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보육학개론
보육학개론
저자 : 조유나
출판사 : 창지사
출판년 : 2019
ISBN : 9788942611997

책소개

▶ 이 책은 유아보육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유아보육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보육에 대한 기초적 이해 13

1. 보육의 필요성 14

1) 육아의 사회화 14

2) 보육의 관점 15

3) 보육의 질 17

2. 보육의 개념과 정의 19

1) 사회복지적 접근 20

2) 유아교육적 접근 21

3) 보육의 정의 22

3. 최근 보육의 동향 23

1) 국내의 보육동향 23

2) 외국의 보육동향 25



제2장 보육의 역사 29

1. 외국의 보육 사상에 대한 이해 30

1) 보육과 중세 30

2) 17~18세기 보육사상 31

3) 19~20세기의 보육사상 36

2. 우리나라 보육의 역사 42

1) 한국유아교육의 기원 42

2) 우리나라 보육의 역사 43



제3장 우리나라 보육의 제도적 특징 51

1. 어린이집 유형 52

1) 설립주체에 따른 분류 52

2) 운영시간 따른 분류 56

3) 보육대상에 따른 분류 59

2. 보육선진국 제도 및 정책 61

1) 스웨덴 62

2) 핀란드 65

3) 영국 66

4) 프랑스 68

5) 미국 72

6) 일본 74



제4장 영유아 발달과 보육 80

1. 발달의 이해 80

1) 발달의 이해 80

2) 발달의 특성과 원리 81

2. 발달 이론 84

1) 성숙주의 이론 84

2) 행동주의 이론 86

3) 구성주의 이론 90

3. 영유아 발달 특성과 보육 94

1) 신체발달 95

2) 뇌발달 99

3) 정서 발달 100

4) 언어발달 101

5) 기억발달 104

6) 지능 및 창의성 발달 106

7) 사회성 발달 108

8) 발달에 적합한 영유아보육 109



제5장 보육교직원 자격과 역할 111

1. 보육교직원의 정의 112

2. 보육교사의 자질 112

1) 보육교사 113

2) 어린이집 원장 116

3. 보육교직원의 역할 117

1)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역할 118

2) 영유아 발달 특성에 따른 교사의 역할 120

4. 보육교직원의 자격 124

1) 어린이집 원장 125

2) 보육교사 127

5. 보육교직원의 교육 129

1) 보육교직원의 양성교육 129

2) 보육교직원의 보수교육 132



제6장 보육과정 135

1. 보육과정의 이해 136

1) 보육과정의 개념 136

2) 보육과정의 원리 137

3) 보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138

4) 보육과정의 영역 139

2. 국가 수준의 표준보육과정 153

1) 표준보육과정의 기초 153

2) 표준보육과정의 변천 154

3) 표준보육과정의 기본 방향 155

4)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156

3. 보육과정과 보육프로그램 159

1) 몬테소리 프로그램 160

2) 프로젝트 접근법 163

3)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 프로그램 165

4) 발도르프 유아교육 168

5)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172



제7장 보육환경 177

1. 보육환경의 중요성 178

2. 보육환경의 구성 원리 182

3. 어린이집 실내 환경 구성 185

1) 영아보육환경 188

2) 유아보육환경 193

3) 보육지원환경 197

4. 실외 놀이 환경 200

1) 실외놀이 환경의 구성원리 201

2) 실외 공간 구성의 원칙 203

3) 실외놀이 환경 영역 205



제8장 건강·영양·안전 관리 211

1. 건강관리 212

1) 건강 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212

2) 영유아 건강관리 내용 213

3) 건강교육 215

4) 질병 관리 216

2. 영양관리 221

1) 영유아기 영양관리 221

2) 급식관리 226

3. 안전관리 233

1) 안전 관리 중요성 233

2) 영유아 안전사고 현황 234

3) 안전사고의 예방 238

4) 안전교육 244

5) 아동학대 246



제9장 어린이집 운영관리 253

1. 어린이집 운영관리 254

1) 어린이집 운영관리의 개념 254

2) 운영관리의 원리 255

3) 효과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요소 258

2. 어린이집 운영관리의 영역 260

1) 원아 관리 260

2) 교직원 관리 261

3) 보육과정 관리 262

4) 어린이집 환경 관리 262

5) 학부모 관리 262

6) 사무관리 263

7) 재정 관리 264

8) 대외관계 265

3. 부모와의 연계 265

1) 부모와의 연계의 중요성 265

2) 어린이집 부모교육 268

3) 부모 상담 270

4) 부모 참여 273

4. 지역사회 연계 275

1) 지역사회와 연계의 필요성 275

2) 지역사회 자원 활용 유형 277

3) 성공적인 어린이집, 가족,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특징 279

4) 지역사회 연계의 실제 279



제10장 보육평가 285

1. 보육평가의 중요성과 목적 286

2. 보육평가의 대상과 내용 287

1) 영유아평가 288

2) 교사평가 298

3) 보육프로그램 평가 300

4) 어린이집 평가 301

3. 평가결과의 활용 302

4.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 302

1) 평가인증제도의 배경 및 목적 302

2) 평가인증 지표 및 운영체계 304

3) 평가인증 과정 306

4) 평가인증 통합지표의 구성 체계 308



제11장 보육정책의 전망 311

1. 보육전달체계 312

1) 국가 수준의 보육전달체계 312

2) 지역 수준의 보육전달체계 314

3) 영유아보육법에 근거한 보육정책위원회 314

4) 보육지원기관 315

2.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319

1) 보육정책의 변화 319

2) 보육정책의 성과 321

3) 보육정책의 과제 324



참고문헌 328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