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백제의 정치제도와 운영
저자 : 노중국
출판사 : 일조각
출판년 : 2022
ISBN : 9788933707999
책소개
백제사 연구의 권위자인 노중국 계명대학교 명예교수가 『백제 정치사』에서 분량 문제로 제대로 다루지 못한 정치제도를 별도로 정리한 책을 출간하였다. 제도를 만들고 그것을 운영하는 것은 정치사의 전개와 떼놓을 수 없으므로 앞서 출간한 『백제 정치사』와 이 책 『백제의 정치제도와 운영』은 짝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정치사의 전개 과정은 가능한 개요만 언급하고 정치제도가 어떠한 상황에서 만들어지고, 또 어떻게 운영되었으며, 어떻게 변화해 갔는가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급하였다.
목차
책을 펴내며
머리글
1. 정치제도와 운영에 대한 기본 시각
2. 각 부의 요지
제1부 초기백제의 지배조직
Ⅰ. 국 단계의 지배조직
Ⅱ. 국연맹 단계의 지배조직
Ⅲ. 부체제 단계의 지배조직
1. 부체제의 성립
2. 지배조직
제2부 중앙통치조직과 운영
Ⅰ. 중앙집권체제의 확립
1. 부체제의 해체
2. 근초고왕의 즉위와 중앙집권체제 확립
Ⅱ. 관등제의 성립과 변화
1. 한성기: 14관등제
2. 웅진기: 덕계 관등의 추가 신설
3. 사비기: 16관등제
Ⅲ. 관부와 관직
1. 한성기의 관직
2. 웅진기에 신설된 관부와 관직
3. 사비기의 관부와 관직
Ⅳ. 왕도의 행정조직
1. 한성의 행정조직
2. 웅진성의 행정조직
3. 사비성의 행정조직
Ⅴ. 관등과 관직의 운영
1. 1관직-복수관등체계
2. 관등제 운영의 변화
3. 비상위의 설치
제3부 지방통치조직과 운영
Ⅰ. 지방통치조직의 편제
1. 한성기: 담로제
2. 웅진기: 담로제와 군·성제의 병존
3. 사비기: 방-군-성(현)제
Ⅱ. 지방통치조직의 운영과 지방관
1. 방에 파견된 지방관: 방령과 방좌
2. 군에 파견된 지방관: 대군장, 군장, 군령과 군좌, 참사군
3. 성(현)에 파견된 지방관: 도사와 성주
4. 지방통치조직의 치소
Ⅲ. 지방통치조직의 편제 단위와 지방 세력
1. 한성기: 읍락에서 성(촌)으로 편제
2. 사비기: 성(촌)에서 자연촌으로 편제
3. 지방 세력의 출현과 편제
Ⅳ. 호구 파악과 호적제
1. 『일본서기』 계체기 3년조의 관·부도·절관·부관
2. 호적제 실시
3. 목간이 보여 주는 호구 파악의 실제
제4부 군사제도와 운영
Ⅰ. 국왕의 집권력 강화와 군사권의 일원화
1. 비류왕의 부병 해체와 군사권 강화
2. 군사조직 정비
3. 정복 활동의 전개
Ⅱ. 군사조직의 운영
1. 군사 지휘권과 지휘관
2. 군사 훈련과 작전, 포상
3. 군사 충원과 군수 조달
제5부 작호제·의관제·식읍제와 그 운영
Ⅰ. 작호제와 그 운영
1. 왕·후호제
2. 장군호제
3. 작호제의 운영
Ⅱ. 의관제와 그 운영
1. 의관제의 실시
2. 한성기: 의관제의 정비
3. 웅진기: 의관제의 변화
4. 사비기: 의관제의 재정비
5. 의관제의 운영: 위신품과 작호제
Ⅲ. 식읍제와 그 운영
1. 식읍제의 실시
2. 식읍제의 내용
3. 식읍의 사여와 운영
제6부 율령과 문서행정
Ⅰ. 율령의 시행
1. 율령의 반포
2. 율령의 내용 추정과 특징
3. 형벌의 집행과 절차
Ⅱ. 문서행정·관인제와 그 운영
1. 문서행정과 운영
2. 관인제와 운영
Ⅲ. 인재 양성과 관료 선발
1. 유학 교육과 인재 양성
2. 관료 선발 제도
3. 관리의 근무 기준과 처벌
제7부 귀족합좌제와 운영
Ⅰ. 귀족 가문과 정치 운영
1. 성씨와 문지
2. 합좌제적 정치 운영의 시원
Ⅱ. 초기백제의 회의체
1. 연맹 단계: 우·좌보회의체
2. 부체제 단계: 제솔회의
Ⅲ. 귀족회의체의 변화
1. 한성기의 귀족회의체
2. 웅진기의 귀족회의체: 3좌평회의체
3. 사비기의 귀족회의체
Ⅳ. 귀족회의체의 운영 325
1. 중요 의사 결정 방법 325
2. 회의 장소
맺는 글 대성8족과 역사적 의미
1. 대성8족의 성립
2. 고대 동아시아에서의 성씨제 정비와 대성8족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