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북한의 수학 연구 현황 분석
북한의 수학 연구 현황 분석
저자 : 김도한|신정선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6
ISBN : 9788952117274

책소개

『북한의 수학 연구 현황 분석』은 2001~2010년 사이 북한의 학술지 『수학』과 『과학원통보』에 나온 수학 분야 논문을 대상으로 북한의 수학 연구 분야 동향을 분석한 책이다. 이 책의 목적은 첫째, 북한의 수학 연구와 인력에 관한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둘째, 북한의 기초과학 정책, 특히 수학의 연구 방향과 중점을 두고 있는 분야를 조사·분석하고, 셋째, 남북한 수학의 균형적 발전을 위하여 수학 용어의 동일성을 위한 조사와 북한의 수학에 관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룬 북한 수학의 기초 자료와 남북한 수학 연구 인력, 연구 동향, 연구 분야 및 연구 역량 비교는 앞으로 다가올 남북 간 수학 분야의 학술 교류와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크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북한의 수학 관련 학술지인 『수학』과 『과학원통보』에 게재된 논문을 통하여 북한 수학의 연구 분야와 연구 인력, 한글 수학 용어 등을 분석하고, 북한 수학에 관하여 남한 및 세계와의 연구 분야와 역량을 비교했다. 부록에는 KMS 분류법과 MSC 2010 분류법에 의한 연구 분야별 분포, 북한 수학자의 논문 수 일람, 남한·북한·일본 조총련계 수학교과서에 나오는 수학 용어 비교 등을 정리했다.
다른 학문과 마찬가지로 수학도 해방 후 분단 반세기 넘게 남한과 북한은 전혀 교류가 없는 상태에서 서로 다른 길을 걸어왔다. 연구 분야를 살펴보면 남한에서는 최근까지 순수수학에 치중해온 반면, 북한에서는 순수수학 분야의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고, 실생활이나 북한에서 4대 선행 부문이라고 일컫는 전력, 석탄, 금속, 철도운수 부문의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응용수학 분야에 편중되어 있다. 학술 용어는 특별한 노력 없이 일본식 한자와 영어를 그대로 수용해온 우리와는 달리, 북한에서는 한글화 작업에 많은 노력을 쏟아 대부분의 수학 용어가 우리 고유의 한글로 정착되었다. 최근에는 남한에서도 학술 용어의 한글화 작업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므로 남한과 북한의 학술 용어에서 좋은 부분만 따르면 학술 용어의 통일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다가올 통일에 대비해 이념과 독립적인 수학 분야에서 남북 간의 학술 교류와 공동 연구가 꼭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수학 분야에서 남북 간의 학술 교류와 공동 연구를 시작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를 내면서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과 의의
2. 연구 내용과 방법
1) 연구 내용
2) 연구 방법
제2장 북한의 수학 연구 현황 분석
1. 북한의 수학 연구 분야 분석
1) KMS 분류법에 의한 연구 분야 분석
2) MSC 2010 분류법에 의한 연구 분야 분석
2. 북한의 수학 연구 인력 분석
1) 송창호
2) 김두진
3. 북한의 수학 연구의 몇 가지 분석
1) 논문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의 국가별 분석
2) 금융수학 및 암호론 분야 연구 분석
3) 북한 수학자의 국제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
제3장 남북한의 수학 연구 동향 비교
1. 남한의 수학 연구 인력과 연구 동향
2. 남한 수학자의 MSC 2010 분류법에 의한 연구 분야 분석
3. 북한 수학자의 MSC 2010 분류법에 의한 연구 분야 분석
4. 남북한의 수학 연구 역량 비교
제4장 북한의 수학을 비롯한 기초과학 정책
1. 북한의 기초과학 정책
2. 『수학』의 권두언 분석
3. 『과학원통보』의 권두언 분석
제5장 요약과 결론
1. 연구 결과 요약
2.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북한의 수학 연구 현황의 기초 자료
2. 수학 한글 용어 자료
3. 북한 학술지 『수학』과 『과학원통보』의 권두언 자료
4. 방문기와 교류기

찾아보기
Abstract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