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2011) (Korean edition)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2011) (Korean edition)
저자 :
출판사 : Gyo Moonsa
출판년 : 2012
ISBN : 9788936312893

책소개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는 대외적인 품질평가 자료뿐만 아니라 국가식량정책 및 영양ㆍ건강 정책 수립, 단체급식 식단 작성 등 식생활의 지침서로서 기본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농촌진흥청에서는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우리나라 농식품의 영양성분데이터를 수록한 식품성분표를 1970년대 이래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발간하고 있으며, 다양한 내용과 체계를 개선하여 제8개정판을 발간하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에는 향후 개정 시에 동일한 식품코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식품코들을 새롭게 부여하였으며, 소비자들의 건강관리 요구에 부응하여 섬유소를 식이섬유로 대체하였고 식염상당량을 추가하였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는 대외적인 품질평가 자료뿐만 아니라 국가식량정책 및 영양·건강 정책 수립, 단체급식 식단 작성 등 식생활의 지침서로서 기본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에서는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우리나라 농식품의 영양성분데이터를 수록한 식품성분표를 1970년 이래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향후 개정 시에 동일한 식품코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식품코드를 새롭게 부여하였으며, 소비자들의 건강관리 요구에 부응하여 섬유소를 식이섬유로 대체하였고, 식염상당량을 추가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식품성분표 해설



식품 중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함량

1. 곡류

2. 감자류 및 전분류

3. 당류

4. 두류

5. 견과류 및 종실류

6. 채소류

7. 버섯류

8. 과일류

9. 육류

10. 난류

11. 어류

12. 패류

13. 어류 기타

14. 해조류

15. 우유 및 유제품류

16. 유지류

17. 차류

18. 음료류

19. 주류

20. 조미료류

21. 조리가공식품류

22. 기타



부록-식품코드 연계표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