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휴먼이미지 & 커뮤니케이션 (몸과 마음 그리고 소통의 심리학)
휴먼이미지 & 커뮤니케이션 (몸과 마음 그리고 소통의 심리학)
저자 : 임윤선
출판사 : 창지사
출판년 : 2016
ISBN : 9788942608898

책소개

본 책은 필자가 과거에서부터 연구해온 부분들이 축적되어 정리된, 인간의 시각적 이미지로서 나타나는 휴먼이미지의 다양한 소통 즉,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이론과 실제의 내용이 담겨 있다. 앞으로 인간의 외적 아름다움에 힘쓰고 있는 현장의 전문인들과 함께 내적 치유까지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질 높은 상담의 스킬과 자세 그리고 방향과 방법들에 대한 학습과 훈련이 중심이 되도록 힘쓰는 데 이바지하는 시발점의 서적이 되기를 필자는 깊이 소망하는 바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필자는 예술치료라는 학문과 지도를 위한 교정에서 17년이라는 세월을 쌓아왔다. 이전에는 디자인을 전공하여 패션계통 광고기획과 디자인 일을 했었고 예술치료에 몸담고 일하기까지는 디자인의 창의적인 활동에 관심이 무척이나 많았다. 어언 17년 동안 20년 가까이 함께해 온 정신과 병원과 다양한 치료임상기관에서 학생들과 함께 연구하고 실습해 오면서 필자는 치료의 한계를 부딪치곤 했다. 그리고 한정된 치료대상과 틀 안에서 반복되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까닭에 새로운 무언가에 대한 갈급함이 항상 있어 왔다.

한국 사회에서 ‘치료’라는 단어는 비정상의 환자로 인식되어 일반사람들은 매우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석사학생들을 논문지도 해온 지도 10년이라는 세월이 다 되어가는 시점에서 책꽂이에 빼곡히 꽂혀 있는 논문들을 보면 거의 특정대상에 대한 비슷비슷한 분야의 주제들이다. “왜 대중적일 수는 없는 걸까? 수많은 이들이 마음 아파하고 고통스러워 하는데...”

실상 한국은 OECD 국가 중 자살 1위국을 14년 이상 당당히 고수하고 있다.
어찌 보면 안타깝고도 수치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왜 이 지경이 되어야만 할까? 왜 예방하거나 조치를 취할 수는 없는 걸까?
한 개인으로서 너무나도 과잉적인 오지랖이라고 할 수도, 뜨거운 애국심일 수도 있다. 나라도 뭔가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일개 개인인 나 한 사람이 시도하다 보면 한명두 명 뜻이 맞는 이들이 모이지 않을까 내심 희망도 가졌다.

암담하고 희망이 없는 지옥의 나라라는 ‘헬조선’ 악명까지 붙은 대한민국이란 나라가그래도 앞으로 빛이 나는 희망의 나라가 될 것이라는 소망을 가지고 있다. 예술치료라는 학문 자체는 인간을 변화시키고 자기치유의 힘을 지닌 멋진 치료의 학문이라고 알려져 있기도 하고 나 또한 경험한 사람 중 한 사람이다. 하지만 국내 어두운 상태와 굳게 닫힌 대중의 마음의 문을 열게 하기는 미흡한 부분이 다소 있다.

무엇이 대중을 도울 수 있는 걸까? 어떻게 하면 그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까?
새로운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일단 기본적으로 한국사회와 한국인에 대해 알아봐야 했다. 그래서 한국사회에 대한 동향과 한국인의 심리에 대해 알아보고 필자가 적을 둔 학회에서 연구한 바를 발표하고 게재하며 축적해 왔다. 한국인들은 외국에 대해 관심이 많고 외국인들에 대해 강한 동경심이 있지만 막상 자신들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는 아이러니컬한 특성이 있다.

그래서인지 국내 학계에서 한국인의 심리에 대한 연구가 그리 많지 않아 아쉬웠다. 이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해 온 분이 최상진 교수님이신데 최교수님은 올해 안타깝게 작고하셨다. 그분과는 안면도 없지만 자료를 늘 조사하고 책을 보면서 한국사회에 좋은 뜻을 두고 평생 연구해 오신 그분께 삼가 존경의 뜻을 늦게나마 표명하고 싶다.

-한국사회와 한국인의 심리에 대해 연구하면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야겠다는 돈키호테 같은 발상이 들기 시작한 것은 2010년 말쯤부터였다.
그때 이런 의문과 생각을 했다.

‘참으로 많은 것을 하고 여기까지 왔네. 디자인도 광고부터 시각디자인, 의류디자인, 뷰티디자인, 액세서리 디자인 등으로 패션으로까지… 이제는 예술치료니… 앞으로 또 다른 무언가를 할까? 아니면 여기서 멈출까?’
한국사회 속 대중은 마음에 상처가 많고 곯고 아프다.

