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한국연희예술사 (유사한 중국.일본의 연희를 살피며)
저자 : 윤광봉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16
ISBN : 9788928508686
책소개
우리의 전통연희를 살피면서 한·중·일의 교류는 매우 밀접할 수밖에 없음을 다시 실감하게 된다. 하지만 지금 한·중·일 관계는 참으로 묘하게 돌아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한일관계는 정말 심하다 할 정도로 서로를 불신하고 있다. 진정한 교류는 진실과 신뢰의 관계에 있을 때 이뤄진다. 나보다 못한 다른 존재라는 통념으로 한 단계 아래에 놓고 보니, 서로가 불신 하게 되는 것이다. 빨리 한일관계가 욘사마 시절처럼 회복되었으면 좋겠다. 우리 한국 연희예술사의 서술에서 불교의 영향은 대단하다. 모든 연희의 바탕에는 불교라는 맥이 어디든 스며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서는 중세의 경우,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가 중국으로 건너가 불교를 융합한 각종 잡희를 창출하고, 또한 이러한 연희물들이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연행이 되었고,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어떻게 변용이 되었는가도 살폈다. 또한 근세에 이르러 일제 강점기에 강제로 이입된 일류日流와 21세기에 들어 일본을 강타한 『겨울연가』 같은 한류韓流가 어떻게 흐름을 타고 서로를 감동시켰으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통연희인 소리극唱劇과 마당극 그리고 나라 제사인 종묘제례악과 사직제의 무대현장을 찾아 살펴보는 것으로 마감을 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서장
1. 전통연희와 민중
2. 놀이演戱와 예술
3. 연희와 정치
4. 한국연희예술의 시대적 구분
제1부|상세 원시 가무시대
1장 제사와 연희 그리고 예술화
1. 제사와 연희
2. 원시가무와 예술화
3. 동이족 고조선-한류를 펴다-
2장 고조선의 연희-신시神市의 환무還舞와 최초의 서정시가 공무도하가-
3장 부여 및 삼한(마한·진한·변한)의 연희
1. 삼한의 풍속과 가무
4장 신화와 축제-수로왕과 허비-
제2부|삼국(고구려·백제·신라) 및 남북국 (통일신라·발해)시대
고구려 -
1장 고구려의 신사와 사원
2장 수당시대와 고구려악무
3장 장의葬儀예술로서의 고구려 연희 -『고구려 문화사』를 중심으로-
1. 『고구려 문화사』로 본 연희예술
4장 8,9세기의 한일 불교관계와 악무
백제 -
1장 삼국사기로 본 백제악
2장 백제와 일본의 불교 교류
3장 행도行道와 행상行像
신라 -
1장 융합문화로서의 신라악무
1. 신라와 국제교류
2. 신사와 가무
3. 향악과 잡영
2장 최치원이 본 신라의 놀이
1. 최치원과 연희 다섯 마당
2. 송석하가 본 신라의 산예
3. 중국의 사자무
4. 일본의 사자와 고마이누?犬
3장 무애희와 일본의 염불춤
1. 무애희와 일본의 염불춤
2. 무애와 박
3. 화엄사상과 원효
4. 무애희의 변이과정
4장 검무희劍舞戱
1. 검무의 유래-중국의 검무희-
2. 한국의 검무희劍舞戱
5장 처용가무와 종규鐘?
1. 처용과 종규鐘?
