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프랑스 농촌사의 기본성격
프랑스 농촌사의 기본성격
저자 : 마르크 블로크
출판사 : 나남
출판년 : 2007
ISBN : 9788930082426

책소개

20세기 역사학의 한 지류를 형성하는 아날학파의 창시자 마르크 블로크의 저작. 인간이 복합적, 사회적 존재이고 장기지속적 거대구조 속에 살아가므로 역사는 전체사적이고 사회구조사적이어야 한다는 블로크의 견해를 가장 잘 표현한 텍스트로 평가받는다.



지은이는 이 책을 통해서 20세기 초엽의 프랑스 농촌사회의 구조적 특징들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해명하고 있는데, 프랑스 농촌사를 종합적으로 개관하되, 그가 살던 20세기 초엽 당시의 프랑스 농촌사회의 주요 구조적 특징인 중소 규모의 농민적 토지소유와 대토지소유의 병존, 지역별 몇 가지 상이한 경지제도의 분포 등의 현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해명하려고 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농촌사는 농업기술과 경제적 측면을 도외시한 채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평면적으로 서술한 종래의 농촌사 개설서와는 다른 문제중심의 전체사, 사회구조사라 할 수 있다. 오늘까지도 서양의 사회경제사 연구자들, 좀 더 나아가 역사학자들에게 유효한 통찰을 제공해주는 책.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0세기 역사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아날학파의 창시자 블로크(1886~1944)의 대표작이다. 블로크는 인간은 복합적?사회적 존재이고 장기지속적 거대구조 속에 살아가므로 역사는 전체사적이고 사회구조사적이어야 한다고 보았는데, 이런 관점이 가장 잘 표현된 저서가 이 책이다. 여기서 그는 20세기 초엽의 프랑스 농촌사회의 구조적 특징들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해명한다. 그가 이 책에서 제시한 연구방법은 여전히 유효하며, 오늘까지도 이 책은 서양의 사회경제사 연구자들뿐 아니라 모든 역사학자의 필독서이다.

블로크의 획기적인 역사인식과 이에 따른 독창적인 연구방법론이 그의 저서들 가운데서도 가장 잘 표현된 저서가 바로《프랑스 농촌사의 기본성격》이다. 이 책은 여러 가지 면에서 기존의 농촌사 개설서들과는 확연히 구별된다. 블로크는 프랑스 농촌사를 종합적으로 개관하되, 그가 살던 20세기 초엽 당시의 프랑스 농촌사회의 주요 구조적 특징인 중소 규모의 농민적 토지소유와 대토지소유의 병존, 지역별 몇 가지 상이한 경지제도의 분포 등의 현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해명하려고 한다. 따라서 그의 농촌사는 농업기술과 경제적 측면을 도외시한 채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평면적으로 서술한 종래의 농촌사 개설서와는 전혀 다른 문제중심의 전체사이고 사회구조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사용된 연구방법과 사료도 혁신적이다. 이를테면, 블로크는 문헌기록이 드문 역사분야의 연구에서는 문헌사료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현존하는 구체적인 과거 사회의 제도적?물질적 흔적의 관찰을 통해 과거의 모습이 재구성되어야 한다면서, 시간의 역방향으로 추적하는 소급적 연구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또 프랑스 농촌사에서 일어난 변화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려면 유럽적 차원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면서, 비교사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사료에서도 전통적 농업사 연구자들이 특허장과 같은 증서류를 주로 사용한 데 비해, 그는 지적부와 지적도, 관습집과 법률서적, 진정서, 각종 단체의 결의사항, 문학작품 등 그 전에는 이용되지 않은 것들을 개발하여 사용한다.
블로크가 이 책에서 제시한 연구지침과 연구방법은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하고 생산적임이 증명되고 있다. 그가 밝힌 견해도 오늘날에는 특히 세부적인 면에서 부분적으로 수정되지 않으면 안 되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지극히 타당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적어도 농촌사 연구자들에게 연구의 길잡이 역할을 하거나 영감의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 책은 오늘날에도 농촌사를 비롯한 서양의 사회경제사 연구자들의 필독서가 되고 있으며, 마르크 블로크는 그들 사이에서 학문적 ‘아버지’ 또는 ‘스승’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옮긴이 머리말 5
서 론 13

제1장 개척의 주요 단계 29
1. 초기 개간시대 29
2. 대개간 시대 38
3. 중세의 대개간으로부터 농업혁명까지 65

제2장 농경생활 71
1. 구(舊)농업의 일반적 특징 71
2. 윤작의 유형 84
3. 경지제도: 기다란 개방경지제 101
4. 경지제도: 불규칙한 개방경지제 130
5. 경지제도: 울 쳐진 경지제 146

제3장 14~15세기 위기까지의 장원제 165
1. 중세 초기의 장원제와 그 기원 165
2. 대토지소유자에서 소작료 수취생활자로의 영주의 변모 190


제4장 중세 말부터 프랑스혁명까지 장원제와 토지소유의 변천 235
1. 장원제의 법적 측면에서의 변화와 농노제의 운명 235
2. 영주 재산의 위기 254
3. ‘영주적 반동’ 및 대토지소유와 소토지소유 276

제5장 사회집단 321
1. 망스와 가족공동체 321
2. 농촌공동체와 공유지 351
3. 농촌사회의 계급 385

제6장 농업혁명의 개막 397
1. 집단용익권의 최초 철폐 사례: 프로방스와 노르망디 지방 399
2. 초지에 대한 집단용익권의 소멸 417
3. 농업기술 혁명 423
4. 농업의 개인주의화: 공유지와 울타리 치기 433

제7장 현재에 대한 과거의 영향 455

옮긴이 해제 477
참고문헌 511
찾아보기 515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