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손진태의 문화인류학 (제국과 식민지의 사이에서)
손진태의 문화인류학 (제국과 식민지의 사이에서)
저자 : 전경수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10
ISBN : 9788928500512

책소개


저자는 이 책에서 손진태에 대한 오해 계보를 밝히고, 그러한 오해의 원인이 어디에서 발생되었는지에 대해서 논의해보고자 한다. 학사는 학문사와 학설사로 대별될 수 있는데, 학설사는 해당 학문의 내포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반면, 학문사는 외연관계에 대하여 관심을 집중시켜야 한다. 그 과정에서 개별 학자들에 대한 각론적인 업적평가가 이어지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제 그 각론各論의 첫 번째 주자로서 손진태를 선택한 것이다.

본서의 제목을『손진태의 문화인류학』으로 명명한 데에는 특별한 이유가 전제되어 있다. 손진태가 학문 활동을 왕성하게 하던 시기에는 잘 사용되지 않았던 “문화인류학”이란 단어를 채용한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하나는 그가 이룩해 놓은 연구업적들의 대부분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문화인류학이란 학문 분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고, 다른 하나는 해방직후 조직되었던 ‘조선인류학회(위원장:이극로)’의 산하에 세 가지의 중요 부분이 배치되었었다. 즉 체질인류학부는 나세진이 맡았고, 문화인류학부는 손진태가 맡았으며, 고고학부는 김재원이 담당하였다(전경수, 1999.12.25:127).” 새롭게 학문을 정립하고, 학문발전을 위한 진용을 구성함에 등장한 ‘문화인류학’의 책임을 손진태가 맡았다는 공개적이고도 공식적인 학회의 표현에서 그 정당성을 찾고자 한다.

목차


머리말
사진목차

1장 서론
:학문사의 필요

2장 생장과 학문연구
:인류학자의 길

3장 사부師父 니시무라 신지와 ‘조선朝鮮’
:문제의식의 형성

4장 손진태에 대한 평가 계보

5장 남창학南滄學의 정체성
:토속土俗에서 민속民俗으로

6장 ‘민족民族’ 용례
:타자他者에서 주체主體로

7장 방법론으로서의 비교比較와
구제민속지救濟民俗誌

8장 학문환경과 ‘역사민속학’

9장 결론
:식민지적 혼종성과 인류학사

부록
1:『朝鮮民譚集』과『우리의 민속과 역사』 채보 일람
2. 주제별 텍스트 분석(소도와 돌멘)
3. 孫晉泰 著作目錄?件, 연대순)
4. 孫晉泰 關聯 寫眞 資料

後註
參考文獻
찾아보기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