2. 처용가무와 기악·나례儺禮와의 연계성
3. 처용가무의 변이양상
6장 신라 사원의 연희 공간과 기악
1. 탑돌이와 창도
2. 신라스님들의 혜학과 가무
3. 화청和請과 창도唱導
발해 -
1장 발해와 연희예술
제3부|상세 한중일의 사정
1장 한·중·일의 세시와 연희
1. 남북조시대(중국)
2. 헤이안平安시대(일본)
3. 삼국 및 남북국시대(한국)
2장 삼국 악무와 중국의 산악-7세기~12세기를 중심으로-
1. 문화의 속성
2. 불교전래와 악무
3. 일본에 전해진 우리 악무
4. 이츠크시마신사의 악무
5. 고마찌카자네?近眞(1177-1242)의 『교훈초』와 삼국악무
6. 승부악무-우리의 씨름·말타기·활쏘기 등을 생각하며
7. 산악과 백희(중국편)
3장 불과 물의 행사-슈니에修二會-
1. 슈니에와 설화
2. 나라시대의 불교 정황-聖武천황(724-749집권), 孝鎌천황(749-782집권)과 奈良불교-
3. 의례절차
4. 회과작법悔過作法
5. 주사呪師의 역할과 연희
6. 달타達陀를 중심으로 한 제설
7. 십일면관음신앙과 관련하여-『관음신앙』
8. 제설과 민속적 의미
4장 기악伎樂(印流)의 제 양상과 변이
1. 나례와 기악
2. 기악이 뭐길래
3. 기악과 산악
4. 불교와 기악
5. 인도무印度舞-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바라문무婆羅門舞·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6. 기악은 태교음악으로부터
7. 법화경과 기악
8. 비천과 기악(돈황과 구자벽화)
9. 한국의 비천
10. 기악의 변이變移
11. 기악과 사자무(印流에서 華流·韓流·日流로)
12. 백제기악의 복원 문제
중세
제4부|고려시대
1장 왕조 교체기의 한중일의 사정
2장 고려시대의 연희 사정
1. 희극戱劇예술의 아쉬움
2. 불교와 연희-중국·일본을 아울러 살피며-
3. 중국 연희의 수입과 전수
4. 불교행사와 그 외 연희
3장 궁중연희 아악·당악·속악
1. 송·원대의 사정
2. 일본의 사정
3. 고려의 당악과 속악
4. 종묘제례악무
4장 잡극 쌍화점-송원대의 잡희와 대곡 가부키를 살피며-
1. 송·원대의 연희
2. 속악 속의 쌍화점
3. 헤이안시대의 대곡大曲 가부키
5장 팔관회 의식에 나타난 연희 양상
1. 사록史錄에 나타난 팔관회의 서정
2. 시문으로 본 팔관희八關戱
3. 하표와 치어致語로 본 백희百戱 그리고 사선무四仙舞 모습
4. 법왕사와 강경
5. 채붕 산대
6. 팔관회 재현시 되돌아 볼 연희
6장 치어로 본 연등회의 풍경
7장 중세 한일 불교의식과 연희 양상
1. 격변기의 동아시아
2. 불교의 유입과 왕권강화
3. 삼국의 중세 불교연희 공간
4. 궁정과 사원에서의 뒤풀이
5. 일본사원의 뒤풀이
6. 엔넨의 연출 모습
7. 두 행사 연희의 차이점
8장 사원 뒤풀이 속칭 땅설법인 삼회향三回向
9장 강경講經과 창도唱導
1. 강경과 설경
2. 강경과 창도의 변용
3. 적산원赤山院 강경의식과 신라사원 의식
4. 강경의식 절차
5. 팔관회의 의식과 창도
6. 영산재와 수륙재
10장 이색李穡이 본 고려 연희
1. 풍속의 시인 이색
2. 이색이 본 고려연희
11장 처용무와 티베트 참무
1. 고려의 처용무
2. 티베트西藏 악무
12장 고려의 무속과 연희
13장 중세 동아시아의 괴뢰희 양상-천민 계층과 관련하여-
1. 격동의 시기
2. 삼국의 시대적 양상
3. 천민과 연희
4. 괴뢰희 제양상
5. 천민의 아픔을 되새기며
14장 고려 연희를 마감하면서
1. 중세의 연희관
2. 한중일의 연희와 정치
3. 불교와 권력자
제5부|조선시대
1장 예악禮樂의 나라 조선을 열며
1. 예악의 정비
2. 한글 그리고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와 삼재三才
3. 사신을 위한 거리축제
4. 15세기 말엽의 서울 풍경
5. 중·일의 사정
2장 중세 동무童舞양상
1. 동무童舞의 연원
2. 조선조의 무동
3. 일본의 동무童舞
3장 성현이 본 15세기 서울의 연희 풍경
1. 풍류가 성현과 『악학궤범』
2. 『용재총화』에 녹아난 서울의 서정
