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문화인류학 (개정판)
문화인류학 (개정판)
저자 : 한상복^이문웅^김광억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1
ISBN : 9788952112408

책소개

지난 50여 년 동안 한국의 문화인류학은 크게 성장했다. 문화인류학자 수가 증가했고, 대학의 인류학과와 연구소들이 다수 설립되었다. 인류학과가 없는 대학에서도 대부분 인류학 또는 문화인류학 강의를 교양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어 전국의 대학생과 일반인의 인류학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인류학 분야의 연구도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향상되었다. 한국어로 인류학을 소개한 저서와 번역서도 수십 개에 이른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지난 50여 년 동안 한국의 문화인류학은 크게 성장했다. 문화인류학자 수가 증가했고, 대학의 인류학과와 연구소들이 다수 설립되었다. 인류학과가 없는 대학에서도 대부분 인류학 또는 문화인류학 강의를 교양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어 전국의 대학생과 일반인의 인류학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점차로 높아지고 있다. 인류학 분야의 연구도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향상되었다. 한국어로 인류학을 소개한 저서와 번역서도 수십 개에 이른다.

이 책은 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의 설명과 더불어 한국의 사회와 문화의 특성을 이해하는 시각의 소개를 시도하였다. 단순하고 미개한 사회나 전통문화를 취급하더라도 이를 현대사회의 문화현상과 사회문제를 보는 시각과 연관시켰다. 그리고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인류학적 사고방식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백과사전식 지식 및 이론 나열을 지양하고 인류학을 공부하기 시작한 사람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요소에 충실했다.



[출판사 서평]



한국문화인류학회는 1958년 문화인류학에 관심을 가졌던 몇 분의 민속학자들을 중심으로 창립되었다. 그 당시에는 한국의 대학에 인류학과도 없었고, 교양과목으로서의 인류학 강의도 매우 한정되어 있었다. 한국어로 쓴 인류학 또는 문화인류학 교재는 더욱더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그런데 2011년 한국문화인류학회와 동아시아인류학회가 공동으로 조직한 를 한국 전주에서 5일 동안 개최하였다. 그 학술대회 참가자들이 한국에서 200여 명이었고, 외국의 20여 개 나라에서 100여 명가량이었다고 한다. 두 학회를 대표한 두 번의 기조강연과 한 번의 한국?미국?일본 인류학자들의 한국문화연구 공동주제 전체회의에 더하여, 다양한 주제로 30개의 분과회의에서 논문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고, 전라북도 4개 시군의 현지연구답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국과 외국의 영상인류학 필름이 상영되었다.

그런 현상들은 지난 50여 년 동안 한국의 인류학계가 그만큼 성장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라고 볼 수 있다. 인류학자 수가 크게 증가하였고, 대학의 인류학과 또는 문화인류학과, 그리고 인류학 관련 연구소들이 다수 설립되었다. 인류학과가 없는 대학에서도 대부분 인류학 또는 문화인류학 강의를 교양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어 전국의 대학생들과 일반인들의 인류학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점차로 높아지고 있다. 인류학 분야의 연구도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크게 향상되었다. 1958년에 처음 『인류학개론』(정연사)을 공동으로 펴낸 이해영?안정모는 편자의 머리말에서 “인류학이 생소한 학문이어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이 분야에 관한 출판활동이 없었던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금은 한국어로 인류학을 소개하는 저서와 번역서만도 수십 개에 이른다.

이 책은 원래 1985년 『문화인류학개론』(서울대학교출판부)을 초판으로 시작하여, 1992년 책의 내용을 일부 고쳐 쓴 수정판으로 나왔다. 그 뒤로 개정판을 내지 못하고 있다가 더 이상 책의 체제와 내용을 그대로 쓸 수가 없다고 판단되어 지은이들은 불완전하지만 개정판을 위한 작업을 시작하였다.

