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오키나와 문화론 (미군기지와 촌락공동체)
오키나와 문화론 (미군기지와 촌락공동체)
저자 : 진필수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11
ISBN : 9788928502240

책소개

『오키나와 문화론』은 2008년 2월, ‘미군기지와 오키나와 촌락공동체: 지속과 재편’이라는 제목의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하고 다듬어 엮은 책이다. 미군기지와 촌락공동체의 두 가지 화두를 가지고, 오키나와 문화, 역사, 사회구조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시도하고 있다. 전후 미군기지의 존재가 촌락공동체의 지속성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일러두기

머리말



제1장 서론

1. 문제제기와 연구가설

2. 선행연구의 검토와 연구의 의의

3. 연구 대상과 방법



제2장 오키나와 촌락공동체 연구의 성과와 쟁점 - 나카마츠 아슈의 촌락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시마의 구조에 대한 연구 필요성

2. 고류큐시대 촌락공동체의 형성과 구조 : 신앙체계와 제사조직의 구조

3. 근세 촌락공동체의 구조 : 제사조직[神], 지역조직[地], 혈연조직[血]의 구조

4. 근대 이후의 촌락공동체 : 종교적 신앙과 제사조직의 해체

5. 시마의 지속과 재편의 힘



제3장 촌락공유지의 변천사를 통해서 보는 미군기지

1. 촌락공유지에 새겨진 지역사

2. 근세의 촌락공유지와 공간구조 : 소마야마 산山를 중심으로

3. 토지정리법의 시행과 소마야마의 불하

4. 패전과 미군기지의 건설

5. 일본복귀와 군용지료의 상승

6. 경제적 구심력으로서의 군용지료



제4장 군용지료와 지연조직의 이원화

1. 쿠와 '부락민회'의 구성원리 및 기능

2. 지역경제와 기지의존성

3. 군용지료의 유입경로와 배분구조

4. '부락민회'와 쿠

5. 두 얼굴의 시마 : 열린 공동체 속의 닫힌 공동체



제5장 군용지료와 지역활성화

1. 지연조직의 활동 양상과 지연의식의 재생산

2. 쿠와 쵸의 관계

3. 연합과 경쟁의 위계구조

4. 지연적 인간관계와 시마의식

5. 한과 쿠시유쿠이

6. 각종단체와 청년회 에이사

7. 쿠조직과 무라아스비

8. 킨ㆍ나미사토 줄다리기와 대자화된 시마의식

9. 쿠 외부행사에 대한 주민 참여와 시마의식의 성격

10. 세 가지의 정체성 : 일본인, 우치난츄 그리고 시망츄



제6장 군용지료 재판과 촌락공동체의 혈연적 구성원리의 재편

1. 재판의 경위 : 부계원리와 성차별의 문제

2. 재판사례의 문화론적 의미와 분석틀

3. 소송당사자들의 목표와 관계들

4. 소송의 문화적 배경 : 시마의 혈연적 구성원리

5. 경합되는 문화적 규범과 사실들 Ⅰ : 관습과 법의 불일치

6. 경합되는 문화적 규범과 사실들 Ⅱ : 관습의 '합리성'에 대한 판단기준

7. 경합되는 문화적 규범과 사실들 Ⅲ : 과거의 '합리성'과 현재의 '합리성'

8. 시마의 전통 : 오래된 규범과 새로운 규범의 조화



제7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