스^데니스 수마라^리베카 루스-케이플러
출판사 : 교육과학사
출판년 : 2021
ISBN : 9788925415963

책소개

이 책은 오늘날 공교육의 지형을 규정하고 있는 다양한 이념과 실천현장을 탐색한다. 앞서 번역한 [Engaging Minds] 제2판과 달리 [Engaging Minds] 제3판은 형식교육의 프레임을 다음의 4단계(moments)로 구분한다.

표준획일화교육(standardized education): 이 프레임은 17세기 대중교육 사상이 나타나면서 산업화, 도시화, 제국주의 등의 현상들과 문화적으로 맞물리기 시작한 때를 기점으로 출발하였다.
개별진정성교육(authentic education):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인간의 뇌와 지각의 복잡성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나타났다.
민주시민성교육(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1960년대 인권운동 이후 부각되었으며, 학교가 사회불평등과 부정의를 재생산(혹은 영속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더욱 힘을 받기 시작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오늘날 공교육의 지형을 규정하고 있는 다양한 이념과 실천현장을 탐색한다. 앞서 번역한 <Engaging Minds> 제2판과 달리 <Engaging Minds> 제3판은 형식교육의 프레임을 다음의 4단계(moments)로 구분한다.



·표준획일화교육(standardized education): 이 프레임은 17세기 대중교육 사상이 나타나면서 산업화, 도시화, 제국주의 등의 현상들과 문화적으로 맞물리기 시작한 때를 기점으로 출발하였다.

·개별진정성교육(authentic education):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인간의 뇌와 지각의 복잡성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나타났다.

·민주시민성교육(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1960년대 인권운동 이후 부각되었으며, 학교가 사회불평등과 부정의를 재생산(혹은 영속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더욱 힘을 받기 시작했다.

·체계지속성교육(systemic sustainability education): 광범위한 인식론적 전환을 배경으로 탄생했는데, 기계적 사고에 기반한 산업사회의 맥락이 서서히 물러가고 생태학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기반사회가 싹트기 시작하면서 실체적 힘을 얻기 시작했다.



이 네 단계에 따라 이 책은 4부로 구성되었다. 각 부마다 각각 이런 프레임의 역사, 인식론, 그리고 교수방법 등을 설명하는 3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이 책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읽을 수 있는데, 하나는 수평적 차원에서 4개의 단계들을 하나씩 읽어나가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수직적 차원에서 각각의 역사, 인식론, 교수방법 등만 골라 따로 읽는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일러두기 3



들어가며 11

이 책의 구조 14

왜 언어에 주목하는가 17

용어의 문제 20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23



제1부 표준획일화교육

1.1 표준획일화교육의 출현 27

근대 학교의 전신으로서의 고대 교육 30

학교의 목적에 대한 대립된 주장들 33

근대학교의 전신으로서의 종교기반 교육시설들 37

산업화와 표준화 40

중산층의 등장-모두를 위한 교육 43

결론적으로 46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48



1.2 표준획일화교육 모형에서의 지식과 학습 49

지식이란 무엇인가? 51

규율과 질서: 지식의 숨은 기하학 56

학습이란 무엇인가? 61

학습자는 누구인가? 68

지능이란 무엇인가? 73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76



1.3 교수활동과 표준획일화교육 77

교사 역량 86

수업 계획하기 87

학생 평가하기 93

학급 관리하기 97

교과내용 알기 99

연구가 주는 함의 101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108



제2부 개별진정성교육

2.1 개별진정성교육의 출현 111

어떻게 변화가 일어나는가? - 새로운 관점의 탄생 115

학습은 진화하는 정합성 119

발달은 정합성의 진화과정 124

관념에서 실제로 128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131



2.2 개별진정성교육 모형에서의 지식과 학습 133

그렇다면, 지식은 무엇인가? 138

당신이 안다는 것을 알 수 있을까? 144

학습 150

발전하는 학습자 155

능력 159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163



2.3 교수활동과 개별진정성교육 165

어떻게 우리는 제대로 가르칠 수 있을까? 168

표층학습과 심층학습 171

‘의식적 연습’과 메타인지 176

피아제의 보존개념 182

진정성 평가 188

교사의 교과지식 191

연구를 통해 들여다보기 194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195



제3부 민주시민성교육

3.1 민주시민성교육의 출현 199

편파성, 윤리성, 다양성 202

참여와 의식화 209

네버 엔딩 프로젝트 216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218



3.2 민주시민성교육 모형에서의 지식과 학습 219

집단성과 앎 222

상황적 앎과 학습 229

존재하기, 참여하기, 의식적으로 참여하기 239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245



3.3 교수활동과 민주시민성교육 247

학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250

교수활동의 내용 및 방법으로서의 집단성 254

상황적 교수활동의 테크놀로지 260

다양성 (그리고) 교육 266

비판 교수학 270

매우 진보적인 반응들 276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278



제4부 체계지속성교육

4.1 체계지속성교육의 출현 281

시스템적으로 사고하기 284

서브퍼스널(subpersonal)과 수퍼퍼스널(superpersonal) 300

결국은… 304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306



4.2 체계지속성교육 모형에서의 지식과 학습 307

과잉행동의 초현상성 310

양극화된 담론 재사유화 314

이 프레임에서 지식과 학습이란 무엇인가? 321

첨단의 초현상 연구 324

테크놀로지라는 특이 사례 333

프랙탈(홀로그래픽) 의식 338

종합해보자면… 345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346



4.3 교수활동과 체계지속성교육 347

교수활동은 개별의식을 집단적으로 확장하는 일 352

디자인된 것과 창발하는 것 사이 355

테크놀로지, 의식, 그리고 교수활동 363

관계를 신뢰하고 경험을 연결하기 369

이것은 정말로 새로운가? 374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378



나오며 379

준비… 땅! 388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389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