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정지용 전집 2 (산문)
저자 : 정지용
출판사 : 민음사
출판년 : 2016
ISBN : 9788937433559
책소개
1권
머리말: 『정지용 전집』을 다시 펴내며
1부 『정지용 시집(鄭芝溶詩集)』
1 바다 1/바다 2/비로봉(毘盧峰)/홍역(紅疫)/비극(悲劇)/시계(時計)를 죽임/아침/바람/유리창(琉璃窓) 1/유리창 2/난초(蘭草)/촉불과 손/해협(海峽)/다시 해협/지도(地圖)/귀로(歸路)
2 오월소식(五月消息)/이른 봄 아침/압천(鴨川)/석류(?榴)/발열(發熱)/향수(鄕愁)/갑판(甲板)우/태극선(太極扇)/카페 프란스/슬픈 인상화(印像畵)/조약돌/피리/다알리아/홍춘(紅椿)/저녁 햇살/벚나무 열매/엽서에 쓴 글/선취(船醉)/봄/슬픈 기차(汽車)/황마차(幌馬車)/새빨간 기관차(機關車)/밤/호수(湖水) 1/호수 2/호면(湖面)/겨울/달/절정(絶頂)/풍랑몽(風浪夢) 1/풍랑몽 2/말 1/말 2/바다 1/바다 2/바다 3/바다 4/바다 5/갈매기
3 해바라기씨/지는 해/띠/산 너머 저쪽/홍시/무서운 시계(時計)/삼월(三月) 삼짇날/딸레/산소/종달새/병/할아버지/말/산에서 온 새/바람/별똥/기차(汽車)/고향(故鄕)/산엣 색씨 들녘 사내/내 맘에 맞는 이/무어래요/숨기내기/비둘기
4 불사조(不死鳥)/나무/은혜(恩惠)/별/임종(臨終)/갈릴레아 바다/그의 반/다른 하늘/또 하나 다른 태양(太陽)
5* 밤/람프/발(跋) 박용철(朴龍喆)
2부 『백록담(白鹿潭)』
1 장수산(長壽山) 1/장수산 2/백록담(白鹿潭)/비로봉(毘盧峰)/구성동(九城洞)/옥류동(玉流洞)/조찬(朝餐)/비/인동차(忍冬茶)/붉은 손/꽃과 벗/폭포(瀑布)/온정(溫井)/삽사리/나비/진달래/호랑나비/예장(禮裝)
2 선취(船醉)/유선애상(流線哀傷)
3 춘설(春雪)/소곡(小曲)
4 파라솔/별/슬픈 우상(偶像)
5* 이목구비(耳目口鼻)/예양(禮讓)/비/아스팔트/노인(老人)과 꽃/꾀꼬리와 국화(菊花)/비둘기/육체(肉體)
3부 『지용 시선(詩選)』
1 유리창 1/난초/촉불과 손/해협
2 석류/발열/향수
3 춘설/고향
4 불사조/나무/다른 하늘/또 하나 다른 태양/임종
5 장수산 1/장수산 2/백록담/옥류동/인동차/폭포/나비/진달래/꽃과 벗
6* 노인과 꽃/꾀꼬리와 국화
부록
해설: 정지용의 시, 감정의 절제와 언어 감각/정지용 시 연보/정지용 연보
2권
목차
2권
머리말: 『정지용 전집』을 다시 펴내며
1부 『지용 문학독본(文學讀本)』
몇 마디 말씀/사시안(斜視眼)의 불행(不幸)/공동 제작(共同製作)/신앙(信仰)과 결혼(結婚)/C 양(娘)과 나의 소개장(紹介狀)/녹음 애송시(綠陰愛誦詩)/구름/별똥이 떨어진 곳/가장 시원한 이야기/더 좋은 데 가서/날은 풀리며 벗은 앓으며/남병사(南病舍) 7호실(七號室)의 봄/서왕록(逝往錄) 상(上)/서왕록 하(下)/우산(雨傘)/합숙(合宿) /다방(茶房) ‘ROBIN’ 안에 연지 찍은 색씨들/압천상류(鴨川上流) 상(上)/압천상류 하(下)/춘정월(春正月)의 미문체(美文體)/인정각(人定閣)/화문점철(畵文點綴) 1/화문점철 2/안악(安岳)/수수어(愁誰語) 1/수수어 2/수수어 3/수수어 4/옛글 새로운 정 상(上)/옛글 새로운 정 하(下)/내금강 소묘(內金剛素描) 1/내금강 소묘 2/꾀꼬리-남유 제1신(南遊第一信)/동백나무-남유 제2신/때까치-남유 제3신/체화(?