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교과서 출판의 진실
교과서 출판의 진실
저자 : 이종국
출판사 : 일진사
출판년 : 2011
ISBN : 9788942912452

책소개

『교과서 출판의 진실』은 교과서와 출판에 관한 내용을 다룬 책이다. 두 가지 주제가 한 몫으로 추구하는 바람직한 모습, 즉 출판의 진실이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찾아내고자 했다. 전체를 두 부문으로 나누어, 제1부는 교과서에 관한 논의와 교과서 평설을 아울렀다. 제2부에서는 출판연구와 일련의 평설을 수록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글의 사용과 글에 의한 개인 과정을 문명사라 말한다. 새삼스러운 지적이지만, ‘문명’의 본뜻이 ‘글이 밝히는 빛’이라는 의미이고 보면, 그 끼친바 영향이야말로 어림하기조차 곤란하다.

글은 인간 세상의 어둠을 비추는 빛으로 존재한다. 그래서 글의 세계로부터 닫히 srjt을 ‘문명’이라 했고, 그 반대로 문명에의 혜택을 ‘개안’이 라 일러왔는데, 이는 예삿일이 아니다. 글의 집합이 책으로 성편되어 교육과 문화를 이끌었다. 그것은 위대한 힘의 끈으로 존재해 왔다.

새삼스럽게도 교과서처럼 치열한 개안 수단도 없었을 것이다. 이것이 한 권의 책인 한에서는 출판행위에 의한 출판물로 태어나기 마련이다. 그래서 출판이 추구하는 진실이란 결국 근본의 힘을 알게 하는 데 그 소임이 바탕한다. 좋은 교재의 생산, 바람직한 출판문화를 누린다는 것은 현재의 장래에 대응한 이상적인 사회화 과정이기 때문이다. 가장 오래된 출판물인 교과서와 모든 수단의 진화, 팽창을 견인한 출판의 의미를 다시 새롭게 생각해 보는 이유도 그런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 책이름 : 의 본문 한글 줄기를 따내어 구성함.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 3



