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21세기의 청소년 복지론
21세기의 청소년 복지론
저자 : 조성연 유진이 박은미 정철상 도미향 길은배
출판사 : 창지사
출판년 : 20210813
ISBN : 9788942614554

책소개

조기교육, 저출산, 학업중도탈락 등의 아동·청소년과 관련한 사회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국가는 청소년복지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리하여 중앙정부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관련 법규를 제정하여 다양한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여러 가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2020년 5월에는 〈포용국가 청소년정책 방향〉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100년, 이제는청소년이다.”를 슬로건으로 미래 청소년정책의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COVID-19와 같은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은 그동안 유지해 왔던 다양한 청소년활동을 위축시켰을 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학교생활마저 위협하는 상황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더욱이 빠른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다양한 문화가 선별되지 못한 채 청소년에게 전달되어 아직 그러한 능력을 갖추지 못한 청소년으로 하여금 정보의 바다에 빠지게 했을 뿐만 아니라 유해환경에도 쉽게 노출되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지난 수십 년 동안 정부의 청소년과 관련한 다양한 법과 제도의 신설과 개정 등으로 청소년복지에 대한 관심과 정책 및 제도는 괄목할 만한 성장과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에 대한 각종 제도와 정책은 청소년이 미래 사회를 위한 국가적 동량이라고 주장하는 것만큼의 필요성이나 요구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사회 전반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청소년을 위한 복지는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우리나라의 당면과제이기 때문에 가정이나 학교, 국가는 청소년이 건전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조기교육, 저출산, 학업중도탈락 등의 아동·청소년과 관련한 사회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국가는 청소년복지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리하여 중앙정부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관련 법규를 제정하여 다양한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여러 가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2020년 5월에는 〈포용국가 청소년정책 방향〉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100년, 이제는청소년이다.”를 슬로건으로 미래 청소년정책의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COVID-19와 같은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은 그동안 유지해 왔던 다양한 청소년활동을 위축시켰을 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학교생활마저 위협하는 상황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더욱이 빠른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다양한 문화가 선별되지 못한 채 청소년에게 전달되어 아직 그러한 능력을 갖추지 못한 청소년으로 하여금 정보의 바다에 빠지게 했을 뿐만 아니라 유해환경에도 쉽게 노출되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지난 수십 년 동안 정부의 청소년과 관련한 다양한 법과 제도의 신설과 개정 등으로 청소년복지에 대한 관심과 정책 및 제도는 괄목할 만한 성장과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에 대한 각종 제도와 정책은 청소년이 미래 사회를 위한 국가적 동량이라고 주장하는 것만큼의 필요성이나 요구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사회 전반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청소년을 위한 복지는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우리나라의 당면과제이기 때문에 가정이나 학교, 국가는 청소년이 건전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특히, 현대사회에서의 청소년은 NZ세대, Z세대, N세대, alpha세대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가 생겨나면서 기성세대와 다른 가치관과 생활양식을 가지고 다양한 욕구와 생활양식을 추구한다.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은 틀에 박힌 학교생활이나 대학입시 등으로 사회적·정신적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과거와 달리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최근의 이슈에 대해 자신의 주장을 솔직하게 표현함으로써 보다 진취적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하는 등 이전 세대와는 확연하게 다른 모습을 보인다.

-2016년에 전면개정된 『최신 청소년복지론』을 출간하였다. 그 후, 어느덧 5년여의 시간이 흘러 관련법이 개정되고, 제6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18~2022)이 발표되는 등 새로운 청소년정책과 청소년복지서비스 등이 제시되면서 청소년복지환경이 변화되었다. 이에 기존의 내용을 대폭 수정하여 금년에 미래 사회를 지향하면서 새롭게 본서를 출간하게 되었다.

