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저자 : 오미희 이태희 박순미 배은석 김수림
출판사 : 창지사
출판년 : 20230905
ISBN : 9788942618378

책소개

디지털시대는 신개념의 윤리적 도전을 제시 한다. 인공지능을 일상생활에 성급히 통합할 수는 없겠지만, 도덕적 복잡성이 존재한다는 것은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 저출산·초고령사회에서 초래하는 개인의 위해를 보호하고 그들의 자율성과 균형이 유지되도록 보장하는 사회적 책임이 확고하지 못할 때 윤리적 딜레마가 발생할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러한 시대 사회복지사의 관심은 난해한 도덕적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를 깊이 숙고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상충하는 도덕적 의무, 권리와 가치에 직면했을 때 발생하는 윤리적 의사결정의 까다로운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사 개인의 가치관을 반영하기는 쉽지 않다.
철학(philosophy)은 사회복지사에게 생각하는 힘의 중요성을 알게 하고, 윤리(ethics)는 철학의 한 분야로 사람과 사람이 어울리며 어떤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은가 또는 그 행동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다루는 개념이다. 윤리와 철학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전문가적 윤리를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행동하는 윤리적 실천가를 길러내는 데 있다. 사회복지사는 언제나 클라이언트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나는 무엇을 추구하는가?’ 와 같은 철학적 질문을 통해 사회복지의 본래 사명과 정체성을 분명히 하여 그들에게 최선의 이익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사회복지사의 「 윤리적 가치판단」과 「 철학적 사고」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매우 중요하다. 사회복지기관(시설) 또는 동료들과의 가치와 윤리적 판단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와도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들은 다양한 현실적 문제를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개인적 융통성과 유연성으로 윤리적 실천에 민감해야 한다. 민감성을 갖춘다는 것은 실천 현장에서 윤리적 문제의 불가피성을 인정하고 그 대안을 예측하여 사전에 충분히 준비하는 태도이다. 게다가 AI 기술이 가져오는 디지털시대를 맞이하면서 ‘인공지능 윤리(AI Ethics)’의 중요성이 강조되므로 전문가들은 다양한 윤리적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문제의 원인을 살펴보며 여러 관점을 통합하여 미래역량을 갖출 수 있는 ‘윤리의식’ 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사회복지 전문직은 시대적 변화에 따른 가치 지향의 학문적 이념을 기반하여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를 토대로 자신의 임무를 수행해야 하므로 그 책임감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 아래 「 디지털시대의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에서는 기술혁신의 발달과 함께 인권과 생명의 존엄성에 관심을 두는 실천가로서 사회정의를 실현하고 사회복지 전문직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저자 모두는 사회복지실천 현장뿐만 아니라 윤리적 가치와 철학적 이념에 관심이 있는 전문가들을 위해 사용하는 것에 집필의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경험하는 「윤리적인 문제 해결방법」을 어떻게 전달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고민하였다. 전공 과정에서 많은 이론을 습득하지만, 이를 적용하는 기술은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의사결정 모델 이론을 사례관리에 적용하는 진행 과정’ 을 제시하기로 하여 차별성을 두었다.

