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의 언어 민속지 (충청남북도편)
한국의 언어 민속지 (충청남북도편)
저자 : 왕한석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6
ISBN : 9788952117748

책소개

『한국의 언어 민속지: 충청남북도편』은 한국 사회의 전통적이고 특징적인 언어문화의 주요 양상을 전면적으로 발견, 기술하는 책이다. 연구 대상 지역은 충남 홍성 지역(농촌)과 충북 청원 지역(산촌)이다. 이 두 지역에서 발달해 온 한국 언어문화의 다채로우면서도 살아 있는 실제의 모습을 언어 현지조사에 바탕하여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기술, 분석한다. 조사대상지에 대한 방대한 기초정보를 확보, 검토하는 과정에서부터 조사지를 선정하고, 조사기간 동안 그 지역에 체류하며 수행한 연구의 결과가 이 한 권의 책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 언어 민속지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연
[충청남북도 편] 전격 출간

이 책은 한국 사회의 전통적이고 특징적인 언어문화의 주요 양상을 전면적으로 발견, 기술하려는 『한국의 언어 민속지』 연구의 넷째 권으로 「충청남북도 편」이다. 연구 대상 지역은 충남 홍성(洪城) 지역(농촌)과 충북 청원(淸原) 지역(산촌)이다. 본문에서는 이 두 지역에서 발달해 온 한국 언어문화의 다채로우면서도 살아 있는 실제의 모습을 언어 현지조사에 바탕하여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기술, 분석한다. 조사대상지에 대한 방대한 기초정보를 확보, 검토하는 과정에서부터 조사지를 선정하고, 조사기간 동안 그 지역에 체류하며 수행한 연구의 결과가 이 한 권의 책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파악한 살아 있는 토착 언어의 보고
대상지에서 연구·조사한 결과를 지명, 생태환경의 어휘적 구분, 친척용어체계, 호칭과 존댓말 체계, 특수한 상황변이어(아기말, 짐승을 부르는 말, 의례 관련표현) 등으로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지금까지 관련 연구가 거의 없었던 호서(湖西) 지역의 언어문화에 대한 광범하면서도 깊이 있는 기술지이자, 한국 언어인류학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여는 작업이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 장 충청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

제1장 홍성(洪城)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의 과정

1. 지명

2.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Ⅰ
1) 바람, 비, 눈, 달의 구분법
2) 흙과 논의 구분법
3) 작물, 밥, 술, 장(醬)의 구분법
4) 소와 가축의 구분법
5) 해물의 구분법
6) 질병의 토속 명칭

3.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II
1) 산에 대한 민간 지각
2) 야생 나물의 종류
3) 야생 열매 및 뿌리의 종류
4) 야생 버섯의 종류
5) 기타 식용 식물
6) 약용의 야생 식물
7) 미물(微物)의 자연 세계

4. 친척용어체계
1) 친척용어의 목록
2) 친척용어의 주요 특색
3) 친척 관련 어휘와 표현
4) 친척어휘의 형태 분화

5. 호칭체계
1) 지위 구분의 민속 모형과 ‘벗’
2) (과거의) 택호 사용
3) 오늘날의 비친척 호칭체계
4) 특이 호칭어

6. 존댓말의 체계
1) 말단계의 조직과 관련 민간 명칭
2) ‘표준어’의 사용과 특수한 반말 어미
3) 인칭대명사와 기타 존대 표현
4) 존댓말의 사용 규칙

7. 말의 주요 범주 및 가치관과 특수한 상황변이어
1) 말에 대한 민간 명칭과 표현
2) 언어가치관 및 태도
3) 아기말
4) 짐승을 부르는 말
5) 의례어: 제사와 오방제
6) 인사말

8. 언어예술
1) 욕과 동물의 은유
2) 새의 종류와 울음소리
3) 노래와 우스갯소리
4) ‘옛말’과 관용적 표현
5) ‘옛날얘기’

제2장 청원(淸原)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의 과정

1. 지명

2.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Ⅰ
1) 바람, 비, 눈의 구분법
2) 흙, 밭, 논의 구분법
3) 작물의 구분법과 거름의 종류
4) 밥, 술, 떡, 장(醬)의 구분법
5) 소와 가축의 구분법
6) 금강의 민물고기와 여타 식용 생물
7) 질병의 토속 명칭

3.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II
1) 산에 대한 민간 지각
2) 야생 나물의 종류
3) 야생 열매 및 뿌리의 종류
4) 야생 버섯의 종류
5) 기타 식용 식물
6) 야생 나무의 구분법과 이용 방식
7) 약용의 야생 식물

‘서방 장승제’ 거행 장면
4. 생업의 언어적?문화적 지식
1) ‘닥나무 한지’의 제작 과정
2) 감과 대추 농사
3) ‘뉘에치기’
4) 벌의 구분법과 ‘벌치기’

5. 친척용어체계
1) 친척용어의 목록
2) 친척용어의 주요 특색
3) 친척 관련 어휘와 표현
4) 친척어휘의 형태 분화

6. 호칭체계
1) 지위 구분의 민속 모형
2) 의사친척호칭의 사용
3) ‘택호’ 호칭

7. 존댓말의 체계
1) 말단계의 조직과 관련 민간 명칭
2) 반말의 변이형과 특수 형태
3) 인칭대명사와 기타 존대 표현
4) 존댓말의 사용 규칙

8. 말의 주요 범주와 특수한 상황변이어
1) 말에 대한 민간 명칭과 표현
2) 아기말
3) 짐승을 부르는 말
4) 의례어: 제사와 탑제
5) 인사말

9. 언어예술
1) 욕과 동물의 은유
2) 새의 종류와 울음소리
3) 우스갯소리
4) 속담과 관용적 표현
5) 노래와 ‘옛날얘기’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