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조선조 축제문화의 마지막 광경을 읽다 (경복궁 중건의 연희 공연과 관극시가 연구)
조선조 축제문화의 마지막 광경을 읽다 (경복궁 중건의 연희 공연과 관극시가 연구)
저자 : 윤주필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20
ISBN : 9788928514892

책소개

경복궁 중건이 비단 정치적 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가장 중요한 국가적 차원의 문화사업이었음에 착안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노력한 책이다. 또한 건축을 위한 노동, 문화적 놀이로서의 연희, 국가적 이념의 고취를 위한 송축이 한 데 어우러진 조선 최후의 대사업이었음을 살펴보았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건축 현장의 노동, 축제문화의 연희, 국가 이념의 송축

경복궁 중건을 언급한 관변 자료로는『 고종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경복궁 영건일기』 등이 대표적이다. 이것들은 중건에 대한 논의 과정, 문제점, 대안 마련, 중건 사업의 과정 등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경복궁 중건이 가져온 사회적 파장, 공사판의 광경, 특히 개인적 소감 등을 구체적으로 증언해 주는 자료가 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화적으로는 경복궁 중건을 소재로 삼아 문학작품으로 꾸려낸 자료가 더 요긴하다 할 수 있다. 이 책은 경복궁 중건이 비단 정치적 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가장 중요한 국가적 차원의 문화사업이었음에 착안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건축을 위한 노동, 문화적 놀이로서의 연희, 국가적 이념의 고취를 위한 송축이 한 데 어우러진 조선 최후의 대사업이었음을 살펴보았다.



경복궁 중건은 엄청난 일거리와 함께 볼거리로서 다양한 공연문화를 창출해 냈다. 조선전기 경복궁 광화문 앞에서 설행됐던 국가 차원의 대규모 산대놀이가 임진왜란 이후 창덕궁 앞으로 옮겨져 소규모로 축소되고, 그나마도 정조 이후로는 아예 폐지됐던 상황에서 경복궁 중건 때 광화문 앞마당과 대궐터 전역에서 놀아졌던 거리 축제와 궁중놀이는 한국 고전연극사에서 종주가곡終奏佳曲의 대미를 장식한 일대사건이 아닐 수 없었다. 이것은 마치 불꽃놀이처럼 터져서 밤하늘에 수를 놓고 조선왕조의 쇠망과 함께 사라져 우리에게 전승되지 못했던 괄호 안의 전통이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서론



1. 경복궁 무엇을 복원할 것인가?

2. 한국 연극사와 관극의 비평사

3. 경복궁 중건 시역에서의 연희 공연

4. 연구 전망과 남은 과제



제1부

경복궁 중건 관극시가에 나타난 연희 공연



1. 머리말

2. 연구사 검토

3. 관변사서 및 야사에 나타난 경복궁 중건의 연희 상황

4. 경복궁 중건 관극시가의 존재방식과 의미

5. 국문 가사로 쓴 경복궁 중건 관극시가의 의미

6. 맺음말



제2부

경복궁 중건 연희 공연의 도상성과 미학



1. 머리말

2. 상하 질서와 경복궁 송축의 도상성

3. 사방 질서와 부역터 노동의 도상성

4. 상하·사방의 갈등과 화합 그리고 신명풀이의 미학

5. 맺음말



제3부

경복궁 중건 연희 공연의 실상과 의의



1. 머리말

2. 경복궁 중건의 노래

3. 경복궁 중건의 현장과 연희 공연

4. 경복궁 중건터 잡희 공연의 담당층

5. 경복궁 중건의 참여자와 관극시가의 작가층

6. 맺음말



제4부

경복궁 중건 관극시가의 원전 비평



1. 머리말

2. 경복궁 중건 관련 작품의 개요

3. 경복궁 중건 관극시가 작품의 원전 비평

(1) 경복궁 중건승덕가

(2) 국문가사

(3) 기완별록

(4) 북궐중건가北闕重建歌

(5) 경복궁 중건의 관련 민요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