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밥값
밥값
저자 : 정호승
출판사 : 창비
출판년 : 2010
ISBN : 9788936423223

책소개

정호승 시인의 열번째 신작시집

아름다운 감성과 절제된 시어의 조화로 오랫동안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정호승 시인의 열번째 신작시집 『밥값』. 3년 만에 발표하는 이번 시집에는 주변을 돌아보는 시인의 따스한 시선이 여전히 빛을 발하는 가운데 삶에 대한 단단한 의지와 인생을 성찰하는 경건한 자세가 담긴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지난 과오로 삶을 돌아보고 지금의 삶을 새로이 다지며 희망과 열정을 길어올리는 시인의 목소리가 묵직한 울림을 선사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사라지는 것들을 위한 영혼의 노래



아름다운 감성과 절제된 시어의 조화로 오랫동안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정호승 시인의 열번째 신작시집 『밥값』이 출간되었다. 3년 만에 발표하는 이번 시집에는 주변을 돌아보는 시인의 따스한 시선이 여전히 빛을 발하는 가운데 삶에 대한 단단한 의지와 인생을 성찰하는 경건한 자세가 담긴 시들이 실려 있다. 오래도록 기억되기에 충분한 또하나의 명편들이다.



1972년 등단 이래 40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시를 써오며 올해로 회갑의 나이를 맞은 만큼 시인은 그윽한 시선으로 인생을 노래한다. 그러나 단순히 추억을 회고하는 것이 아니라 그는 지난 과오를 돌아보고 지금의 삶을 새로이 다진다. 실패와 시련을 부정하지 않고 끝내 희망과 열정을 길어올리는 시인의 목소리는 그 자체로 묵직한 울림을 선사한다.



일생에 한번쯤 / 수덕사 수덕여관에 여장을 풀고 / 평생 오지 않았던 잠을 자보아라 / 열매 맺지 않는 꽃이 붉은 열매를 맺을 것이다 / (…) / 그래도 평생 오지 않는 잠이 있다면 / 수덕여관 샘물을 한 바가지 들이켜보아라 / 물 위에 코끼리를 타고 / 모든 쓸쓸한 사랑이 지나가버린다(「수덕여관」 부분)



인생을 돌아보고 그 속에서 가르침을 얻는 원숙함은 자연스레 죽음에 대한 사유를 동반한다. 시인에게 죽음이란 삶의 다른 이름으로 우리 곁에 늘 자리하면서 우리에게 더욱 가치있는 삶이 무엇인지를 반추하게 하는 거울이다. 이러한 성찰을 통해 그는 지금에 감사하며 자신의 길을 가다듬는다.



다시 길을 나와 밤길을 걸었다 / 별과 별 사이엔 별이 있다 / 나무와 나무 사이엔 나무가 있고 / 하늘과 땅 사이엔 붉은 달이 떠 있다 / 당신과 나 사이엔 아무도 없다 // (…) // 길을 나와 다시 새벽길을 걸었다 / 그동안 내 어둠을 밝혀준 별들에게 감사의 미소를 / 먼 길을 떠날 때마다 내 발을 쓰다듬어준 / 길가의 풀들에게 먼저 감사의 눈물을(「죽음준비학교」 부분)



시인은 지난 세월에 대한 반성의 자세를 일관한다. 아울러 근원적인 비애를 야기하는 현실의 남루함, 그로 인해 하루하루 세속에 찌들어가는 보통사람들의 죄의식을 자신의 것으로 체화한다. 자신 또한 현실 속에서 한없이 나약하고 이기적인 존재라는 겸허한 자각을 내보이는 시인은 그리하여 이러한 반성을 토대로 서로가 양보하고 희생하며 한데 어우러져 사는 삶을 소망한다.



내 짐 속에는 다른 사람의 짐이 절반이다 / 다른 사람의 짐을 지고 가지 않으면 / 결코 내 짐마저 지고 갈 수 없다 / 길을 떠날 때마다 / 다른 사람의 짐은 멀리 던져버려도 / 어느새 다른 사람의 짐이 / 내가 짊어지고 가는 짐의 절반 이상이다 / 풀잎이 이슬을 무거워하지 않는 것처럼 / 나도 내 짐이 아침이슬이길 간절히 바랐으나 / 이슬에도 햇살의 무게가 절반 이상이다 (「짐」 부분)



그러나 끝내는 성자(聖者)의 길(「최후의 만찬」 「벽돌」 등)과도 같은 저 희생을 실천하기란 너무도 어려운 일임을 시인 역시 잘 알고 있다. “늘 배가 부르면서도 아사감방에 갇혀 있”(「막시밀리안 콜베 신부님」)는 부끄럽고 미약한 존재이며 매일 힘겨운 일상에 치여 사는 평범한 이들에게 ‘인간다운’ 삶이란 거창한 것이라기보다 그들 각자가 자신의 조건 속에서 자그마한 고민과 실천을 키워나가는 것으로 충분할지 모른다. 시인은 그 인간다운 삶의 길을 ‘밥값’하는 것이라고 소박하고 아름답게 명명한다.