-본서는 총 4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발달과정, 접근방법 등 청소년복지의 기초적인 측면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2부는 청소년복지관계법, 청소년복지행정과 서비스 전달체계를 2개 장으로 구성하였다.
제3부는 청소년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 즉 중독, 성, 가출, 학업중단, 일, 폭력, 시설보호 등과 같은 청소년복지의 실제를 6개 장으로 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제4부는 외국의 청소년복지정책과 미래 청소년복지의 과제와 전망에 대해 살펴보았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2



PART 1. 청소년복지의 기초



Chapter 1 청소년복지의 이해 15

1. 청소년기의 개념과 환경 16

1) 청소년기의 개념 16

2) 청소년의 생활환경 19

3) 청소년의 사회환경 22

2. 청소년의 발달 24

3. 청소년복지 27

1) 청소년복지의 개념 27

2) 청소년복지의 학문적 배경 29

4. 청소년의 권리 33

1) 청소년기본권 33

2) 청소년의 학생인권 38



Chapter 2 청소년복지의 발달과정 41

1.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의 발달 42

1) 청소년복지 개념 형성 이전의 발달 42

2) 우리나라 청소년복지 개념 형성 이후의 발달 47

2. 외국 청소년복지의 발달 61

1) 산업화 이전의 청소년보호 61

2) 산업화 이후의 청소년보호 62



Chapter 3 청소년복지의 접근방법 67

1. 정책적 접근방법 68

1) 청소년정책과 복지환경의 변화 68

2) 지역사회청소년 통합지원체계(CommunityYouth Safety-Net: CYS-Net) 76

3) 학교 밖 청소년 지원사업 80

4)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예방·해소사업 81

5) 방과후 아카데미 사업 82

6) 청소년활동 83

2. 전문적 접근방법 85

1) 개별사회사업 85

2) 집단사회사업 86

3) 지역사회조직 87

3. 통합적 접근방법 88

4. 청소년참여 89

1) 청소년참여의 의의 90

2) 청소년참여의 원리 91

3) 청소년참여 정책의 현황 93



PART 2. 청소년복지관계법과 서비스 전달체계



Chapter 4 청소년복지관계법 105

1. 「청소년복지 지원법」 106

1)「청소년복지 지원법」의 제정 의의 106

2)「청소년복지 지원법」의 내용 106

2. 청소년복지관계법 116

1)「아동복지법」116

2)「한부모가족지원법」 123

3)「근로기준법」 126



Chapter 5 청소년복지행정 및 서비스 전달체계 129

1. 청소년복지행정의 이해 130

1) 청소년복지행정의 개념 130

2) 청소년복지행정의 이념 131

3) 청소년복지행정의 원칙과 행정가의 자세 132

2. 청소년복지행정의 전달체계 134

1) 청소년복지 정책기구 134

2) 청소년복지행정기관 137

3) 청소년복지 관련 전문인력 144

4) 청소년복지행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146



PART 3. 청소년복지의 실제



Chapter 6 청소년과 중독 151

1. 약물중독과 청소년 152

1) 약물중독 관련 개념 152

2) 청소년의 약물중독 요인 154

3) 약물중독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157

4) 약물중독 청소년 현황 159

5) 약물중독 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와 과제 176

2.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과 청소년 183

1)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의 개념과 단계 186

2)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유형 188

3) 청소년의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발생 요인 196

4)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197

5)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 203



Chapter 7 청소년과 성 211

1. 청소년 성매매의 개념 212

2. 청소년 성매매의 발생요인 215

1) 개인적 요인 215

2) 가족 관련 요인 216

3) 친구 관련 요인 217

4) 학교 관련 요인 217

5) 기타 사회·문화적 요인 218

3. 성매매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221

1) 개인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221

2) 사회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222

