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
저자 : 김유준
출판사 : CLC
출판년 : 2016
ISBN : 9788934115717

책소개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은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의 실천적 측면에 대한 부분을 다루고 있다. 기존 삼위일체론의 사변적이며, 교리적인 측면을 넘어서서 조나단 에드워즈는 삼위일체론을 창조와 구원, 성화의 구체적 사건 속에서 경험되어지는 신앙적 체험이자 고백이며, 신악과 삶의 실천적 지침임을 확인해준다고 저자는 말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추천사

난해하기로 유명한 미국의 초기 거대 신학자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학, 그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 알려진 삼위일체론을 담백한 추리로 연구하였다.
민경배 박사/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18세기 뉴잉글랜드의 청교도 칼빈주의자인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에 나타나는 독창적인 내용과 특징을 고찰함으로 현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과 삶의 실천적인 토대와 지침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양호 박사/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조나단 에드워즈는 미국이 낳은 세계적인 신학자로서 기독교의 전통을 영미 경험주의적인 배경을 갖고 참신하게 설명하였다.
박명수 박사/ 서울신학대학교 교회사 교수

교회사의 서사적 맥락을 따라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의 의의를 발굴하고 그 특장(特長)을 잘 드러냈다.
김회권 박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오늘날 정체된 한국교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신학적 저술이기에 이 책을 기쁨으로 추천한다.
장경철 박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격변의 시기를 신실한 그리스도인이자 목사요 학자로 살아온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 이해는 삼위일체론이 결코 현실과 동떨어진 이론이지 않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김근주 박사/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전임연구위원

올바른 지식과 인식과 경험을 통한 교회의 영적 각성과 부흥이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박노훈 박사/ 신촌성결교회 담임목사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1
◆ 민경배 교수(백석대학교 석좌교수,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추천사 2
◆ 이양호 교수(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추천사 3
◆ 박명수 교수(서울신학대학교 교회사 교수)
추천사 4
◆ 김회권 교수(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추천사 5
◆ 장경철 교수(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추천사 6
◆ 김근주 교수(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전임연구위원)
추천사 7
◆ 박노훈 목사(신촌성결교회 담임목사)

감사의 글
약어표

제1부 서론
제1장 삼위일체론은 사변이 아닌 최상의 실천적 교리
제2장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에 관한 최근 연구
제3장 삼위일체적 전망을 통한 연구
제2부 조나단 에드워즈의 생애와 신학사상
제1장 18세기 뉴잉글랜드의 상황과 에드워즈의 생애
제2장 신학사상
제3장 신학사상의 특징
제3부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조나단 에드워즈의 계승
제1장 삼위일체론의 성경적 토대와 형성
제2장 조나단 에드워즈의 전통적 삼위일체론 계승
제3장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 계승에 관한 논쟁
제4부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정의와 속성
제1장 최초의 신성, 하나님의 관념, 사랑의 행위자
제2장 삼위일체 하나님의 속성과 동등성
제3장 경향성과 조화를 통한 삼위일체 하나님 이해
제5부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 특징
제1장 심리학적 삼위일체론과 사회적 삼위일체론의 연속성
제2장 내재적 삼위일체론과 경륜적 삼위일체론의 조화
제3장 관계적 삼위일체론과 실천적 삼위일체론의 균형
제6부 결론
제1장 요약
제2장 평가
제3장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 그림 차례 ◈
그림 1: 삼위일체 하나님의 세 위격의 상호포괄 관계
그림 2: 이해와 사랑을 통한 삼위일체 세 위격의 관계
그림 3: 삼위일체 세 위격 안에 공유된 명철과 의지
그림 4: 인간 중심적 수직구조
그림 5: 하나님 중심적 수평구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