우선 개정판의 가장 긴급한 필요성은 한자를 한글로 표기하고 읽기 쉽게 문장을 고쳐 쓰는 것이었다. 이 책을 집필했을 때, 그리고 수정판을 펴낼 당시까지만 해도 대학교재, 특히 전문서적에서는 한글과 한자를 함께 쓰는 관행이 계속되고 있었다. 이 책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러나 지금은 한자를 거의 쓰지 않고, 특별한 경우에만 한글 표현의 괄호 속에 한자를 써서 읽는 사람의 이해를 돕는 경향이 있다. 요즘의 대학생들에게는 한자로 쓰인 책이 읽기 쉽지 않고 재미없다는 것이 상식으로 되어 있다. 더구나 한자로 쓴 어려운 전문용어와 문장은 읽는 사람의 이해력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흥미까지도 잃게 하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거기에 더하여 이 책의 각 장마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의 일반 저서와 논문, 기타 참고문헌들을 더 읽을거리로 제시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또한 우리는 인식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번의 개정판에서는 우선 한자를 모두 한글로 표기하였고 오자와 탈자를 바로잡았으며 문장을 읽기 쉽게 고쳐 썼다. 그리고 각 장의 끄트머리에 제시한 도 그 장의 주제와 관련된 최근의 논문과 저서와 번역서들로 보완하였다. 따라서 책의 맨 끝에 제시한 참고문헌도 새로운 것으로 추가 보완하였다. 개정판 책의 제목도 『문화인류학』으로 바꾸었으며 책의 표지 디자인도 새롭게 꾸몄다. 그러나 책의 전체적인 내용을 다시 고쳐 쓰는 작업은 이번에 검색하여 보완시킨 최근의 새로운 연구 논문과 저서들, 그리고 지금까지 이 책을 교재로 사용한 학생들과 인류학 관계 교수들의 비판과 조언을 바탕으로 지금부터 새로 시작해야 할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개정판을 내면서 / v
초판 머리말 / viii

제1장 문화인류학의 개요 1
1. 인류학의 일반적 특성 / 2
1) 인류학이라는 학문 2
2) 인류학의 분야들과 연구방법 6
2. 문화인류학의 연구과제와 사회적 공헌 / 13
1) 문화인류학의 중심과제 13
2) 문화인류학과 현대사회 16
3) 문화인류학의 전공과 진로 20
3. 문화인류학의 방법 / 22
1) 문화인류학의 관점 22
2) 현지조사와 자료수집 26
3) 자료의 분석과 이론의 형성 32

제2장 인류학의 발달 39
1. 인류학의 성격변화 / 40
1) 지적 환상과 편견에서의 해방 40
2) 미개사회와 현대사회 41
3) 다른 문화 연구와 자기 문화 연구 43
4) 제도의 연구와 의미의 연구 47
2. 인류학의 이론과 방법의 발달 / 48
1) 19세기 인류학과 진화주의 48
2) 진화주의의 개념과 비판 52
3. 20세기 초반: 인류학의 다양화 / 54
1) 보아즈와 역사적 특수주의 54
2) 전파주의 55
3) 뒤르껭과 사회인류학의 기초 57
4. 20세기 중반: 이론의 체계화와 경험주의 방법론의 확립 / 60
1) 말리놉스키와 기능주의 61
2) 레드클리프-브라운과 구조기능주의 63
3) 구조기능주의에 대한 비판 65
5. 현대의 인류학 / 66
1) 레비-스트로스와 구조주의 66
2) 신진화주의 67
3) 상징주의 69
4) 마르크시스트 인류학 70

제3장 문화의 개념 73
1. 문화의 뜻 / 74
1) 생활양식으로서의 문화 74
2) 총체론적 견해 75
3) 관념론적 견해 78
2. 문화의 속성 / 80
1) 문화는 공유된 것이다 81
2) 문화는 학습된 것이다 82
3) 문화는 축적된 것이다 83
4) 문화는 하나의 전체를 이루고 있다 84
5) 문화는 항상 변한다 86
3. 문화의 구성 / 88
1) 체계로서의 문화 88
2) 문화특질 89
3) 문화복합 91
4) 하위문화  92
4. 인간과 문화 / 93
1) 문화의 다양성 93
2) 문화의 초유기체성 96

