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케인즈  하이에크 : 시장경제를 위한 진실게임
케인즈 하이에크 : 시장경제를 위한 진실게임
저자 : 박종현
출판사 : 김영사
출판년 : 2008
ISBN : 9788934925965

책소개


자본주의의 최대 위기, 대공황에 맞서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정책과 시장에 대한 적절한 관리라는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며 경제학의 실천가 케인즈. 시장에 대한 통제는 아무리 부분적인 것이라도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여 인류를 결국 노예의 길로 몰고 갈 수밖에 없다는 신념을 굽히지 않고 시장을 통한 자유의 경제를 외친 하이에크. 케인즈의 사상을 통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영국 등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이 시장과 정부를 경제의 두 축으로 삼아 경제의 황금기를 구가했다면, 현재는 하이에크의 사상을 근간으로 한 ‘대처리즘’과 ‘레이거노믹스’를 필두로 한 신자유주의가 대세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무제한적 경쟁을 용인하는 시장만능주의가 팽배한 현실 속에서 50여 년 전 케인즈가 자유주의의 옹호자였던 하이에크에게 던진 질문들은 아직도 유효한 듯 보인다. 개인의 경제적 자유는 과연 신성불가침한 것인가? 시장에 참여한 모든 이들은 과연 평등하게 경쟁하고 있는가? 시장은 인간의 자유를 확대하는가?

이 책은 시장에 대한 믿음만큼 시장의 폭주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같은 시대를 살며 전혀 다른 주장으로 시장경제를 옹호했던 두 경제학자의 사상을 통해 올바른 시장경제의 모습은 무엇이며 현재 우리 사회의 시장경제는 올바르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줄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목차


Chapter 1 초대
시장경제를 위한 진실 게임
이 바보들아, 문제는 경제야!
시장에 대한 동상이몽
죽은 경제학자들의 살아있는 생각

Chapter 2 만남
1. 사회주의와 맞서다
마르크스의 어두운 예언과 페이비언 사회주의: 자본주의의 명암
사도회와 블룸즈버리 그룹: 케인즈주의가 싹트다
사회주의에 대한 케인즈의 비판
하이에크 사상의 출발점: 가이스트크라이스
미제스를 딛고 사회주의의 중심으로

2. 케인즈, 대공황으로부터 자본주의를 구출하다
자본주의의 모순이 폭발하다: 대공황
과잉생산 vs. 세이의 법칙: 공황에 대한 논쟁
대공황은 자연이 준 선물이다
공황의 원인을 다시 진단하다: 유동성 선호
구성의 모순과 케인즈의 해법: 제3의 경제주체

3. 하이에크, 시장을 옹호하다
애덤 스미스와 ‘보이지 않는 손’
사회주의 계산 논쟁과 ‘자생적 질서’
가격 시스템, 시장경제의 정보 전달 수단
경제활동은 카탈락시 게임이다: “경쟁의 정의”
슘페터의 창조적 파괴

4. 케인즈, 시장의 문제점을 지적하다
시장의 옹호자들에게 묻다
개인의 경제적 자유는 신성불가침인가?
시장의 참여자들은 정말로 평등한가?
시장은 자유를 확대하는가?
가격 기구는 지식과 정보를 늘리는가?
가격 기구의 신축성이 반드시 바람직한가?
시장은 자생적 질서의 산물인가?

5. 『노예의 길』논쟁
계획은 노예의 길로 이어진다
케이즈. 중도의 길을 선택하다
유토피아를 추구한 마지막 경제학자
법의 지배

6. 자유방임경제에서 혼합경제로
케인즈의 시대가 도래하다: 새자유주의와 투자의 사회화
소외된 하이에크가 찾은 해답
“자유의적은 인간의 정신 속에 있다”: 하이에크의 영광과 초조
이데올로그로서의 하이에크
하이에크의 날카로운 통찰
두 얼굴의 하이에크

7. 케인즈주의의 위기와 신자유주의의 출현
케인주의의 한계가 드러나다: 스태그플레이션
‘철의 여인’, 하이에크의 처방전을 선택하다
새로운 시대정신이 출현하다: 신자유주의
수요보다 공급이 중요하다: 복지국가 축소론
세율인하론과 균형재정론
작은 정부론, 사회안전망의 약화를 부르다

8. 끝나지 않은 대결
대결이 시작되다: 화폐이론 논쟁
하이에크가 『일반 이론』과의 정면 대결을 피한 이유
다르지만 같은 그들: 여우와 고슴도치
수요보다 공급이 중요하다: 복지국가 축소론
끝나지 않은 대결
케인즈와 하이에크를 결합한 사람들

Chapter 3 대화
일본의 장기 불황, 원인부터 해법까지

Chapter 4 이슈
케인즈가 한미 FTA를 반대하는 이유
인류는 인플레이션에서 완전히 해방되었는가?
우리 사회의‘작은 정부’론을 다시 생각한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