제 1부 교과서 출판의 과정적 위상



제1편 교과서 출판 연구

·교과서 출판의 지향적 과제

Ⅰ. 서론―교육산업 생산물로서의 교과서 / 13

1. 문제의 제기 / 13

2. 연구 목적 / 17

Ⅱ. 교과서에 대한 인식 / 19

1. 교과서관의 변화 / 19

2. 오늘에 기대하는 교과서 / 25

Ⅲ. 교과서 출판 현상과 지향점 / 32

1. 교과서 출판의 현상적 점검 / 32

2. 앞으로의 지향 / 36

Ⅳ. 결론 / 52

·교과서 출판의 전환적 위상

Ⅰ. 서론―문제의 제기 / 60

Ⅱ. 제7차 교육과정의 성립과 특징 / 63

1. 제7차 교육과정의 성립 / 63

2.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 64

Ⅲ. 제7차 교육과정기의 교과용 도서 편찬/발행 / 68

1. 교과용 도서 편찬/발행 실태 / 69

2. 교과용 도서 체제 개선과 출판 형식의 특징 / 88

Ⅳ. 결론 / 101

·정부 수립 이후 교과서의 위상에 대한 이해

Ⅰ. 서론―문제의 제기 / 106

Ⅱ. 정부 수립 이후 교과서의 위상 / 111

1. 교과서에 대한 이해 / 111

2. 교과서에 대한 관심 / 117

Ⅲ. 교과서 출판의 특징적 변천 / 135

1. 외적 체제의 특징적 변천 / 135

2. 내적 체제의 특징적 변천 / 141

Ⅳ. 요약 및 결론 / 151

·교과서 출판인 백당 현채의 출판 활동에 대한 연구

Ⅰ. 서론―문제의 제기 / 160

Ⅱ. 출판인 현채에 대한 이해 / 162

1. 현채의 생애 / 162

2. 출판인으로서의 현채 / 166

Ⅲ. "유년필독"의 출판과 그 내용 / 172

1. "유년필독"의 출판 / 172

2. "유년필독"의 내용 구성과 특기점 / 176

Ⅳ. "유년필독"의 보급 / 183

1. "유년필독"의 보급 환경 / 183

2. "유년필독" 보급의 특기점 / 186

Ⅴ. 결론 / 189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교과서

1. 머리말―근대 교과서의 개념 / 194

2. 신서적의 유입 / 198

근대화 매체로서의 신서적 / 198

최초로 유입된 서양서 / 212

3. 최초의 근대 교과서 / 214

근대 학교의 첫 실현 / 215

최초의 근대적 교과서―원산학사에서의 적용 / 217

원산학사의 교과서―최초의 근대적 사학 교재 / 221

최초의 국정 교과서 / 233

4. 맺음말 / 241

제2편 교과서 평설

·교과서의 날이 의미하는 것

‘교과서의 날’ 제정 / 248

‘교과서의 날’ 제정 취지 / 250

일본에서도 ‘교과서의 날’ 제정 / 252

교과서―‘교과서의 날’이 추구하는 것 / 254

교과서의 진실을 이해하는 기회 / 255

·국어 교과서는 나라말 나라글의 장전

글머리―국어 교과서의 의의 / 257

국어 교과서의 첫 출현과 언어 공동체 / 260

철수와 영이 그리고 바둑이 / 264

맺음말 / 268

·일장기를 말소하고 태극기를 내건 교과서

그 나라의 상징이 말해 주는 것 / 272

손기정 선수의 태극기 / 277

대한제국 전함에 게양된 태극기 / 279

수평선 저 너머로 사라진 꿈, 그리고 그 후 1세기 / 285



제 2부 출판문화의 진실



제1편 출판과 문화 매개

·편집/출판을 매개로 한 문화 전파

Ⅰ. 서론 / 291

Ⅱ. 편집/출판의 문화적 의의와 기록 기능 / 293

1. 편집/출판의 문화적 의의 / 294

2. 편집/출판의 기록 기능 / 297

Ⅲ. 편집/출판의 문화 매개적 의의와 문화 협력 / 301

1. 창의적인 문화 매개 행위로서의 편집 / 301

2. 출판을 통한 문화 매개와 협력 / 306

Ⅳ. 결론 / 311

·출판의 바람직한 지향

Ⅰ. 서론―출판의 새로운 정의에 관한 문제 / 317

Ⅱ. 이 시대의 출판―드러냄의 본질과 혁신 / 321

1. 드러냄의 진정한 의미 / 323

2. 혁신적인 현상들, 그리고 전제해야 할 문제 / 325

3. 새로운 수단의 출현에 대한 이해 / 328

Ⅲ. 출판―독서 양태와 종이책/전자책 출판 / 331

1. 기술의 선행에 따른 문제 / 331

2. 독서 패러다임의 양태―‘발전적 읽기’의 지향 / 335

3. 전자책 출판의 발전 방안 / 340

4. 종이책 출판의 발전 방안 / 348

Ⅳ. 결론 / 355

·인세고

1. 서언 / 367

2. 인세의 개념 / 369

인세의 의의 / 369

인세율의 적용 / 374

3. 인세 제도의 유래 / 378

저작권법, 출판권의 태동과 변천 / 378

저작/출판권자와 검인 / 387

검인 방식과 인장 / 390

4. 인세 제도의 시행과 원고료 예화 / 397

인세 제도의 초기적 정황 / 397

원고료 예화 / 403

5. 맺음말 / 420

제2편? 출판 평설과 비망

·출판학 연구의 과정적 지향

Ⅰ. 출판학 연구의 함의 / 427

Ⅱ. 출판학 연구의 흐름 / 428

Ⅲ. 향후의 지향 / 430

·남애 안춘근의 출판사랑

1. 머리말 / 431

2. 남애의 선택 / 433

3. 출판학 연구에 대한 인식 / 437

4. 남애 출판학 평설 / 441

5. 맺음말―과거의 글을 새로이 보기 / 452

·남애 안춘근 선생 / 460

·한국의 안춘근 교수를 추념함

머리 글 / 463

안춘근 선생의 출판관 / 466

출판에 대한 사명 / 468

끊임없는 연구 정진 / 471

마무리를 대신하여 / 472

·출판문화 교류의 가교 / 473

·세계인쇄문화박물관을 세운 나라

문자 문화를 숭상하는 민족 / 482

문명 발전과 인쇄술의 상호 작용 / 483

세계적 인쇄문화박물관 건설을 위해 / 485

아름다운 기부들 / 487

기부 행위와 인쇄문화박물관 / 490

세계인쇄문화박물관 설립, 미래 위한 대역사 / 492

·개혁 개방 30년, 중국 출판계의 성과와 비전

출판 산업의 고속 성장 / 495

신중국 건국 이후의 기본서들 / 497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300권의 책 / 499

중국 출판의 비전 / 501

·출판 강국에의 벽을 넘어

죽간의 혁명 / 503

중국 출판의 굴기 / 504

이 일러두는 것 / 506

·인터뷰/출판학 연구와 교과서 탐구 / 508



·참고문헌 / 531

·찾아보기 / 554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