제4장 인류의 진화와 문화의 발달 99
1. 인류와 문화의 진화원리 / 100
1) 인류의 진화원리 100
2) 문화의 진화원리 101
2. 인류의 등장 / 102
1) 드리오피테쿠스의 진화 102
2)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도구사용 105
3. 초기 인류와 구석기문화 / 107
1) 호모 에렉투스의 진화와 전기 구석기문화 107
2) 네안데르탈인의 중기 구석기문화 109
3)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후기 구석기문화 112
4. 신석기시대의 혁명과 고대문명의 출현 / 115
1) 신석기시대의 혁명 115
2) 고대문명의 출현 117

제5장 혼인과 가족 119
1. 성과 혼인 / 120
1) 성의 규제 120
2) 근친상간금제(禁制) 123
3) 혼인의 정의 129
4) 혼인의 기능 133
2. 혼인규정 / 135
1) 배우자의 선택 135
2) 외혼과 내혼 137
3) 이차적 혼인 138
3. 혼인형태 / 140
1) 일부일처제 140
2) 일부다처제 142
3) 일처다부제 144
4. 가족 / 146
1) 가족의 개념 146
2) 가족의 형태 148
3) 거주율 153

제6장 친 족 159
1. 친족의 개념과 범위 / 160
1) 혈족과 인척 160
2) 친족의 의미 161
3) 친족의 범위 162
2. 친족체계 / 166
1) 출계율 166
2) 단계와 양계 167
3) 부계율 169
4) 모계율 170
5) 선계율 173
6) 이중출계율 175
3. 친족집단의 조직과 기능 / 177
1) 혼인과 출계집단 177
2) 반족 178
3) 단계집단의 여러 형태 182
4) 단계집단의 기능 183
4. 친족용어 / 186
1) 하와이형 친족용어 188
2) 이로꼬이형 친족용어 189
3) 에스키모형 친족용어 190
4) 우리나라의 친족용어 191

제7장 사회조직 195
1. 성(性)에 의한 구분 / 196
1) 성에 따른 역할분담 196
2) 성에 따른 조직체 198
3) 성차와 문화 200
2. 연령에 의한 구분 / 201
1) 연령에 대한 문화적 관념 201
2) 성인식과 연령집단 202
3) 복합사회의 연령집단 206
3. 등급·위계·계층 / 207
1) 등급 207
2) 위계 209
3) 계층 211
4. 카스트 / 212
1) 카스트와 문화 212
2) 현대사회와 카스트 214
5. 이원적 분화 / 217
6. 결사 / 220
1) 사회변동과 결사체 220
2) 비밀결사 226

제8장 경제체계 231
1. 경제에 대한 인류학적 관심 / 232
1) 인류학자들의 경제연구 232
2) 실재론과 형식론의 접근 235
2. 생산 / 240
1) 생산의 의미 240
2) 생산의 결정 243
3) 생산의 요소 246
3. 분배와 교환 / 248
1) 사회 내의 분배와 교환 249
2) 사회 간의 교역 255
4. 이용과 소비 / 259
1) 자원의 이용과 저축 260
2) 재산과 부의 이용 263
3) 소비의 유형과 규범 265

제9장 정치와 법 269
1. 정치의 개념 / 270
1) 제도적 차원에서의 정치 270
2) 행위의 차원에서의 정치 271
3) 권력·권위·불평등 272
2. 정치의 여러 차원 / 274
1) 정치제도 및 조직 274
2) 정치영역 288
3) 정치과정 289
3. 비정치적 영역의 정치적 측면 / 294
1) 친족제도와 정치 294
2) 경제와 정치 295
3) 종교와 정치 298
4. 법과 사회통제 / 302
1) 법의 개념과 종류 302
2) 법적 제재의 대상 305
3) 사회통제의 종류 308
4) 제재의 형식과 과정 309

