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정조, 무예와 통하다 정역 무예도보통지 (정역 무예도보통지)
저자 : 정조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21
ISBN : 9788928515981
책소개
머리말
해제(解題)
1. 『무예도보통지』를 읽는 세 가지 시선
2. 무예의 변화와 『무예도보통지』의 구조
국역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권수 어제서·권수(御製序·卷首)
어제서(御製序)
무예도보통지 총목(武藝圖譜通志 總)
범례(凡例)
병기총서(兵技總敍)
척소보모총병사실(戚少保茅總兵事實)
기예질의(技藝質疑)
인용서목(引用書目)
권1 찌름을 위한 무예 ‘창’(武藝圖譜通志 卷之一)
장창(長槍)
죽장창(竹長槍)
기창(旗槍)
당파(??)
기창(騎槍)
낭선(狼?)
권2 베기를 위한 무예 ‘칼’ 1(武藝圖譜通志 卷之二)
쌍수도(雙手刀)
예도(銳刀)
왜검(倭劒)
교전(交戰)
권3 베기를 위한 무예 ‘칼’ 2(武藝圖譜通志 卷之三)
제독검(提督劒)
본국검(本國劒)
쌍검(雙劍)
마상쌍검(馬上雙劍)
월도(月刀)
마상월도(馬上月刀)
협도(挾刀)
등패(藤牌)
권4 치기를 위한 무예와 마상기예(武藝圖譜通志 卷之四)
권법(拳法)
곤방(棍棒)
편곤(鞭棍)
마상편곤(馬上鞭棍)
격구(擊毬)
마상재(馬上才)
관복도설(冠服圖說)
고이표(考異表)
별권 언해본에 대한 이해
『무예도보통지언해(武藝圖譜通志諺解)』의 기본적 이해
『무예도보통지언해(武藝圖譜通志諺解)』의 국어 음운학적 특성
부록 1 『무예도보통지』편찬 의미와 당대의 활용
1. 머리말
2. 『무예도보통지』의 편찬과 의미
3. 『무예도보통지』의 활용과 가치
4. 맺음말
부록 2 한국의 전통 무기
1. 전통시대 무기의 개념과 종류(냉병기 중심-화기 제외)
2. 원사무기 1-일반 활류(각궁, 목궁, 죽궁, 철궁 등)
3. 원사무기 2-기계식 쇠뇌류(궐장노, 수노기 등)
4. 원사무기 3-화살류(목전, 철전, 편전, 유엽전 등-무과시험 연관)
5. 원사무기 4-활 보조도구류(동개, 깍지, 완대, 촉돌이)
6. 단병접전 무기 1-도검류
7. 단병접전 무기 2-창봉류
8. 단병접전 무기 3-타격기류
9. 의장용 무기-의장류(어도, 사인검, 운검, 군뢰, 신전, 영전, 관이전 등)
10. 무기의 발전과 전술 변화의 연관성
참고문헌
찾아보기
영인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