-이 책은 전체 4부 13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 제1장에서는 사회복지에서 왜 철학을 이해해야 하는지를 알고 철학의 개념과 특성 및 체계를 논하였다. 제2장 에서는 고대 철학 사상으로 접근하여 소크라테스의 앎과 가치,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의 개념, 플라톤의 이데아 사상을 다루었다. 제3장에서는 현대 철학사상을 알기 위해 목적론적 윤리이론과 의무론적 윤리이론의 흐름을 파악하고, 공리주의와 칸트의 윤리학, 롤즈의 정의론과 공동체주의를 통해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AI가 일상과 밀접해지는 인공지능의 등장과 윤리에 대한 사전적 준비를 강조하였다.
제2부 제4장에서는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가치의 개념과 중요성 및 윤리의 유형을 구분하고 실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치와 윤리의 관계를 다루었다. 제5장에서는 사회복지사가 형성해야 할 윤리관을 정립하고 윤리학의 연구영역에 따른 개념과 분석적 측면에서의 가치와 윤리에 접근했다. 제6장에서는 사회복지의 주요 가치인 사회정의의 개념과 가치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실천 현장에서 필요한 다양성과 차이점, 사회연대와 사회통합 및 자유의 가치를 소개하였다.
제3부 제7장에서는 사회복지 전문직 윤리강령의 기능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한국과 주요나라의 사회복지협회 윤리강령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8장에서는 사회복지실천에서 발생하는 가치 갈등 상황을 이해하며 윤리적 쟁점의 내용과 쟁점 간의 한계를 정리하였다. 제9장에서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갈등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의 내용과 학자별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10장에서는 디지털윤리의 필요성과 사회복지와의 연관성을 모색하고, 공공의 이익과 사회적 책임 및 개인의 복지와 권리보호를 강조하고 이에 대한 실천사례를 정리하였다.
제4부 11장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과「비밀보장」의 사례를 제시하고 이를 로웬버그와 돌고프의 문제 해결 과정과 윤리적 원칙 심사표에 적용하였다. 제12장의 클라이언트 「개별화」와「수용원리」 사례는 리머의 의사결정모델과 콩그레스의 모델에 적용하였다. 13장의 클라이언트의 「목적 있는 감정표현」, 「비심판적태도」, 「통제된 정서적 관여」 의 사례에서도 각각 로웬버그와 돌고프, 리머, 콩그레스의 ETHIC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 책에서 차별성을 둔 4부는 「사회복지실천론」에서 강조한 ‘비에스텍(Bi-estek)의 관계의 7 원칙’을 기반하여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문제해결과정은 제9장에서 학습한 윤리적 모델을 적용하였다. 자유토론 공간을 마련하여 그룹별로 주어진 주제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도록 메모장을 남기었다.
그리고 학습자가 윤리적 딜레마에 직면하였을 때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가를 알아야 한다는 것과 의사결정 모델을 실제 적용하여 주도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단계적 절차를 만들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의 기초 9

1장 사회복지철학의 이해 10
1. 사회복지와 철학 10
2. 철학의 기초 이해 12
3. 철학과 사회과학 18
4. 사회복지 철학의 개념과 하위체계 20

2장 고대 철학 사상의 이해 29
1. 소크라테스 대화법 30
2. 아리스토텔레스의 앎과 덕 32
3. 플라톤의 이데아 사상 36
4. 고대 철학 사상과 사회복지철학 39

3장 현대 철학 사상의 이해 41
1. 목적론과 의무론적 윤리이론 42
2. 공리주의 45
3. 칸트의 윤리학 54
4. 롤즈의 정의론 56
5. 공동체주의 65
4. 인공지능 윤리학 72

제2부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적 관계 79

4장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 관계 80
1. 가치이론 80
2. 윤리이론 84
3. 사회복지 전문직 가치와 윤리 86

5장 사회복지 윤리학의 이해 101
1. 개념과 역할 101
2. 연구영역과 구성 요소 110
3. 사회복지윤리 분석틀 118
4. 사회복지 윤리 구성요소 간 긴장과 충돌 120

6장 사회복지의 주요 가치 122
1. 휴머니즘과 사회정의 122
2. 다양성과 차이 134
3. 사회연대와 통합 135
4. 자유 137

제3부 사회복지실천의 윤리강령 및 쟁점 139

7장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140
1. 사회복지 전문직 141
2.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 144
3. 외국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153
4. 사회복지 전문직의 윤리적 책임과 한계 161

8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갈등과 윤리적 갈등 163
1.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가치 갈등 164
2.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발생되는 윤리적 갈등 178
3. 가치 갈등과 윤리적 쟁점의 한계 187

9장 윤리적 갈등 해결을 위한 윤리적 의사결정모델 189
1.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 190
2.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 198
1) 로웬버그와 돌고프의 모델 198
2) 리머의 모델 202
3) 콩그레스의 모델 205
4) 마티슨 모델 206

10장 디지털시대의 윤리 209
1. 디지털윤리란? 209
2. 디지털윤리의 필요성 210
3. 사회복지와 디지털윤리의 연관성 211
4. 사회복지와 디지털윤리의 상호작용 212
5. 사회복지와 디지털윤리에 대한 실천사례 215

제4부 윤리적의사결정 모델기반의 사례관리방법 221

11장 의사결정모델 적용의 윤리적 딜레마와 사례관리(1) 222
1.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역할 223
2. 클라이언트의 「비밀보장」 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역할 228

12장 의사결정모델 적용의 윤리적 딜레마와 사례관리(2) 235
1. 클라이언트의 「개별화」와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역할 235
2. 클라이언트 「수용」의 한계와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역할 241

13장 의사결정모델 적용의 윤리적 딜레마와 사례관리(3) 246
1. 클라이언트의 「목적 있는(의도적인) 감정표현」 246
2. 클라이언트의 「비심판적 태도(비판단적 태도)」 253
3. 클라이언트의 「통제된 정서적 관여」 261

참고문헌 267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