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사랑의 미래
사랑의 미래
저자 : 이광호
출판사 : 문학과지성사
출판년 : 2011
ISBN : 9788932022376

책소개

갈망에 대한 갈망의 언어!

문학평론가 이광호가 전하는 사랑을 둘러싼 40편의 공허와 1편의 기이한 위로가 담긴 에세이『사랑의 미래』. 이 책은 2010년 7월부터 11월까지 ‘웹진문지’에 연재되었던 글들을 엮은 것이다. 저자를 흔들었던 날카로운 가시 같은 문장들로부터 시작된 이야기로 시적인 이미지와 간명한 서사, 에세이적인 사유를 교차하며 아직 오지 않은 어떤 것에 대한 갈망을 그려내고 있다. 그의 시간, 그녀의 시간, 이렇게 두 개의 시간으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서로 엇갈리거나 마주 보거나 교차하면서 앞뒤를 알 수 없는 이미지들의 사건을 보여주고 있다. 한 여자와 한 남자, 그들이 통과한 끝을 알 수 없는 계절들의 이미지를 통해 사랑의 미래가 없다고 생각하는 순간 사랑의 미래를 향해 떠날 수 있음을 일깨워주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 편의 시처럼, 소설처럼 다가오는
사랑의 (불)가능성에 대한 이야기


‘사랑’처럼 흔한 말이 또 있을까? 그리고 동시에, ‘사랑’처럼 해도 해도 끝이 없는 말이 또 있을까? 여기, ‘사랑’을 이야기하는 한 권의 책이 있다. 너무 달콤하거나 너무 애달프지 않아서, 사랑을 ‘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사랑을 ‘사는’ 이야기라서, 익숙하면서도 그렇기에 더더욱 새로운 한 권의 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저 진부하고 상투적인 ‘사랑’에 대해 아직 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내게는 중요하다”고 고백하는 문학평론가 이광호의 “사랑을 둘러싼 40편의 공허와 1편의 기이한 위로”가 담긴 『사랑의 미래』가 깊어가는 가을, 독자들과 만난다.

이광호는 현장 비평가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데, 비평문에서도 그의 미문은 단연 돋보인다. 꾸며서 만든 문장이 아니라 깊이 있는 사유와 애정 어린 통찰로 빚어낸 군더더기 없이 정확한 문장은, 자칫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비평문에 이광호만의 색을 입힌다. 이런 그의 언어가 이번 책에서 ‘사랑’을 만난다. 더없이 아름다워서 강력한 ‘사랑의 언어’가 과장되지 않은 몸짓으로 독자들을 부른다. 그 언어 속으로 가만가만 들어가는 ‘미래’로의 여정은, 여전히 너무 많은 사랑에 대한 이야기들을 넘어서서 “어떤 느낌을 공유한 이름 없는 공동체”의 계기가 될지도 모르겠다.

2010년 7월부터 그해 11월까지 에 연재되었던 이 글들은 연재 당시에도 많은 독자들의 공감과 호응을 얻은 바 있다. 하지만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편 한 편 읽는 느낌과 그 흐름을 한 권의 책에서 쉼 없이 따라갈 때의 느낌은 사뭇 다를 것이다. 연재 5개월에 걸쳐 이어졌던 고른 호흡은 이 한 권의 책 속에서 강한 울림으로 다가온다.