4. 청소년의 성 관련 현황 223

1) 청소년의 성경험 현황 223

2) 청소년 성매매 현황 224

5. 성매매 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와 과제 228

1) 성매매 청소년관계법 228

2) 성매매 청소년을 위한 복지실천과 과제 230



Chapter 8 청소년과 가출 241

1. 가출청소년(가정 밖 청소년)의 정의 및 유형 242

1) 가출청소년(가정 밖 청소년)의 정의 242

2) 가정 밖 청소년의 유형 244

2. 청소년가출의 원인 250

1) 개인요인 251

2) 가족요인 251

3) 학교요인 252

4) 사회적 요인 253

3. 가출청소년(가정 밖 청소년)의 현황 및 문제 254

1) 가출청소년(가정 밖 청소년)의 현황 254

2) 가출청소년(가정 밖 청소년)의 문제 255

4. 가출청소년(가정 밖 청소년)을 위한 정책 및 서비스 259

1) 청소년가출의 예방 259

2) 가출청소년 보호 262

5. 청소년가출에 대한 과제 266



Chapter 9 청소년과 학업중단 269

1. 청소년기 학업중단의 의미 270

2.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 272

1)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및 유형 272

2) 학교 밖 청소년이 되는 원인 275

3)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 277

3. 학교 밖 청소년의 현황 279

4.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복지정책과 서비스 280

1)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281

2)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꿈드림) 282

3) 학업중단 숙려제 283

4) 대안교육을 포함한 교육기회 제공 284

5) 직업체험 및 직업교육훈련 286

6) 상담 및 심리치료 서비스 286

5.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과제 287



Chapter 10 청소년과 폭력 291

1. 집단따돌림 292

1) 집단따돌림의 개념 292

2) 집단따돌림의 원인 294

3) 집단따돌림의 현황 297

4) 집단따돌림의 해결방안 298

2. 학교폭력 299

1) 학교폭력의 개념 299

2) 학교폭력의 원인 및 문제 300

3) 학교폭력의 현황 304

4) 학교폭력의 해결방안 305

3. 청소년 자살 308

1) 청소년 자살의 개념 및 특징 308

2) 청소년 자살의 원인 및 문제 309

3) 청소년의 자살 현황 311

4) 청소년 자살의 대처방안 314



Chapter 11 청소년과 시설보호 317

1. 시설보호사업의 개념 및 의의 318

1) 시설보호사업의 개념 및 유형 318

2) 시설보호사업의 목적 319

2. 시설보호의 유형 320

3. 시설청소년의 특성 및 문제점 322

1) 시설청소년의 특성 322

2) 시설청소년의 문제점 323

4. 시설보호의 현황 및 문제점 324

1) 시설보호의 현황 324

2) 시설보호의 문제점 326

5. 보호시설의 개선방안 328

1) 시설청소년의 양육보호 수준 향상의 필요성 328

2) 전문종사자의 처우 개선 329

3) 시설의 표준운영체계 마련 329

4) 보호시설의 소규모화 329

5) 시설의 지역별 배치의 재조정 330

6) 시설 내 청소년을 위한 전문적 상담의 증대 330

7) 전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330



PART 4. 청소년복지의 과제와 전망



Chapter 12 외국의 청소년복지 동향 335

1. 미국의 청소년복지정책 336

1) 미국 청소년복지정책의 특징 336

2) 청소년복지정책의 대상 및 사업 337

3) 청소년복지정책의 전달체계 339

4) 주요 프로그램의 내용 339

2. 일본의 청소년복지정책 342

1) 일본 청소년복지정책의 특징 343

2) 청소년복지정책의 대상과 사업 344

3) 청소년복지정책의 전달체계 346

4) 주요 프로그램 347

3. 독일의 청소년복지정책 349

1) 독일 청소년복지정책의 특징 349

2) 청소년복지정책의 전달체계 350

3) 주요 프로그램 현황 350

4. 국가별 청소년복지의 시사점 353

1) 미국의 청소년정책 353

2) 일본의 청소년정책 354

3) 독일의 청소년정책 355

4) 유럽의 청소년정책 356



Chapter 13 청소년복지의 과제와 전망 359

1. 청소년복지의 과제 360

1) 청소년에 대한 개념의 정립과 통일 360

2) 청소년복지에 대한 국가적 책임 인식 361

3) 청소년복지에 대한 통합적인 통계시스템 구축 362

4) 청소년복지관련법에 대한 정비 363

5) 청소년복지 행정체계의 정비 363

6) 청소년복지 전문인력의 확보 및 전문성 제고 364

7) 청소년복지 종사자의 근무환경 개선 365

8) 청소년의 인권 보호 및 참여 확대 365

2. 청소년복지의 전망 366



참고문헌 369

저자소개 383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