중근세
4장 16~17세기 동아시아의 인형극
1. 중국의 경우
2. 한국의 경우
3. 일본의 경우
4. 하치만신과 인형극
5장 중세 굿놀이 풍경-시로 본 조선 무속과 연희-
1. 시에 보이는 무풍巫風
6장 18,9세기 서울의 연희 양상
1. 18,9세기는 예술문화의 격변시기
2. 한양을 중심으로 한 놀이양상
3. 「남성관희자南城觀戱子」로 본 18세기 연희공간과 산대놀이
7장 검무희의 활성화 시대
1. 「관공손대랑제자무검기행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의 여파
2. 검무가 있는 서정
8장 연행자演行者(배우)와 즐기는 자(관객)-신위와 송만재를 살피기에 앞서-
1. 일본의 경우
2. 중국의 경우
3. 한국의 경우
9장 송만재의 판소리 열두마당과 신위가 본 연희 마당
1. 과거합격을 축하하기 위한 연희 마당-목소리 털기 영산선성靈山先聲-
2. 본사가本事歌 열두마당
3. 송만재가 본 소리꾼唱者들의 양상-소리, 발림-
4. 신자하가 본 판소리 연희 마당
10장 『관우희觀優戱 서序·발跋』로 본 송만재의 연희관
1. 다양한 연희에 대한 열정과 심미안
2. 악樂과 운韻 그리고 창우唱優와 극희劇戱
3. 관우희의 연희예술사적 공로
11장 19-20세기 초 서울의 연희 양상
1. 흥행예술로서의 판소리
2. 신재효의 울력
3. 기완별록奇玩別錄으로 본 광화문 앞 연희행사
12장 지방에서 궁중으로 들어온 잡극-항장무
제6부|근세
1장 개화기의 기로에서
1. 유길준의 연희에 대한 관심
2. 홈스가 본 1901년의 서울
2장 「죽지사」로 본 속악유희俗樂遊戱
1. 죽지사의 내력
2. 매화산인梅花山人과 죽지竹枝
3. 속악유희의 서정-나산붕儺山棚 외
3장 일제강점기의 연희 양상
1. 근대화의 몸살과 외세개입
2. 파란 눈에 비친 한국의 놀이
3. 근대를 향한 유혹과 식민지적 갈등
4. 1930년대 이후의 짧은 희망과 긴 절망의 세월
5. 일제의 발악과 놀이에 대한 대책
4장 비운의 왕 그가 본 마지막 정재-『처용무』, 『보상무』, 『무고』, 『춘앵전』, 『봉래의』-
5장 1920, 30년대의 신파극의 동향과 장한몽
1. 1920, 30년대의 연희계 동향
2. 막간극과 흥행
3. 장한몽의 인기
4. 창작계기의 기폭제
6장 연희예술론의 대두
1. 마당놀이 담론시작
2. 봉산탈춤을 보고
현대
제7부|해방 이후 공간기와 현대
1장 잊혀진 사람 그리고 동족상잔의 비극
1. 김삼불金三不과 판소리
2. 6·25전쟁과 대중가요
2장 서커스로 본 대중연예
1. 서커스의 추억
2. 동춘서커스단
3장 전통연희와 변용
1. 전통예술에 대한 관심-중요무형문화재 지정-
2. 사당패와 심우성沈雨晟
3. 올림픽과 무형문화 연희예술
4장 마당놀이의 역사적 전개-20년사를 되새기며-
1. 마당놀이의 새로운 패러다임
2. 민예극장과 마당놀이
5장 전통연희와 충직이들
1. 마지막 광대 이동안
2. 승무 그리고 한량무·배뱅이굿
6장 지방민속예술과 경연대회-1990년대 초-
1. 민속예술공연(담론)
2. 마을 중심의 놀이 개발 촉구
7장 굿놀이와 예술-명무전과 산대놀이-
1. 굿놀이와 예술
2. 굿놀이의 신선성-도교와 관련하여
3. 명무전名舞展
4. 지화紙花와 연희
5. 양주별산대놀이와 소놀이굿
8장 겨울연가冬のソナタ의 신드롬
1. 한류의 등장
2. 겨울연가와 일본
3. 겨울연가의 매력
9장 한국연희문화의 다원화 시대
1. 고전의 재해석-소리극-
10장 끊임없는 변신-농악·사물놀이 그리고 난타·아리랑-
1. 농악
2. 사당패 명인 송순갑
3. 사물놀이·난타 그리고 아리랑-전통과 응용-
11장 한국사회의 변화와 문화충격
1. 변화의 주체
2. 무엇을 변화시킬 것인가
3. 양극화로 인해 중산층이 무너짐
4. 소통의 절규
12장 21세기 초 서울의 연희문화
1. 융합의 서울
2. 한 동네의 연희 현장 풍경-분당의 파크콘서트를 보며-
3. 전통연극의 소재 넓히기 엿보기
13장 국가제사와 악가무-종묘제례와 사직대제-
1. 국립국악원의 무대예술화 작업
나오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