“이 책은 사랑을 이야기하는 다른 방법에 대한 작은 탐색이다.”
41편의 글은 각각 시의 한 구절에서부터 출발하여 사랑에 대한 또 다른 이미지들을 그려낸다. 마치 한 편의 긴 시를 읽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은 이 때문이다. 한편, 사랑의 매혹이 아니라 무기력감에 가까운 그 문장들은 두 개의 시간으로 나뉘어 흐른다. 하나는 ‘그’의 시간이고, 다른 하나는 ‘그녀’의 시간이다. 그러나 그것은 각각의 시간으로 흘러가지 않고, 서로 엇갈리거나 마주 보거나 교차하면서 그 선후를 알 수 없는 이미지들의 사건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이 글은 하나의 픽션일까? 하지만 마침내 독자들이 이 이미지들의 사건들에서 발생한 장면들을 통해 발견하게 되는 것은, 이광호가 전하고자 하는 사랑의 (불)가능성에 대한 사유의 궤적이다.
“시적인 이미지와 간명한 서사와 에세이적인 사유”의 교차. 이 한 권의 책에서 이광호는 이 새로운 글쓰기를 완성시켰다. 이 글을 ‘허구적인 에세이’ 혹은 ‘픽션 에세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러나 이뿐만이 아니다. 이 이야기에서는 주인공과 글쓰기 주체의 얼굴과 이름이 모두 지워진다. “‘그’와 ‘그녀’는 복수의 ‘그들’이거나 혹은 ‘당신들’이거나 ‘내’ 안의 사람들이”라는 이광호의 고백은 이 글을 ‘익명의 에세이’로 명명하는 쪽에 무게를 싣게 한다. 사랑을 익명성으로 이행으로 바라본 이광호의 시각은 2009년 펴낸 그의 비평집 『익명의 사랑』에서도 이미 확인된 바 있다. 그 책의 머리말에서 “사랑은 이름 붙일 수 없는 시간 속에 머무는 사건이”라고 말한 이광호는 “갈망의 지겨움과 공허 속에서 문득 명랑해진 사랑”이 “익명적인 힘들과 만”나는 모습을 이번 책에서 비로소 그려보이게 된 것인지도 모른다. “집단적 주체화와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비밀스런 2인 공동체를 생성”하는 사랑은 “사랑의 정체성과 동일성을 지우는 데까지, 자기의 파괴와 혼돈으로 나아가려고 한다”는 “사랑의 (불)가능성”에 대한 그의 오래된 사유가 전혀 새로운 형식의 에세이로 탄생하게 된 것이다.
특히 이 책은 “1인칭의 고백과 2인칭의 대화와 3인칭의 묘사”의 공존 속에서, ‘그/그녀’였던 자신을 보았다가, 언젠가의 ‘그/그녀’를 만났다가, ‘그/그녀’들의 이야기를 지켜보게 되는 특별한 독서 경험을 독자들에게 선사한다는 점에서 이 가을에 더없이 어울리는 선물이 될 것이다.

“이건 그들이 통과한 계절들의 이미지, 그 끝을 알 수 없는 계절들의 돌이킬 수 없는 순환에 관한 것이다.”
떠들썩한 술자리에서 우연히 함께 빠져나온 남녀가 차를 잡기 위해 건널목 앞에 선다. 그때, 그가 불현듯 그녀의 손목을 잡고 건널목을 뛰어서 건넌다. 이후 그들은 함께 혹은 혼자서 계절들을 통과한다. 새로운 발견과 갑작스러운 기억과 일상의 흔적들 속에서 그렇게 ‘그’와 ‘그녀’는 ‘사랑’을 ‘산다.’
상대의 감촉, 목소리, 냄새, 식성… 그 속에 담긴 이야기들은 어쩌면, 다시금 사랑을 일깨우기 위함이 아닌, 그 사랑이 얼마나 공허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인지도 모른다. 돌이킬 수도 돌이킬 필요도 없는 그 계절들이 남긴 어떤 리듬을 타고 다시, 다른 계절로 떠나기 위한 준비를 하는 것. 그리고 언어로써 그 계절들을 봉인하는 것. 그것이 ‘사랑의 미래’라고, 그러니 ‘익명의 그/그녀’에게 지금, 사랑의 미래가 시작되고 있다고, 이 책은 담담하게 사랑의 미래를 향해 가는 그들의 어깨에 가만히 손을 올려놓는다.

■ 이 책은 왜 씌어졌을까?
이 책은 사랑을 이야기하는 다른 방법에 대한 작은 탐색이다. 이를테면, 사랑에 관한 1인칭의 고백과 2인칭의 대화와 3인칭의 묘사가 공존할 수 있을까, 시적인 이미지와 간명한 서사와 에세이적인 사유는 어떻게 교차할 수 있을까,와 같은 헛된 시도 말이다. 시적인 것과 소설적인 것과 에세이적인 것이 뒤섞인 글쓰기를 향한 무모한 동경은 오래되었다.

이것은 또한 사랑의 (불)가능성에 대한 사소란 사유의 궤적이다. 여기, 사랑을 둘러싼 문장들은 사랑의 매혹이 아니라 무기력감에 더 가까울 것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저 진부하고 상투적인 ‘사랑’에 대해 아직 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내게는 중요하다. 어쩌면 여기에서 사랑을 둘러싼 40편의 공허와 1편의 기이한 위로를 만나게 될 것이다.