하지만 그들은 막상 전문의를 찾아가거나 심리치료나 상담을 받으려 하지 않는다.
왜냐고? 집단중심사회이고 한국인은 타자 중심적 사고를 하는 특성을 지녔기 때문이다.정신과를 가면 의료증거가 남게 되고 증빙서류를 떼면 꼬리표처럼 평생 달게 될 테니 비정상으로 오인받거나 낙인찍혀 사회생활을 할 수 없을 거라는 불안심리가 커지게 마련이고 결혼은 물론 연애조차도 할 수 없을 거라 판단한다.
그게 바로 한국사회이다.
그렇다면 상처받은 아픈 마음은 어떻게 다스릴까?
알고 보니, 결과가 흥미로왔다.

미용실에 가서 헤어스타일에 변화를 주거나 피부 마사지를 받아 대리 위안 받는게 컸다. 또한 네일아트, 메이크업, 쇼핑으로 마음을 스스로 위로한다고 하는 이들이 대다수였다. 그밖에 점집을 찾는다거나 성형을 하거나 운동, 여행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아! 사람들은 자기 스스로 치유하기를 바라는구나! 그리고 일석이조로 남에게 더 좋게 보이고 싶은 욕구가 강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때부터 패션과 뷰티 쪽 분야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물론 매우 전문적으로 다가간 것은 아니다. 예술치료와 접목하면서 연구하는 것을 시초로 뜻 맞는 학생들과 함께 매체연구를 하기 시작했다. 수많은 시행착오와 오랜 시간들이 지나게 되었고 이제 휴먼이미지(Human Image)라는 인간상 중심의, 다양한 일상 자기치유로의 아름다움을 더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본 책은 필자가 과거에서부터 연구해온 부분들이 축적되어 정리된, 인간의 시각적 이미지로서 나타나는 휴먼이미지의 다양한 소통 즉,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이론과 실제의 내용이 담겨 있다. 앞으로 인간의 외적 아름다움에 힘쓰고 있는 현장의 전문인들과 함께 내적 치유까지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질 높은 상담의 스킬과 자세 그리고 방향과 방법들에 대한 학습과 훈련이 중심이 되도록 힘쓰는 데 이바지하는 시발점의 서적이 되기를 필자는 깊이 소망하는 바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장 휴먼이미지 커뮤니케이션(Human Image & communication)의 이해

인류문명과 소통

인간의 발달과정과 특성

휴먼이미지와 커뮤니케이션

휴먼이미지와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소셜아톰(Social Atom)



2장 휴먼이미지 커뮤니케이션 : 언어학

사회란 무엇인가?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이란?

인간의 사회적 관계와 집단소속의 중요성

사회관계의 기본구조 - 언어

상호작용의 제도화

집단 내 조직적 무언의 의사소통에 관한 특성

‘우리’라는 언어적 표현과 개념이 지니는 문화사회의 모호한 경계선

언어와 커뮤니케이션 : 한글과 소통

휴먼이미지 커뮤니케이션 실제: 한글



3장 휴먼감각과 심리의 활용

놀이와 예술 - 호모 루덴스(home ludens)

인간과 예술

예술행위가 지니는 치유성

예술치료(Art Therapy)란 무엇인가?



4장 휴먼이미지와 커뮤니케이션의 대상관계

관계의 심리학

관계이론의 대표이론



5장 휴먼이미지와 커뮤니케이션의 언어: 몸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변화

몸을 바라보는 시각과 패션심리



6장 가시적 자기의 휴먼이미지와 커뮤니케이션 관리

‘지금-여기’를 중요시하는 게슈탈트심리학

가시적 자기

한국사회의 특성과 가시적 자기로서 외적표현의 중요성

한국인의 문화사회심리 특성과 외모심리

한국사회와 우울증



7장 휴먼이미지 테라피(Human Image Therapy)의 이론과 실제

자존감과 외모 그리고 패션의 관계

자존감, 정체성 그리고 성형문제

외모와 성격의 관계

패션과 심리: 나를 알려주고 보여주는 언어 ‘패션’

패션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무욕증 환자의 심리치료에서 나타난 패션의 변화

시각적 이미지 : 첫인상을 좌우하는 ‘가시적 자기’

사회에서의 시각적 이미지

휴먼이미지의 에너지와 효과

휴먼이미지 - 패션에는 파워가 있다!

셀프 휴먼이미지 테라피 - [Self Box]

인간과 자기(Self)

패션언어와 신체 장식설

“새로움이야말로 패션을 매혹적으로 만든다”- 칸트(Kant, Immanuel)

자기 신뢰도 진단 - Self Reliance Inventory

셀프 휴먼이미지 테라피의 실제

칭찬 거울

메이크 오버 콜라주

아니마/아니무스 콜라주



8장 휴먼이미지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소통전달 피드백

소통이론의 이해

의사소통 수단의 발달 과정

의사소통의 방법: 경어법

효과적인 소통의 방법론

의사소통의 기술

소통의 핵심키워드 “경청”

비효과적인 의사소통



9장 휴먼이미지와 커뮤니케이션에서의 Self(자기) PR과 자기컨트롤

Self(자기) PR

커뮤니티의 실행

휴먼이미지와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자기컨트롤

성격과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심리학

자기컨트롤(Self control)의 방법론 : 반복의 중요성

자기 통제와 절제 : 성공사례

신체적 한계를 자신만의 방법으로 극복한 이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