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종교와 세시풍속
종교와 세시풍속
저자 : 편무영|구미래|윤동환|김영수|윤인선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16
ISBN : 9788928509164

책소개

종교민속학에서는 동아시아를 한자문화권의 좁은 의미가 아니라, 아시아의 동부지역이라는 본래의 의미로 되돌려놓고 종교민속 전반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종교와 세시풍속』은 불교적 세시풍속이나 유교적 세시풍속, 도교적 세시풍속, 기독교적 세시풍속을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조사하고 분석한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종교민속연구총서 8집의 주제인 ‘세시풍속’과 3집의 주제인 ‘일생의례’는 여러 모로 짝을 이룬다. 세시풍속이 자연의 순환이라면, 일생의례는 인간 삶의 순환이라 그러하다. 인간의 삶은 순환이 아니라 직선인 것 같지만 나고 죽는 존재의 이어짐과, 거대한 인드라망으로 얽힌 관계를 보면 결코 직선의 삶이 아니다. 세시歲時라는 자연의 순환을 거듭하며 꾸려가는 일생一生은 그래서 늘 새로운 나날이다. 변함없이 돌아오는 사계절이지만 인간 삶의 변화 속에서 맞는 것이라 언제나 새롭고, 지난 해 봄비가 지금의 것과 같을 수 없듯이 자연의 순환 또한 그 자체로 늘 경이롭다.

종교민속학에서는 동아시아를 한자문화권의 좁은 의미가 아니라, 아시아의 동부지역이라는 본래의 의미로 되돌려놓고 종교민속 전반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거기서부터 종교와 세시풍속의 관계를 검증해야 하며, 불교는 물론이려니와 유교나 도교·천주교·개신교 공히 이러한 입장과 관점은 공유되어야 한다. 즉, 불교적 세시풍속이나 유교적 세시풍속, 도교적 세시풍속, 기독교적 세시풍속을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조사하고 분석하는 일이야말로 이 시대가 요구하는 종교민속학적 사명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제1장 종교민속 연구와 동아시아∥편무영

1. 동아시아를 어떻게 볼 것인가
2. 동북아시아의 종교민속
3. 동남아시아의 종교민속
4. 동아시아의 종교민속론과 세시풍속

제2장 불교 세시풍속의 전승양상∥구미래
-조계사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1. 불교 세시풍속의 의미
2. 조계사 세시풍속의 전승양상
3. 조계사 세시풍속의 특성
4. 불교 세시풍속의 방향성

제3장 한국의 불교세시∥윤동환
-강화도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일상의례
3. 세시의례
4. 강화 불교세시의 특징

제4장 한국가톨릭의 종교세시 연구∥김영수

1. 머리말
2. 한국문화와 가톨릭의 만남
3. 한국가톨릭의 세시양상
4. 한국가톨릭 세시의 특징과 의미
5. 마무리

제5장 한국 천주교의례의 세시풍속화와 종교민속학적 의미∥윤인선
-서강대학교 이냐시오 성당의 부활 성삼일 전례를 중심으로-

1. 세시풍속과 천주교
2. 부활 성삼일 전례의 구성양상과 종교 세시풍속으로서의 자질
3. 부활 성삼일 전례의 현실 연루적소통구조의 형성과 세시풍속화
4. 천주교 세시풍속화의 종교민속학적 의미

제6장 한국 개신교의 세시풍속∥이복규

1. 머리말
2. 연간 세시풍속
3. 계절별 세시풍속
4. 매월 풍속
5. 매주 풍속
6. 매일 풍속
7. 기타 교회별 풍속들
8. 맺음말

제7장 개신교 세시풍속 사례연구∥이성희
-아곡 은성교회를 중심으로-

1. 서론
2. 아곡 은성교회 세시풍속의 양상
3. 아곡 은성교회 세시풍속의 특징
4. 결론

제8장 농경세시의 중요성과 호미씻이의 지역적 다양성∥김재호

1. 서론
2. 농사력農事曆과 호미씻이의 관계
3. 호미씻이의 지역적 다양성
4. 결론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필자소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