나를 흔들었던 날카로운 가시 같은 문장들을 빌미로 이 이상한 글쓰기는 시작된다. 이 글을 ‘허구적인 에세이’ 혹은 ‘픽션 에세이’라고 불러도 되겠지만, 이야기의 주인공과 글쓰기 주체의 얼굴과 이름이 지워진다는 의미에서 ‘익명의 에세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와 ‘그녀’는 복수의 ‘그들’이거나 혹은 ‘당신들’이거나 ‘내’ 안의 사람들이다.

‘사랑의 미래’는 사랑의 설레는 혹은 불안한 앞날을 마라는 것이기도 하지만, 사랑이 아직 오지 않았음을, 혹은 사랑이란 아직 오지 않은 어떤 것, 영원히 오지 않을 어떤 것에 대한 이상한 갈망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그래서 여기 사랑의 언어는 갈망의 언어라기보다는갈망에 대한 갈망의 언어이다.

이 책의 1부는 ‘그’의 시간 속에 있고 2부는 ‘그녀’의 시간 속에 있다. 이 두 가지 층위의 시간은 서로 엇갈리거나 마주 보거나 교차한다. 그 시간 속에 얼룩처럼 뿌려진 이미지들은 모두 각각 최초의 장면이면서 최후의 장면이다. 사랑이란 그 선후를 알아낼 수 없는 이미지들의 사건이다. 사랑의 마지막 순간, 그 모든 장면의 순서에 대해 입을 다물게 된다.

극단의 공허는 최선의 위로만큼 표현되기 어렵다. 사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사랑이 하나의 관념으로 요약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그래도 사랑이 다시 시작되는 일은 피할 수 없다고 말하기 위해, 이토록 어눌한 언어들이 필요하다는 것이 부끄럽다.

이 글들은 지난해 씌어졌다. 그 여름에서 가을 사이, 방어할 길이 없는 적막한 시간을 마주했고, 더 가난한 시간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너무나 어리석게도……

연재 때 따뜻한 관심을 보여준 익명의 독자들과 앞으로 이 책을 읽게 될 미지의 독자들에게 감사한다. 이 책이 어떤 느낌을 공유한 이름 없는 공동체의 계기가 된다면 글 쓰는 자의 더할 나위 없는 영예일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가 늦게 온 예감처럼 만날 수 있다면, 이 허술한 글쓰기는 용서받을 수 있을까?

2011년 10월
이광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이 책은 왜 씌어졌을까?

프롤로그 한때 새들을 날려 보냈던 계절들

1부 그의 시간 속에서
너무 빠르거나 늦은 그대여
저 나무 아래 내 마음을
세상에 같은 사람은 없네
손가락 끝에서 시간의 잎들이
당신이라는 말 참 좋지요
우리 입술은 동시에 피고 지는
그 시선이 멈추었던 그 순간
수만 광년 먼 먼 별에서 흐르는
꿈에도 깃들지 않는 첫사랑
몸 얻지 못한 마음의 입술이
미각을 상실하다, 즉 사랑을 잃다
사진 속엔 그녀가 살까?
너의 이름들을 붙였다, 뗐다
꿈속에서 너를 보면
그녀와 대화하는 방법
제 안에서 들끓는 길의 침묵을
찬란한 고통의 축제
이젠 되도록 편지 안 드리겠습니다
내 몸속에 들어온 너의 몸
너를 기다리고 있다는 기척

2부 그녀의 시간 속에서
네 목소리가 들렸다
맹세는 따뜻함처럼 우리를 배반했으나
너는 나의 목덜미를 어루만졌다
마지막 눈이 내릴 때
당신, 냄새의 세계
그대가 나였던가, 바닷가에서는
내 사랑하는 시월의 숲은
달이 걸어오는 길에서 사랑은
당신 생일날 안부 전해요
우연의 유희 속에서 그들은
당신 얼굴 속의 당신 얼굴을
너는, 너는 잘도 잔다
다리는 사랑을 배운다
고독이라는 거울
울 수 있었던 날들의 따뜻함
잊혀진 상처의 늙은 자리
잘 있지 말아요 그리운......
나 그대를 안았던가
이별의 거울 속에서

에필로그 이제는 그대 흔적을 찾지 않고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