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새근원수필 (우리 문화예술론의 선구자들)
새근원수필 (우리 문화예술론의 선구자들)
저자 : 김용준
출판사 : 열화당
출판년 : 2001
ISBN : 9788930100175

책소개


『우리 문화예술론의 선구자들』시리즈. 화가이자 미술평론가였던 '근원 김용준'전집의 첫번째로, 기존에 간행되었던 '근원수필'의 내용에 저자의 다른 수필몇 편을 첨가했다. 거짓없이 보여지는 글에는 그의 학문정신과 색다른 면모가 베어있다.

목차


1. 1부
매화(梅花)
게〔蟹〕
말과 소
검려지기(黔驢之技)
선부(善夫) 자화상
조어삼매(釣魚三昧)
구와꽃
두꺼비 연적(硯滴)을 산 이야기
『강희자전(康熙字典)』과 감투
털보
신세일가언(新歲一家言)
한운야학(閑雲野鶴)의 연명(淵明)을 본받아
석분음재(惜分陰齋)
고독
머리
표정(表情)과 의상(衣裳)
모델과 여성의 미
답답할손 X선생
팔 년 된 조끼
안경
동해로 가던 날
추사(秋史) 글씨
김 니콜라이
은행이라는 곳
답답한 이야기
스리꾼의 도덕
신형 주택
이동 음식점
서울 사람 시골 사람
노시산방기(老枾山房記)
동일(冬日)에 제(題)하여
육장후기
원수원(袁隨園)과 정판교(鄭板橋)와 빙허(憑虛)와 나와
생각나는 화우(畵友)들
화가와 괴벽(怪癖)
백치사(白痴舍)와 백귀제(白鬼祭)
화가의 눈
기도(碁道) 강의
십삼 급(級) 기인(碁人) 산필(散筆)

2. 2부
시(詩)와 화(畵)
미술
예술에 대한 소감
회화적 고민과 예술적 양심
골동설(骨董說)
거속(去俗)
한묵여담(翰墨餘談)
조선조의 산수화가
조선시대의 인물화
최북(崔北)과 임희지(林熙之)
오원(吾園) 일사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론
승가사(僧伽寺)의 두 고적(古蹟)
광개토왕 호우(壺우)에 대하여

책소개


『우리 문화예술론의 선구자들』시리즈. 화가이자 미술평론가였던 '근원 김용준'전집의 첫번째로, 기존에 간행되었던 '근원수필'의 내용에 저자의 다른 수필몇 편을 첨가했다. 거짓없이 보여지는 글에는 그의 학문정신과 색다른 면모가 베어있다.

목차


1. 1부
매화(梅花)
게〔蟹〕
말과 소
검려지기(黔驢之技)
선부(善夫) 자화상
조어삼매(釣魚三昧)
구와꽃
두꺼비 연적(硯滴)을 산 이야기
『강희자전(康熙字典)』과 감투
털보
신세일가언(新歲一家言)
한운야학(閑雲野鶴)의 연명(淵明)을 본받아
석분음재(惜分陰齋)
고독
머리
표정(表情)과 의상(衣裳)
모델과 여성의 미
답답할손 X선생
팔 년 된 조끼
안경
동해로 가던 날
추사(秋史) 글씨
김 니콜라이
은행이라는 곳
답답한 이야기
스리꾼의 도덕
신형 주택
이동 음식점
서울 사람 시골 사람
노시산방기(老枾山房記)
동일(冬日)에 제(題)하여
육장후기
원수원(袁隨園)과 정판교(鄭板橋)와 빙허(憑虛)와 나와
생각나는 화우(畵友)들
화가와 괴벽(怪癖)
백치사(白痴舍)와 백귀제(白鬼祭)
화가의 눈
기도(碁道) 강의
십삼 급(級) 기인(碁人) 산필(散筆)

2. 2부
시(詩)와 화(畵)
미술
예술에 대한 소감
회화적 고민과 예술적 양심
골동설(骨董說)
거속(去俗)
한묵여담(翰墨餘談)
조선조의 산수화가
조선시대의 인물화
최북(崔北)과 임희지(林熙之)
오원(吾園) 일사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론
승가사(僧伽寺)의 두 고적(古蹟)
광개토왕 호우(壺우)에 대하여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