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과 실제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과 실제
저자 : 박기덕
출판사 : 한울(한울아카데미)
출판년 : 2006
ISBN : 9788946034488

목차정보

제1부 민주화와 정초선거

제1장 민주화: 체제전환의 정치
1. 서론 2. 권위주의정권 3. 정권의 위기 4. 자유화 5. 민주화 6. 결론
제2장 신생민주주의의 제도화와 정초선거
1. 서론 2. 헌법 제정과 정치과정 3. 정초선거Ⅰ: 대통령선거
4. 정초선거Ⅱ: 총선거 5. 결론

제2부 민주주의의 공고화
제3장 민주주의와 공고화: 개념과 이론
1. 서론 2. 민주주의 3. 공고화 4. 결론
제4장 공고화와 개혁정치
1. 서론 2. 기존이론 검토 3. 새 분석모델 모색 4. 개혁정치와 공고화
5. 결론
제5장 노태우 정부의 과도기정치
1. 서론 2. 개혁 이슈와 정책 3. 계급관계와 국가 4. 민군관계
5. 도전의 심화와 체제위기 6. 집권연합 재편 7. 결론
제6장 김영삼 정부의 개혁정치
1. 서론 2. 정치개혁과 정통성 3. 경제사회개혁과 실질적 민주주의
4. 경제개혁과 효율성 5. 결론

제3부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 : 세계화와 경제위기
제7장 세계화와 민주주의
1. 서론 2. 세계화의 의미와 정치적 이슈 3. 민주주의의 정통성
4. 민주주의와 경제사회적 문제 5. 효율성과 국가경쟁력 6. 결론
제8장 1997년의 경제위기: 태국·인도네시아와의 비교
1. 서론 2. 경제위기의 원인 3. 경제위기의 시작
4. IMF 구제금융과 경제개혁 프로그램 5. 결론

제4부 민주주의의 위기와 극복
제9장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1. 서론 2.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의 관계 3. 민주주의-시장경제 체제 4. 분배
5. 정치체제와 경제성장 6. 기타 요인들과 경제성장 7. 경제개혁 8. 결론
제10장 김대중 정부의 경제개혁정치
1. 서론 2. 경제개혁과 네오포퓰리즘 3. 김대중 정부의 등장
4. 경제개혁의 정치 5. 정치위기 6. 위기에 대한 대응 7. 결론
제11장 한국 민주주의의 과제: 안정화
1. 민주주의의 종류와 의미 2. 한국 민주주의의 현주소 : 공고화의 관점에서
3. 민주주의의 안정화를 위한 정치적 과제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