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
저자 : 정근식|강성현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6
ISBN : 9788952118134

책소개

한국전쟁을 미군 사진병의 시각과 사각死角으로 ‘보다’

사진은 역사와 사회에 관한 우리의 관념적 지식을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문화적 텍스트다. 사진은 늘 어떤 사회적 사실의 진정성을 보증하는 근거이자 과거의 기억을 생생하게 만들어 주지만, 동시에 특정한 시각에서 그것을 바라보도록 강제하는 이미지이기도 하다. 한국전쟁에 대한 우리의 기억도 마찬가지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한국전쟁은 65년이 지난 과거이지만 여전히 현재를 만들어 가는 힘을 재생산하는 기억의 원천이다. 그 중심에 전쟁사진들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책은 우리 기억 속에 자리 잡은 한국전쟁 사진들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탐구다. 대부분의 사진은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미군 사진부대의 사진병들이 찍은 것이다. 이 책에서 활용한 사진들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2관에서 조사 수집한 것이다. 이 사진들의 뒷장에는 누가 언제 무엇을 찍었는가에 관한 정보 등 사진의 생산 및 유통, 관리 정보가 함께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사진들에 관해 잘못 알려진 사실들을 바로잡고, 한국전쟁기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과 사진병들의 모습을 보다 선명하게 그릴 수 있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특정한 내러티브에 따라 스틸사진들을 배치하고 묶은 한국전쟁 사진집의 시각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우리’와 ‘그들’(적)이라는 이분법을 넘어 그동안 일반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전쟁 당시의 모습을 미국 사진병의 시각을 통해 보다 종합적인 시각에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전쟁 사진과 우리의 전쟁기억, 그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접근
이 책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지원으로 만들어진 통일학연구총서 30번째 결과물로서 한국전쟁의 사진자료, 특히 한국전쟁 참전 미군사진부대의 사진기록들을 중심으로 한 조사연구와 역사사회학적 접근을 통해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과 이미지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다. 저자는 한국전쟁의 기억이 어떻게 구성되었고 변화되었으며 국내외적 정치 환경이 그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한국전쟁의 스틸사진과 사진집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책에 실린 사진들은 주로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 소장된 자료로서 저자들이 현지에서 수집, 조사한 것이다.
이 책은 총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 전쟁기억과 사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2장에서 실제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미 육군통신대 사진부대의 조직과 사진활동을 기록했다. 3장에서 한국전쟁 초기 미군 사진병의 아군, 적군, 민간인에 대한 시선을 그들의 시각을 통해 분석하고, 4장에서는 미군이 촬영한 한국전쟁 사진에서 재현되는 두 가지 측면, 즉 ‘우리’에 대한 원조와 재건의 시각과 파괴와 학살이라는 사각(死角)을 분석했다. 마지막 5장에서 그동안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중국에서 출간된 다양한 한국전쟁 사진집의 시각을 분석하고 어떠한 변화가 발생했는지 다루고 있다.
전쟁사진은 서로 적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생산된 것이므로 어느 한쪽의 시각만을 보여 주기 때문에 다양한 자료들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 저자는 탈냉전이 진행되었음에도 여전히 중국이나 북한에 소장된 사진들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한 현실을 지적하고, 향후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생 발전하는 미래를 위해 한국 사회 내부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를 시야에 넣고 서로의 전쟁기억 재생산장치들을 비교,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한국전쟁의 기억과 이미지를 새롭게 바라보고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되며 앞으로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책속으로 추가 *

