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성찰 1 (성찰에 대한 학자들의 반론과 데카르트의 답변)
성찰 1 (성찰에 대한 학자들의 반론과 데카르트의 답변)
저자 : 르네 데카르트
출판사 : 나남출판
출판년 : 2012
ISBN : 9788930086158

책소개

신의 존재와 영혼과 육체의 구분을 증명하고자 하는 형이상학인 주제를 다루는 데카르트의 『성찰』 제1권. 이 책은 데카르트의 형이상학이 신의 존재와 인간 정신이 신체와는 독립된 실체임을 증명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제일원리를 일깨워주고 있다. 외부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가능성 일반을 확보해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자연철학의 근본적인 토대를 담음으로써 형이상학이 자연철학과 나눌 수 없는 연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성찰》은 신의 존재와 영혼과 육체의 구분을 증명하고자 하는 형이상학인 주제를 다루는 작품이다. 따라서《성찰》보다 먼저 출간된《방법서설》의 4부나 그 후에 출간된《철학의 원리》의 첫 번째 부분과 비교했을 때,《성찰》은 데카르트의 형이상학을 가장 오리지널하고 온전한 형태로 담고 있는 작품이다.《성찰》은 데카르트의 형이상학이 신의 존재와 인간 정신이 신체와는 독립된 실체임을 증명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제일원리를 담고 있다. 외부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가능성 일반을 확보해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자연철학의 근본적인 토대를 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데카르트 철학에서 형이상학과 자연철학이 서로 나뉠 수 없는 연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ㆍ출판사서평

데카르트는《성찰》, 즉 자신의 형이상학이 신의 존재와 인간 정신이 신체와는 독립된 실체임을 증명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제일원리를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외부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가능성 일반을 확보해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자연철학의 근본적인 토대를 담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사실은 데카르트 철학에서 형이상학과 자연철학이 서로 떼어질 수 없는 연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그렇지만 이와는 달리, 데카르트 철학에서 형이상학과 자연철학의 관계와 관련해서, 학자들의 입장은 극과 극을 치닫는다. 형이상학과 자연철학의 관계에 대한 데카르트의 주장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의 형이상학이 어떻게 그의 자연철학에 근본적인 토대를 제공하는지를 이해하고 설명하고자 하는 학자들이 있다. 반면에 형이상학과 자연철학의 관계에 대한 데카르트의 말의 진의를 의심하고 그의 자연철학을 형이상학과 분리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형이상학이 그의 철학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지위와 가치를 모두 제거하면서 그를 오늘날의 의미로서의 물리적 환원주의자로까지 이해하고자 하는 학자도 있다. 물론 이 두 극 사이의 중간 입장을 취하는 학자들도 있다. 문제는 이 가운데 어느 입장을 취하든 대가를 치루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데카르트가 “근대 철학의 어머니”라 불리지 못하고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이유가 바로 그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ㆍ 옮긴이 머리말 5

첫 번째 반박 13
첫 번째 반박에 대한 답변 33
두 번째 반박 59
두 번째 반박에 대한 답변 71
기하학적 방식에 따라 영혼과 신체의 구분을 증명하는 논증 109
세 번째 반박: 저자의 답변과 함께 123
네 번째 반박: 존경하는 이[메르센]에게 드리는 편지 155
네 번째 반박에 대한 답변 185
다섯 번째 반박 229
다섯 번째 반박에 대한 답변 347
여섯 번째 반박 401
여섯 번째 반박에 대한 답변 415

ㆍ데카르트 연보 445
ㆍ찾아보기 44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