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세포부착물질과 구강점막질환, 그리고 구강암
세포부착물질과 구강점막질환, 그리고 구강암
저자 : 김성민|이종호|김명진|명훈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2
ISBN : 9788952112965

책소개

세포부착성 물질, 구강점막질환 및 구강암 연구 입문자를 위한 기본서. 세포 사이의 기본 기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기본적인 복습 과정을 정리하였고, 이를 구강 내 점막질환 및 기타 질환에서의 연관성에 대한 최근 문헌을 검토한다. 나아가, 궁극적으로 구강암의 기전발생에 있어서의 연관성을 정리하였다.



특히, 서울대학교 교수들로 이루어진 대표 집필진과 우수한 대학원생들이 각자 자신의 수준에서 정리한 내용을 기본 틀로 삼아, 전국의 일반 치의학 대학원생들 또는 치과대학생들에게도 이해가 쉽도록 기술되어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세포부착성 물질, 구강점막질환 및 구강암 연구 입문자를 위한 기본서 세포와 세포간의 부착 또는 연결 기전은 세포간의 극성을 결정하고 세포와 조직간의 모든 기능을 시작하는 가장 기본적인 생물과학적인 현상이며, 여러 분자생물학과 면역학, 전학 분야에서 연구되고 설명되어 온 이러한 중요 기전은 구강내 점막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만나면서 인체내 다른 부위에서의 기전과는 다른 현상으로 규명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세포 사이의 기본 기전에 대한 학습을 통해서만이 여러 유전적이고 후생유전학(epigenetics)적인 기전과 다단계 암발생론(multistage carcinogenesis)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용이하고, 가능할 것이기에 본 저서의 매장은 이러한 기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기본적인 복습 과정을 정리하였고, 이를 구강내 점막질환 및 기타 질환에서의 연관성에 대한 최근 문헌 정리에 이어서, 궁극적으로 구강암의 기전발생에 있어서의 연관성을 정리하였다.



● 서울대학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의 심도 있는 토의와 고찰을 담다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에서는 2009년도 2학기에 개설한 ‘구강점막질환론’ 강좌에서 진행한 세포부착물질에 대한 집중적인 토의와 고찰을 통해, 구강점막질환 및 구강암과의 연관성을 정리하는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 학생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친절한 설명

본서는 세포 사이의 기본 기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기본적인 복습 과정을 정리하였고, 이를 구강 내 점막질환 및 기타 질환에서의 연관성에 대한 최근 문헌을 검토한다. 나아가, 궁극적으로 구강암의 기전발생에 있어서의 연관성을 정리하였다. 특히, 서울대학교 교수들로 이루어진 대표 집필진과 우수한 대학원생들이 각자 자신의 수준에서 정리한 내용을 기본 틀로 삼아, 전국의 일반 치의학 대학원생들 또는 치과대학생들에게도 이해가 쉽도록 기술되어 있다.

치의학 및 의학 분야의 한 교재로서 여러 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작성되었기에, 세포부착성물질과 구강점막질환의 문헌적 고찰 뿐 아니라, 새로운 연구방법 고민하는 연구자들에게도 하나의 작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집필진(가나다 순)

강지영, 김성민, 김지연, 김혁수, 명훈, 민승기, 박성수, 박정민,

서미현, 양훈주, 어미영, 오진실, 유명수, 유충규, 이보한, 이정아,

이지호, 이주환, 이인우, 이용권, 장아렴, 정한울, 조세형, 판휘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들어가며

제1장 세포골격 (Cytoskeleton)
1. 세포골격의 개요
2. 미세소관
1) 미세소관의 구조 및 기능
2) 미세소관 관련 단백질
3) 구강암과 미세소관 관련 단백질
3. 액틴
1) 액틴 세사의 결합과 분해
2) 액틴결합 단백질
3) 구강암과 액틴결합 단백질
4. 중간세사
1) 중간세사의 구조와 기능
2) 케라틴
3) 케라틴과 구강편평상피세포암

제2장 세포와 세포 결합 (Cell to cell junction)
1. 폐쇄결합
1) 밀착결합의 구조와 구성 단백질
2) 클라우딘과 관련된 질환
3) 구강암 등의 암조직에서의 밀착결합의 역할
2. 부착결합
1) 부착결합
2) 교소체
3. 간격결합
1) 간격결합의 생리학
2) 간격결합과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과의 관계
3) 간격결합과 구강암

제3장 세포와 조직 결합 (Cell to matrix junction)
1. 결합성 부착 (Junctional adhesion)
1) 반교소체
2) 국소부착
2. 비결합성 부착 (Non-junctional adhesion)
1) 인테그린 개론과 아형
2) 인테그린의 정상 발현 및 비정상 발현
3) 인테그린과 구강암
3. αvβ6
1) 기본 설명
2) 구강점막과의 관련성
3) 구강암과의 관련성
4. β2 인테그린, LFA-1, Mac-1
1) LFA-1과 MAC-1의 정상적 기능과 ICAM-1
2) 구강점막질환에서의 적용 및 사례
3) 구강암에서의 적용 및 사례

제4장 세포부착물질들 - 카데린과 실렉틴(Cell adhesion molecules, Cadherin & Selectins)
1. 카데린
1) E-카데린과 N-카데린
2) VE-카데린과 OB-카데린
3) Wnt 신호전달경로
2. 실렉틴
1) 실렉틴의 이해
2) 실렉틴과 구강점막 질환
3) 실렉틴과 구강암
4) L-실렉틴
5) P-실렉틴

제5장 세포부착물질들 - 기타 (Cell adhesion molecule)
1. 면역글로불린 수퍼패밀리
1) 면역글로불린 수퍼패밀리의 개요
2) 면역글로불린 수퍼패밀리의 종류
3) 면역글로불린 수퍼패밀리의 작용과 구강점막 질환
4) 면역글로불린 수퍼패밀리의 작용과 악성 종양
2. 결합성 부착물질 … 147
1) 결합성 부착물질의 개요
2) 결합성 부착물질의 분류
3) 결합성 부착물질과 구강점막 질환
4) 결합성 부착물질과 구강암
5) 피캄-1 혹은 CD31의 기능
6) 피캄-1과 구강점막 질환, 그리고 구강암
3. CD44
1) CD44의 개요
2) 세포와 기질, 세포와 세포간의 상호작용
3) 구강점막 질환 및 구강암과의 연관성

찾아보기
Abstract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