花)-남유 제4신/오죽(烏竹)?맹종죽(孟宗竹)-남유 제5신/석류(石榴)?감시(甘枾)?유자(柚子)-남유 제6신/이가락(離家樂)-다도해기(多島海記) 1/해협병(海峽病) 1-다도해기 2/해협병 2-다도해기 3/실적도(失籍島)-다도해기 4/일편낙토(一片樂士)-다도해기 5/귀거래(歸去來)-다도해기 6/선천(宣川) 1-화문행각(畵文行脚) 1/선천 2-화문행각 2/선천 3-화문행각 3/의주(義州) 1-화문행각 4/의주 2-화문행각 5/의주 3-화문행각 6/평양 1(平壤)-화문행각 7/평양 2-화문행각 8/평양 3-화문행각 9/평양 4-화문행각 10/오룡배(五龍背) 1-화문행각 11/오룡배 2-화문행각 12/오룡배 3-화문행각 13/생명(生命)의 분수(噴水)-무용인(舞踊人)/조택원론(趙澤元論) 상(上)/참신(斬新)한 동양인(東洋人)-무용인 조택원론 하(下)/시(詩)의 위의(威儀)/시(詩)와 발표(發表)/시(詩)의 옹호(擁護)
2부 『산문(散文)』
1 머리에 몇 마디만/헨리 월레스와 계란(鷄卵)과 토마토와/민족 광복과 공식주의(公式主義)/산문(散文)/민주주의(民主主義)와 민주주의 싸움/남의 일 같지 않은 이야기/도야지가 사자(獅子) 되기까지/동경대진재(東京大震災) 여화(餘話)/평화일보(平和日報) 기자(記者)와 일문일답(一問一答)
2 조선시(朝鮮詩)의 반성(反省)/시(詩)와 언어(言語)/달과 자유(自由)/비/봄/새 옷/대단치 않은 이야기/「창세기(創世記)」와 「주남(周南)」, 「소남(召南)」/한 사람분과 열 사람분/장난감 없이 자란 어른
3 기상 예보와 미소공위(美蘇共委)/플라나간 신부(神父)를 맞이하여/남북 ‘회담’에 그치랴?/쌀/민족 반역자(民族反逆者) 숙청(肅淸)에 대하여/스승과 동무/응원단풍(應援團風)의 애교심(愛校心)/학생과 함께/여적(餘滴)/오무(五畝) 백무(百畝)
4 알파?오메가/‘여인소극장(女人小劇場)’에 대하여/무대(舞臺) 위의 첫 시험(試驗)-여인소극장 첫 공연 「고향」을 보고/무희(舞姬) 장추화(張秋華)에 관한 것/정훈모(鄭勳謨) 여사(女史)에의 재기대(再期待)-제7회 독창회를 앞두고/조택원(趙澤元) 무용에 관한 것-그의 도미 공연(渡美公演)을 계기로/관극소기(觀劇小記)-‘고협(高鋏)’ 제1회 공연/「정어리」에 대한 것/「어머니」 소인상(小印象) 부기(附記)/시집(詩集) 『종(鐘)』에 대한 것/『포도(葡萄)』에 대(對)하여/서(序) 대신-시인(詩人) 수형(琇馨)께 편지로/윤동주(尹東柱) 시집(詩集) 서(序)/윤석중(尹石重) 동요집(童謠集) 『초생달』/『가람시조집(嘉藍時調集)』에/『가람시조집』 발(跋)
5 역시* 평등(平等) 무종(無終)의 행진(行進)/눈물/신엄(神嚴)한 주검의 속살거림/나는 앉아서 바라본다
제자(弟子)에게/자유(自由)와 축복(祝福)/대로(大路)의 노래/군대(軍隊)의 환영(幻影)/관심(關心)과 차이(差異)
청춘(靑春)과 노년(老年)/목적(目的)과 투쟁(鬪爭)
3부 시집 수록 산문
1 『정지용 시집(鄭芝溶詩集)』: 밤/램프
2 『백록담(白鹿潭)』: 이목구비(耳目口鼻)/예양(禮讓)/아스팔트/노인(老人)과 꽃/꾀꼬리와 국화(菊花)/비둘기/육체(肉體)
부록
해설: 『문학독본』과 『산문』의 글-시정신과 산문적 글쓰기/정지용 산문 연보/정지용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