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아리랑의 문학 수용과 문화 창출 (지역 민요의 생태와 문화지리)
저자 : 박경수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21
ISBN : 9788928515899
책소개
머리말
총론
제1부
아리랑의 전승 맥락과 문학·문화 수용과 창출
제1장
치유healing의 노래로 본 아리랑의 전승 맥락
1. 아리랑의 옛 노래, 〈청산별곡〉의 애원성
2. 황현의 신성염곡新聲艶曲 염정의 노래와 불안의 치유
3. 헐버트가 들은 아리랑 한민족의 생명과 풍류의 노래
4. 나운규의 아리랑 민족 감정의 양가성과 호소력
5. 정선아리랑의 정한과 공감
6. 밀양아리랑의 흥과 신명, 그 치유성
7. 진도아리랑의 토리와 사설의 혼종성
8. 해외 한민족의 아리랑 민족성과 생명성의 자각
제2장
밀양아리랑의 문학문화 수용과 문화 창출
1. 들머리
2. 밀양아리랑의 현대시 수용과 시적 형상화의 문제
3. 밀양아리랑의 현대소설 수용과 서사 담론
4. 밀양아리랑 관련 현대수필의 담론 양상
5. 밀양아리랑의 대중가요 수용과 호소력
6. 마무리
제3장
정선아리랑의 문화 수용과 공감의 시학
1. 들머리
2. 정선아리랑의 문학문화 수용과 양상
3. 정선아리랑의 현대시 수용과 공감의 거리
4. 정선아리랑의 예술문화, 특히 대중음악의 수용 양상
5. 마무리
제4장
동래아리랑의 전승 맥락과 정체성 문제
1. 동래아리랑의 발굴과 복원, 그리고 쟁점
2. 동래아리랑의 전승 여부와 정체성 문제
3. 동래아리랑의 가사 복원과 의미 해석의 맥락
4. 동래아리랑의 구비전승 맥락과 문학적 성격
5. 마무리
제5장
부산지역 아리랑의 전승 양상과 문학의 수용 국면
1. 들머리
2. 부산지역 민요 조사의 경과와 아리랑의 전승 양상
3. 신민요와 유행가로 부른 부산지역 아리랑
4. 아리랑의 부산지역 문학 수용 양상
5. 아리랑의 부산지역 공연예술 수용과 확산
6. 마무리
제6장
재중 한인 디아스포라 시의 아리랑 수용과 담론 양상
1. 들머리
2. 재중 한인 아리랑 시의 전개과정과 양상
3. 재중 한인 아리랑 시의 담론 양상
4. 마무리
제2부
지역 민요의 생태와 문화지리
제1장
〈모심기 노래〉에 나타난 생태학적 사유와 상상력
1. 머리말
2. 자연 본위의 사유와 상상력
3. 순환론적 생태관과 상상력
4. 자연과의 교감과 공존 지향
5. 마무리
제2장
〈범벅타령〉의 전승 양상과 담론 특성
1. 머리말
2. 〈범벅타령〉의 전승 과정과 유형
3. 서사민요 〈범벅타령〉의 담론 성격
4. 마무리
제3장
함양지역 〈범벅타령〉의 문화지리학적 조명
-‘바람난 춘향’ 서사의 〈범벅타령〉을 중심으로
1. 들머리 294
2. 함양지역 〈범벅타령〉의 담론 성격 298
3. 함양지역 〈범벅타령〉의 문화지리학적 해석 308
4. 결론 318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