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역사학
역사학
저자 :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
출판사 : 나남
출판년 : 2010
ISBN : 9788930084901

책소개


역사를 철학으로부터 독립시키다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의 『역사학』은 그리스·로마의 사상인 헬레니즘(Hellenism)을 체계적으로 개념화한 고전이다. 이 책은 철학에 종속된 역사를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세우려는 시도이다. 역사란 인간의지에 따라 항상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면서 발전해 나간다고 주장하는 저자는 헤겔의 관념적 역사철학을 반다해며 경험적인 인지를 강조한다.

또한 드로이젠은 19세기 중엽 서구세계 전반을 휩쓸던 실증주의적 방법도 지양했다. 랑케로 대표되는 실증주의적 역사학에 대해 저자는 “주관적 인식작용 없이 사실에 대한 이해는 불가능하다”며 “사실이란 스스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로 하여금 말하게 하는 역사가의 파악과 견해를 통해 비로소 말하기 시작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드로이젠의 『역사학』은 관념론적 역사철학과 실증주의 역사학을 모두 지양하고 대안을 창출하려는 노력의 결과물이다.

목차


ㆍ옮긴이 머리말
ㆍ일러두기
ㆍ편집자 머리말

역사학의 백과사전과 방법론
Enzyklopadie und Methodologie der Geschichte

입문
머리말
Ⅰ. 역사(§§1-7)
출발점
역사와 자연
Ⅱ. 역사학적 방법(§§8-15)

방법론
역사학적 질문(§19)
Ⅰ. 발견방법
역사학적 자료(§§20, 21)
잔존물들(§22)
기념물들(§23)
원전들(§24)
자료의 발견(§26)
Ⅱ. 비판(§28, 29)
a) 순수성에 대한 비판(§30)
b) 이전의 것과 이후의 것에 대한 비판(§31)
c) 정확한 것에 대한 비판(§32)
원전비판(§§33, 34)
d) 자료의 비판적 정리(§§35, 36)
Ⅲ. 해석
시작들에 관한 탐구(§37)
해석의 형식들(§38)
a) 실제적 해석(§39)
b) 조건들에 대한 해석(§40)
c) 심리학적 해석(§41)
d) 인륜적 힘들 또는 이념들에 따르는 해석(§§42, 43, 44)

체계론
역사학적 방법의 영역[§45(49)]
역사학적으로 연구될 수 있는 것[§§47(52), 48(53), 49(54)]
Ⅰ. 역사의 소재들에 따르는 역사적 작업[§50(55)]
a) 자연[§51(56)]
b) 생물적 인간[§52(57)]
c) 인간의 형성물들[§53(58)]
d) 인간의 목적들[§54(59)]
Ⅱ. 역사의 형식들에 따르는 역사적 작업
인륜적 힘들[§§55(60), 56(61)]
A. 첫번째 계열: 자연적 공동체들[§57(62)]
a) 가족[§58(63)]
b). c) 씨족과 부족[§§59(64), 60(65)]
d) 민족[§61(66)]
B. 두번째 계열: 이상적 공동체들[§62(67)]
a) 말과 언어들[§63(68)]
b) 아름다운 것과 예술들[§64(69)]
c) 진실한 것과 학문들[§65(70)]
d) 신성한 것과 종교들[§66(71)]
C. 세번째 계열:실제적 공동체들[§§67(72), 75(80), 76(81), 77(82)]
a) 사회의 범위[§68(73)]
b) 복리의 범위[§69(74)]
c) 법의 범위[§70(75)]
d) 권력의 범위[§71(76)]
Ⅲ. 역사의 작업자들에 따르는 역사적 작업[§§72(77), 73(78), 74(79), 78(83), 79(84)]
Ⅳ. 역사의 목적들에 따르는 역사적 작업[§§80(85), 81(86), 82(87), 83(88), 84(89), 85(90), 86(91)]

위상론[§§87(44), 99, 89]
a) 탐구적 서술[§90(45)]
b) 설명적 서술[§91(46)]
c) 교육적 서술[§92(47)]
d) 논의적 서술[§93(48)]

역사학 요강
Grundriss der Historik

머리말
머리말(1858년 판)

입문
Ⅰ. 역사(§§1-7)
Ⅱ. 역사학적 방법(§§8-15)
Ⅲ. 역사학론의 과제(§§16-18)

방법론(§19)
Ⅰ. 발견방법(§§20-27)
Ⅱ. 비판(§§28-36)
Ⅲ. 해석(§§37, 38)
a) 실제적 해석(§39)
b) 조건들에 대한 해석(§40)
c) 심리학적 해석(§41)
d) 이념들에 대한 해석[§§42, 43, 44(42, 43)]

체계론[§§45-49(49-54)]
Ⅰ. 역사의 소재들에 따르는 역사적 작업[§50(55)]
a) 자연[§51(56)]
b) 생물적 인간[§52(57)]
c) 인간의 형성물들[§53(58)]
d) 인간의 목적들[§54(59)]
Ⅱ. 역사의 형식들에 따르는 역사적 작업(§§55-56)
인륜적 힘들[§§55, 56(60, 61)]
A. 자연적 공동체들[§57(62)]
a) 가족[§58(63)]
b) 이웃[§59(64)]
c) 부족[§60(65)]
d) 민족[§61(66)]
B. 이상적 공동체들[§62(67)]
a) 말과 언어[§63(68)]
b) 아름다운 것과 예술들[§64(69)]
c) 진실한 것과 학문들[§65(70)]
d) 신성한 것과 종교들[§66(71)]
C. 실제적 공동체들[§67(72)]
a) 사회의 범위[§68(73)]
b) 복리의 범위[§69(74)]
c) 법의 범위[§70(75)]
d) 권력의 범위[§71(76)]
Ⅲ. 역사의 작업자들에 따르는 역사적 작업[§§72-79(77-84)]
Ⅳ. 역사의 목적들에 따르는 역사적 작업[§§80-86(85-91)]

위상론[§§87-89(44)]
a) 탐구적 서술[§90(45)]
b) 설명적 서술[§91(46)]
c) 교육적 서술[§92(47)]
d) 논의적 서술[§93-95(48)]

부록
역사의 신학
역사학의 학문적 등급으로의 제고
자연과 역사
예술과 방법
베를린 왕립 아카데미 회원 취임사

ㆍ옮긴이 해제
ㆍ찾아보기
ㆍ약력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