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교재.교구의 이론과 실제
교재.교구의 이론과 실제
저자 : 오연주
출판사 : 창지사
출판년 : 2015
ISBN : 9788942608256

책소개

본 책에서는 교재·교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통해서 교재·교구의 기본적인 원리를 습득해 나갈 수 있다.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가 교재·교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재료의 특성을 알고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교재·교구 제작시, 재료 사용 시 유의점 및 제작 방법을 다루었다. 실제편에서는 각 생활 영역별 교재·교구를 제작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실어 실제 교재·교구를 만들어서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예시들을 제시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유아들은 능동적이고 주도적이며 활동적이고 역동적입니다. 이러한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아의 놀이 활동을 의미 있는 활동으로 이끌어주는 자료들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교재·교구라 할 수 있습니다. 유아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교재·교구는 유아의 학습을 촉진시키며, 자신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교재와 교구를 가지고 놀이하는 동안 유아들은 자신이 경험하고 느낀 것들을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개념을 형성해 나갈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유아의 발달에 적절한 교재·교구를 제작하고 그것들을 활용하는 것 또한 교사의 중요한 역할이며 의무입니다. 교사가 교재·교구를 제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어떻게 다양하게 활용하느냐가 더욱 중요합니다. 따라서 유아에게 필요한 교재·교구를 제작하는 것은 교사들과 예비 교사들이 해야 하는 중요한 업무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예비 교사의 경우 제작 방법이나 제작 시 유의사항, 재료의 종류를 알지 못해 교재·교구를 제작하면서 어려움을 겪으며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부담스러운 교재·교구 제작이 아닌 유아들에게 지금 이 시기에 가장 필요하고 흥미 있는 것을 적절하게 제시해 줌으로써 유아들은 더욱 행복할 것이며, 이들을 보는 교사 역시 행복해질 것입니다.

이에 본 책에서는 교재·교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통해서 교재·교구의 기본적인 원리를 습득해 나갈 수 있습니다.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가 교재·교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재료의 특성을 알고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교재·교구 제작시, 재료 사용 시 유의점 및 제작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실제편에서는 각 생활 영역별 교재·교구를 제작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실어 실제 교재·교구를 만들어서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예시들을 제시하였습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Part Ⅰ 교재 교구의 이론

1장 교재 · 교구의 정의
1. 교재·교구의 정의
1) 교재·교구의 정의 및 가치
2) 유아 교재·교구의 필요성
2. 교재·교구의 선택
1) 교재·교구 구입 시 기준
2) 교재·교구 제시의 기준

2장 교재·교구의 이론적 배경
1. 호반의 교육 과정 시각화의 이론
2. 데일의 경험 원추 이론
3. 브루너의 경험분류 이론
4. 올슨의 효율적인 학습 이론
5. 교수매체의 기초이론
1)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혼합형 학습)
6. 시청각 교육 - 킨더(J. S. Kinder)의 지적과정이론
7. 시청각 교육 통신 - 핀(J. D. Finn)의 교수체제 - 검은 상자 개념
8. 벌로의 의사소통 모형

3장 교재 · 교구의 역사적 배경
1. 코메니우스
1) 기본 사상
2) 교수 원리
2. 루소
1) 기본 사상
2) 교수 원리
3. 페스탈로치
1) 기본 사상
2) 교수 원리
4. 프뢰벨의 은물
1) 기본 사상
2) 교수 원리
3) 은물과 작업
4) 은물의 종류
5. 몬테소리의 감각교구
1) 기본 사상
2) 교수 원리
3) 몬테소리 교구의 종류

4장 상품화된 교구
1. 상품화된 외국 교구 : 오르다
1) 구슬 감추기
2) 메모리 게임
3) 메모리 퍼즐 - 4단계
4) 끝 동물 이어가기
5) 얼굴 맞추기 빙고
6) 원숭이 얼굴
7) 세 그림 맞추기
8) 패스트 카드

5장 유아를 위한 교재 · 교구
1. 교재·교구의 제작 계획
1) 교재·교구 제작 절차
2) 교재·교구 제작 시 고려해야 할 사항
3) 교재·교구를 제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4) 교재·교구 제작 계획서 작성법
2. 교재·교구 재료 활용법 및 사용시 유의점
1) 교재·교구 재료 활용법
2) 교재·교구 제작을 위한 재료 사용시 유의점
3. 교재·교구 제작 방법의 실제
1) 그림자료
2) 움직이는 그림 자료 교재·교구 제작 방법
3) 융판자료
4) 자석 자료
5) 그룹게임 자료
6) 투시자료
7) 녹음교재
8) 주사위 만들기
9) 컴퓨터를 활용한 교재·교구

6장 교재 · 교구의 활용
1. 교재·교구의 활용 방법
1) 대집단 활동
2) 소집단 활동
2. 교재·교구의 전시
1) 교실이나 복도의 벽면이나 게시판을 활용할 경우
2) 영역을 이용하는 경우
3. 교재·교구의 보관
1) 세탁 및 청소를 한다
2) 보수 및 보충을 해서 교구를 보관한다
3) 각각의 교재·교구에 적당한 보관 방법을 찾아 보관한다.
4) 보관한 교재·교구들을 체계적으로 분류 · 조직한다.
5) 보관대를 준비한다
6) 교재·교구 활동안 작성방법

7장 흥미영역에 따른 교재 · 교구
1. 흥미영역 구성의 의미
2. 영아를 위한 흥미영역의 구성 및 교재·교구
1) 영아를 위한 흥미영역의 구성
2) 영역별 교재·교구
3. 유아를 위한 흥미영역의 구성 및 교재·교구
1) 흥미영역의 구성 및 교재·교구

Part Ⅱ 교재 ·교구의 실제

1. 유치원과 친구
2. 나와 가족
3. 우리동네
4. 동식물과 자연
5. 건강과 안전
6. 생활도구
7. 교통기관
8. 우리나라
9. 세계 여러나라
10. 환경과 생활
11. 봄
12. 여름
13. 가을
14. 겨울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