여기에서 우리는 주로 미국의 ‘시각’이 반영된 미군 사진병이 찍은 사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기 때문에 미국의 ‘사각’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미국의 사각을 보완할 수 있는 다른 시각의 사진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체로 한국전쟁에서 적대적 관계에 있던 중국과 북한의 시각이 미국의 사각에 대응하며, 이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책에서는 ‘그들’이라는 시각 차원에서 중국에서 출간된 한국전쟁 사진집의 시각을 다루었다. 중국 해방군화보사가 집성한 이 사진들은 중국인민지원군 군속사진가들이 찍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 당안관이나 군관계 사진 아카이브(Archive)가 거의 개방되지 않은 상황에서, 또한 중국군 사진대의 조직, 성원, 임무, 활동 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혀 없는 실정에서 중국의 한국전쟁 사진과 시각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에는 커다란 제약이 있다. 같은 이유로 북한이 찍은 한국전쟁 사진들도 다루지 못했으며, 접근하기조차 어려웠다. 다만 이 책에서 다룬 미군 포로들이 평양 시가지를 행진하는 모습과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찍은 사진은 북한 측 선전대 사진가가 찍은 것을 활용할 수 있었다. 이렇게 미군이 북한 지역을 점령해 가면서 노획한 (북한군이 생산한) 사진들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공산계열의 언론, 특히 동유럽 공산국가에서 발행되는 신문 · 잡지에 실린 한국전쟁 사진들 가운데에는 북한과 중국의 군속사진가들이 찍은 사진들이 다수 발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기적으로는 그들의 시각 분석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중국과 북한의 전쟁사진 아카이브가 개방되어야 이 문제가 완전히 해소될 것이다. (281쪽)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1장 사진과 전쟁기억
1 주기적으로 되살아나는 전쟁기억의 현재 ·1
2 전쟁사진과 기억의 정치 ·3
3 한국전쟁 사진과 전쟁사진가 ·6
4 사진 자료의 출처와 연구 방법 ·11

제2장 미 육군통신대 사진부대와 사진병의 활동
1 GHQ-FEC 사진부와 71통신대 A중대 사진대의 조직 ·20
2 전쟁사진 활동과 군 전쟁사진가의 시각 ·28
1) 턴불 병장 ·29
2) 행콕 일병과 댄젤 상병 ·36
3) 윈즐로 중위 ·44
3 167통신사진중대의 조직과 활동 ·51
I 주제+사진이야기 ① 정훈국 사진대의 활동과 시각 ·67

제3장 전쟁 초기 미군 사진병의 시각과 시선
1 우리: 오합지졸과 용맹함의 대비 ·73
1) 참전과 전진(1950년 7월 초·중순) ·73
2) ‘작전상 파괴’와 ‘기나긴 후퇴’: 미군의 지연전(7월 말) ·89
3) 일진일퇴의 총력전: 낙동강 방어전선(8월) ·98
4) 전쟁 스펙터클의 절정과 승리의 기록: 인천상륙과 서울수복(9월 말~10월) ·111
2 적: 잔악한 ‘전범’과 ‘전쟁포로’ ·123
1) 적의 잔학행위와 전쟁범죄 ·123
2) 전쟁포로 ·140
3 민간인: 국민과 비국민의 경계에서 ·148
1) 민간인과 포로 ·148
2) ‘자유피란민’과 ‘불순분자’ ·154
3) 애국자와 ‘부역자(附逆者)’ ·161
I 주제+사진이야기 ② 38선과 분단의 재현 ·166

제4장 시각화된 구원, 사각화된 파괴·학살
1 시각: 반공인도주의의 구원과 재건 신화의 재현 ·181
1)‘성공적인’ 서울 소개 ·182
2) 구호와 보건위생, 그리고 재건 ·190
2 사각: 아군의 파괴와 학살 ·206
1) ‘무차별 대량폭격’과 민간 피해 ·206
2) 민간인 학살: 보도연맹원, 정치범, 부역혐의자 학살 ·213
I 주제+사진이야기 ③ 총보다 많은 카메라 ·232

제5장 한국전쟁 사진의 집성과 시각의 변화
1 ‘우리가 본’ 한국전쟁 ·245
2 ‘그들이 본’ 한국전쟁 ·256
1) 미군 사진병의 시각 ·256
2) 외국의 민간 전쟁사진가의 시각 ·261
3) 중국의 시각 ·268
4) 북한의 시각 ·274
3 이분법을 넘어설 수 있는가 ·276

나오며 ·281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