어머니 / 아무래도 제가 지옥에 한번 다녀오겠습니다 / 아무리 멀어도 / 아침에 출근하듯이 갔다가 / 저녁에 퇴근하듯이 다녀오겠습니다 / 식사 거르지 마시고 꼭꼭 씹어서 잡수시고 / 외출하실 때는 가스불 꼭 잠그시고 / 너무 염려하지는 마세요 / 지옥도 사람 사는 곳이겠지요 / 지금이라도 밥값을 하러 지옥에 가면 / 비로소 제가 인간이 될 수 있을 겁니다 (「밥값」 전문)



정호승의 시에서 모두가 밥값하는 세상의 상(像)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종교적인 성스러움을 의미하기도 하고, 자연의 경건함 속에 스며드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때로는 느림의 미학에서 얻는 깨달음과 상통하며, 어머니의 사랑을 통한 생명력에 비유되기도 한다. 혹은 이 모두가 조화를 이룬 모습이기도 하다.



진달래 핀 / 어느 봄날에 / 돌멩이 하나 주워 손바닥에 올려놓았다 / 돌멩이가 처음에는 / 참새 한 마리 가쁜 숨을 쉬듯이 / 가쁘게 숨을 몰아쉬더니 / 차차 시간이 지나자 잠이라도 든 듯 / 고른 숨을 내쉬었다 / 내가 봄 햇살을 맞으며 / 엄마 품에 안겨 / 숨을 쉬듯이(「부활」 전문)



결국 이 모든 것은 인간, 그리고 인간의 삶을 위한 노래이다. 오랜 세월을 ‘사람들’ 곁에 있는 것이 지칠 만도 하건만 그는 여전히 주변을 둘러보며 자신의 영혼을 가다듬으려 한다. 시인은 그렇게 정진한 자신의 존재와 시가 마침내 사람들의 영혼에 다가드는 순간을 꿈꾸는 듯하다. 각박한 현실 속에서도 희망의 가치를 잊지 않는 이들이 아직 남아 있는 한 그는 지금껏 그래왔듯 앞으로도 오래도록 우리 곁에 자리할 것이다.



온몸에 / 함박눈을 뒤집어쓴 / 하얀 첨성대 / 첨성대 꼭대기에 홀로 서서 / 밤새도록 별을 바라보다가 / 눈사람이 된 / 나(「소년」 전문)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봄비 / 입양 / 결빙 / 허공 / 밥값 / 득음정 / 운구하다 / 부활 / 모유 / 천사 / 고비 / 인삼밭을 지나며 / 물의 꽃 / 투우 / 설해목 / 선운사 상사화 / 거울 / 어느 벽보판 앞에서 / 비닐 하우스 성당 / 꽃 / 별들은 울지 않는다 / 새똥

제2부
물의 신발 / 전철이 또 지나가네 / 짐 / 충분한 불행 / 바닥에 쏟은 커피를 바라보며 / 죄송합니다 / 시계의 잠 / 명동성당 / 왼쪽에 대한 편견 / 휴대폰의 죽음 / 삼가 행복을 빕니다 / 풀잎에게 / 바다의 성자 / 폐사지처럼 산다 / 달팽이에게 / 도망자 / 수덕여관 / 종이코끼리 / 새는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다 / 거미

제3부
새들을 위한 묘비명 / 나의 방명록 / 웃음 / 밤의 비닐하우스 / 이중섭의 방 / 다산 주막 / 성탄절 / 나는 아직 낙산사에 가지 못한다 / 사라지는 것들을 위하여 / 물의 꽃 / 벽돌 / 징검다리 / 용서의 의자 / 죽음준비학교 / 마음의 준비 / 허토의 시간 / 흰 삽 / 점자시집을 읽는 밤 / 시집

제4부
눈길 / 젊은 느티나무에게 고백함 / 광화문에서 / 타인 / 뒷모습 / 백로 / 폭설 / 늪 / 그루터기 / 최후의 만찬 / 막시밀리안 콜베 신부님 / 모래시계 / 부평역 / 파도 / 심우장에 가다 / 증명사진 / 목련 / 성배 / 소년

해설|김유중
시인의 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