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중세 토지제도사 (고려)
한국 중세 토지제도사 (고려)
저자 : 이경식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1
ISBN : 9788952112347

책소개

『한국 중세 토지제도사: 고려』는 신라말ㆍ고려초 새로운 토지조세체계의 확립, 이의 기간과 경리와 운용, 고려 후기의 전제 파행과 전제이정 등 토지문제와 그 타개책에 대한 논의를 담은 책이다. 고려왕조와 토지ㆍ농민ㆍ농업의 상관을 주축으로 한 내용을 엮어 정리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전시과에서 과전제도까지,
고려시대의 토지제도의 변천과 그 역사적 의의


고려의 토지제도는 봉건관료국가의 토지분급제의 한 전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고조선과 열국기의 봉지제(封地制)를 계승하고 아래로는 조선의 과전ㆍ직전제로 이어지며, 토지의 소유ㆍ경영상에서는 집권통일국가답게 사적 소유와 경영을 한층 확고히 하고 일원화하는 등 한국 토지제도 발달사에서 중요한 단계를 차지한다. 나아가 세계 각국의 토지ㆍ농업 전통과 대비하여 이 시기 우리 역사ㆍ문화의 일반성과 개별성을 설정하게 하는 바탕이 된다. 이 책은 신라말ㆍ고려초 새로운 토지조세체계의 확립과 기간(基幹), 경리(經理)와 운용, 고려 후기의 전제(田制) 파행과 전제이정(田制釐整) 등 토지문제와 당시에 시도되었던 타개책 등 당시 토지제도에 대한 풍부한 자료와 해석을 담고 있다.

토지제도의 변동을 통해 고려사를 읽어내기
우리 역사를 토지제도를 통해 통관(通觀)하는 작업을 해온 이경식 교수(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가 9세기 말에서 14세기에 걸친 고려사를 토지제도를 통해 고찰한 가 출간되었다. 고려의 토지제도에 대한 관련 자료가 적은 데다 연구자마다 주장이나 학설도 분분한 상황에서 출간된 것이라 매우 소중한 학술적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이경식 교수는 우리 역사의 전체적인 발전상을 파악하고 세계사적 관련성을 지니고 고려 국가와 사회의 특징과 위치를 이해하려면 당시의 토지제도를 체계적, 계통적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필요에서 자료를 분류사 체계로 정돈하였다.

건국시기의 토지제도 정비에서 고려 말 토지 문제까지
고려시기 토지제도사의 골격을 수립한 역저

이 책에서는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토지조세체계가 확립되는 과정과 이의 경리(經理)ㆍ운용(運用)에 대해 살펴보고, 고려 후기에 전제파행(田制跛行)과 전제이정(田制釐整) 등 토지 문제가 대두되는 바탕과 타개책을 고찰한다. 따라서 이 책은 고려 건국 시기의 토지제도 정비에서 고려 말의 토지문제까지 고려시기 토제도사를 고려왕조와 토지ㆍ농민ㆍ농업의 관계 속에서 고찰함으로써 고려시기 토지제도사의 큰 틀을 정립하였다는 평가를 받을 만하다. 또한 기존 학설에 대한 자료들이 상세하게 실려 있어 이해를 돕는다. 특히 심혈을 기울여 쓴 상세한 주석은 저자의 심도 깊은 연구를 뒷받침하는 것을 넘어서 후속 연구자들에게 풍부한 자료 목록이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I. 序言

II. 高麗初 收取制度의 改善과 田柴科의 設施
1. 後三國期의 土地賦稅弊端과 農民抗爭
2. 收租額의 調整과 結負制의 整理
3. 祿邑制의 廢棄와 役分田의 初定
4. 田柴科의 始定과 整備

III. 高麗 土地租稅體系의 基幹
1. 土地의 私的 所有와 所有權
2. 土地把握과 賦稅運用
3. 田柴科의 處地와 收租權
4. 農業生産?農村市場과 勸農

Ⅳ. 土地의 經理와 運用
1. 公處折給田柴
2. 私處折給田柴
3. 莊宅?宮院田 및 寺院田(莊?處)
4. 國?官有地
5. 食邑

Ⅴ. 高麗後期 田制의 跛行과 田民兼幷
1. 田柴科運營의 痲痺와 分給私田의 家産化
2. 農民의 搖動?流移와 丁田制의 頹毁
3. 農地開墾과 賜牌田의 膨大
4. 田民의 兼幷과 農莊問題

Ⅵ. 田制釐正의 努力과 推進
1. 祿科田의 新設과 京畿內 折給
2. 田民의 辨正?計點과 量田
3. 田民推刷?辨正의 頻煩
4. 結負量田制의 變更

Ⅶ. 高麗末 土地問題의 惡化와 私田?弊論
1. 兩班田主間의 對立激烈과 田主?佃客의 葛藤深化
2. 地主制의 擴散과 收租權의 危脆
3. 財政?軍須의 逼迫과 私田田租의 公收
4. 私田?弊論議의 噴出과 그 系譜

Ⅷ. 高麗王朝와 土地
1. 土地觀과 經理原則
2. 高麗王朝와 封建土地關係

Ⅸ. 餘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