제10장 문화와 종교 315
1. 종교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 316
1) 종교의 개념 316
2) 종교의 다양성과 보편성 317
2. 종교연구의 대상 / 319
1)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개념 319
2) 주술·마술·요술 322
3) 의례의 과정과 내용 324
4) 신과 인간의 중개자 328
3. 종교연구의 여러 관점 / 330
1) 진화론적 관점 330
2) 심리학적 해석 332
3) 사회학적 관점 334
4) 생태학적 접근 337
5) 지식의 체계화 339
6) 상징체계의 이해 341
4. 종교운동 / 343
1) 천년왕국운동 343
2) 유령춤 346
3) 하물의식 348
4) 문화변동과 종교 350

제11장 문화와 인성 359
1. 인성의 결정요인 / 360
1) 생물학적 요인 360
2) 자연환경 362
3) 개인 고유의 경험 362
4) 문화적 요인 363
2. 인성의 형성과정 / 364
1) 육아양식 364
2) 문화화 366
3) 교육 368
3. 사회적 인성과 국민성 / 370
1) 기본적 인성 370
2) 최빈 인성 372
3) 사회적 인성 373
4) 국민성 375
5) 이상적 인성유형 377

제12장 문화와 언어 383
1. 인간·언어·문화 / 384
1) 언어의 연구 385
2) 언어의 다양성 387
2. 통신전달 / 388
1) 동물의 통신전달 390
2) 언어의 기원 391
3) 언어습득의 과정 392
3. 언어의 구조 / 393
1) 음소(音素)와 음성학 394
2) 형태소(形態素)·형태론(形態論)·통사론(統辭論) 395
3) 변형문법 396
4. 언어의 변화와 변이 / 398
1) 역사언어학 398
2) 사회언어학 400
3) 호칭체계 402
5. 언어와 사고 / 404
1) 언어의 구속력 404
2) 사피어-워프의 가설 405

제13장 문화와 예술 409
1. 예술의 개념 / 410
2. 예술의 의미 / 411
3. 예술의 여러 분야 / 414
1) 신체의 장식 414
2) 회화 417
3) 음악 418
4) 무용 421
5) 복식 422
6) 문학 422
7) 문화변동과 예술 424

제14장 문화와 환경 427
1. 환경과 생태학의 개념들 / 428
1) 환경의 여러 측면 428
2) 생태학과 생태계 430
3) 생물학과 사회과학에 있어서 생태학이론의 비교 435
2. 인류학의 생태학적 접근방법 / 437
1) 결정론적 접근방법 437
2) 문화생태학적 접근방법 439
3) 문화생태학의 시행모델 442
4) 농촌과 어촌의 생태적 비교 446
3. 자원·인구·전쟁 / 450
1) 기술과 환경 및 식량자원 450
2) 인구 압력과 자원경쟁 459
3) 인구와 전쟁 460
4. 인간생태학의 과제와 한계 / 464
1) 인간생태학의 과제 464
2) 인간생태학의 한계와 전망 466

제15장 문화 변동 469
1. 문화과정과 문화변동 / 470
2. 문화변동의 과정 / 472
1) 발명과 발견 472
2) 전파 474
3) 문화접변 476
3. 문화의 진화 / 479
1) 초기의 진화론 480
2) 단선진화와 다선진화 482
3) 특수진화와 일반진화 484
4) 문화진화의 에너지이론 487

제16장 응용인류학 491
1. 응용인류학의 성격 / 492
1) 응용인류학의 성립배경 492
2) 자본주의체제에서의 응용인류학 495
3) 사회주의체제에서의 계획적 변화 497
2. 발전문제와 인류학 / 500
1) 지역개발과 문화 500
2) 발전의 정책과 사업수행 504
3) 근대화작업과 제3세계 506
4) 농촌발전과 문화 509
3. 보건·의료 문제와 인류학 / 512
1) 건강·질병·죽음과 문화 513
2) 진단과 문화 514
3) 질병의 분류와 치료 515
4) 질병의 치료자와 환자의 관계 516
5) 생활양식과 풍토병 518
4. 도시문제와 인류학 / 519
1) 도시인류학의 시각 520
2) 도시화와 이주문제 522
3) 도시의 적응전략 523
4) 도시빈곤문제 525
5. 개발사업에 따른 인류학적 문제 / 527

참고문헌 / 533

찾아보기 / 561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