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북한사회와 굴절된 근대 (인구, 국가, 주민의 삶)
북한사회와 굴절된 근대 (인구, 국가, 주민의 삶)
저자 : 박경숙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3
ISBN : 9788952113702

책소개


북한주민의 삶은 어떻게 변화되었을까

이 연구는 1990년대 말 북한의 식량난과 인구동태의 관계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되었다. 과연 1990년대 후반 식량난 당시 300만 아사자가 발생하였는가, 식량난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북한 주민의 삶의 방식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런데 북한의 인구 동태의 퍼즐을 푸는 과제는 북한주민의 삶과 북한사회를 알아가는 과제와 분리될 수 없었다. 결국 모든 것을 포함하고도 남음이 있는 ‘인구’와 ‘사회’라는 개념의 깊이를 어떻게 채워나갈 수 있을지 막막하였다. 단순한 지식으로 조율되었던 객관적인 시선은 인구와 사회의 복잡한 상호 침투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해석의 틀로 전환되어야 했다.

국가에 의해 인구가 통제된 방식, 식량난과 동아시아 거시 권력구조가 북한 인구 동태에 미친 영향, 그리고 인구변동이 사회변화를 추인하는 방식들에 주목하면서 북한의 인구 동태 안에 배여 있는 권력구조들과 삶의 의미를 고민하였다. 북한사회의 인구 동태 안에는 지금의 우리가 형성된 역사가 배어 있고, 우리의 미래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를 가리키는 좌표가 그려지고 있었다.

목차


제1장 북한인구 변동의 퍼즐
1. 북한인구에 대해 제기하는 세 가지 질문
2. 연구내용

제2장 인구자료의 정확성과 보정
1. 북한인구 자료의 문제점
2. 주요 인구 관련 자료
3. 청년 남성인구의 누락
4. 연령집계의 오류
5. 사망동태자료의 오류
6. 인구자료의 보정과 보완

제3장 인구변동과 생산·복지·정주체제
1. 인구변동의 세 단계
2. 인구변동과 생산?복지체제
3. 인구통치기제로서 주민등록제

제4장 출산력 변천과 사회적 요인
1. 출산율 감소와 사회적 요인
2. 출산력 변천의 직접 요인
3. 출산력 변천의 사회적 맥락
4. 소자녀관의 정착과 가족계획의 실천
5. 맺음말

제5장 국가, 가부장제, 여성의 관계에 대한 시론
1. 북한사회의 여성
2. 근대국가 건설과정의 굴절과 국가 가부장제
3. 젠더 구조의 가부장제적 재편과 긴장
4. 맺음말

제6장 경제위기 전후 사망률 동태의 특성과 변화
1. 생산복지제도의 성쇠와 사망률 변화
2. 북한이 발표한 사망률 자료의 정확성
3. 경제난 이전 사망률 동태의 특성과 변화
4. 식량난 이후 사망률 변화 (1993-2008년 사망률 추이)
5. 맺음말

제7장 식량난 및 기근과 인구변동
1. 식량난 시기 인구동태의 퍼즐
2. 식량난에 따른 인구손실에 대한 선행 연구들
3. 1993-2008년 사이 전개된 출산, 사망, 이동 동태율 가정
4. 1993-2008년 식량난 시기 인구손실과 손실요인
5. 맺음말

제8장 식량난의 정치경제
1. 식량난의 원인과 결과
2. 북한주민의 만성적인 궁핍화와 식량위기로의 이행
3. 비공식 경제의 확장과 주민의식의 변화
4. 맺음말

제9장 탈북이주자의 집단적 상흔과 거시권력구조: 지속된 디아스포라, 가부장제, 위계적 시민권
1. 탈북이주자의 집단적 상흔
2. 탈북이주자의 집단적 상흔을 구조화한 거시권력
3. 탈북이주자의 생애사 분석
4. 식민지배와 분단의 유산
5. 동아시아 가부장제와 여성 이주
6. 남한에서의 생활
7. 맺음말

제10장 결론: 인구를 통한 북한사회의 발견
1. 체제변화의 기로
2. 북한사회 위기론
3. 인구에서 발견된 굴절된 근대
4. 북한인구 변동의 세 단계
5. 비공식 경제의 확장과 가족
6. 혁명적 주체의 이데올로기
7. 집단적 상흔과 거시권력구조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