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이란 도시 젊은이, 그들만의 세상 만들기 (국가의 감정 통제와 개인들의 자아 구성)
이란 도시 젊은이, 그들만의 세상 만들기 (국가의 감정 통제와 개인들의 자아 구성)
저자 : 구기연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7
ISBN : 9788952118691

책소개

변혁의 중심, 이란의 도시 젊은이들! 현대 이란사회에 대한 인류학적 심층 연구서

이 책은 제3세대라 불리는 오늘의 이란 도시 젊은이들이 이란사회의 전통적인 감정 구조와 이슬람 정권의 감정 통제 속에서 어떻게 자신들의 자아를 구성해 가는가 하는 물음의 답이다. 이란의 젊은 세대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시아 무슬림의 운명을 갖고 태어나며, 교육과 사회화를 통해 끊임없이 무슬림 키즈로 키워진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은 현 정부가 가장 경계하는 사회 체제를 뒤흔들 수 있는 세대로 인식된다. 전 지구화 현상의 가장 큰 수혜자인 젊은 세대는 새로운 문화 현상을 끊임없이 구성해 가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인 변화를 적극적으로 요구하며 ‘그들만의 세상’을 만들어 간다. 이 책은 개혁적 성향의 도시 중·상류층 젊은이들의 삶을 통해, 이란 젊은 세대의 국가에서의 위치, 전통적인 가치와의 관계,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 현실과 심리적인 사안 그리고 공사 영역에서의 상이한 자아 재현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제3세대 문화를 매개로 그려낸 이란사회의 문화 심리적 모델

이 책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신진학자저술지원사업’의 지원으로 만들어진 아시아 연구총서 모노그래프 시리즈 일곱 번째 결과물로서, 변화의 물결 속에 있는 현대 이란사회를 직접적인 현장조사와 도시 젊은이들의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인류학적 관점에서 풀어낸 연구서이다.
한국에서 이란 및 이슬람 국가의 개인들에 대한 연구를 접하기는 쉽지 않다. 이 책은 이란의 젊은이, 특히 세속적인 성향의 도시 젊은이들의 꿈과 이상, 그리고 갈등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저자는 지금까지 정치이데올로기나 이슬람 사상이라는 거대 담론에 파묻혀 가려져 있던 이란사회의 실생활을 가장 가까이에서 바라보고 있다. 불안한 사회 구조 안에서 개혁의 희망이자 동시에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어 개혁, 보수 논쟁의 중심에 놓여 있는 이란 젊은이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회화된 자아와 본능적인 자아가 충돌하는 지점을 살펴보고 정부위주의 강요된 이슬람 시민으로의 사회화가 어떤 불완전성을 가지는지 보여 준다.
중동과 이슬람 사회의 젊은 세대에 대한 연구는 아랍의 봄, 중동 민주화 시위와 같은 일련의 세계사적 흐름과도 연결되어 있다. 현대 무슬림 젊은이들은 정치 참여나 세대 갈등, 인권 문제 등 전 지구적인 담론들 그리고 뉴미디어와 기술 환경 등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자신들이 속한 사회, 종교 질서와 타협 또는 변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 새로운 세대에 대한 관심과 보다 다양한 연구는 이란뿐 아니라 중동, 이슬람권의 미래를 예측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제3세대 문화를 매개로 그려낸 이란사회의 문화 심리적 모델

이 책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신진학자저술지원사업’의 지원으로 만들어진 아시아 연구총서 모노그래프 시리즈 일곱 번째 결과물로서, 변화의 물결 속에 있는 현대 이란사회를 직접적인 현장조사와 도시 젊은이들의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인류학적 관점에서 풀어낸 연구서이다.

한국에서 이란 및 이슬람 국가의 개인들에 대한 연구를 접하기는 쉽지 않다. 이 책은 이란의 젊은이, 특히 세속적인 성향의 도시 젊은이들의 꿈과 이상, 그리고 갈등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저자는 지금까지 정치이데올로기나 이슬람 사상이라는 거대 담론에 파묻혀 가려져 있던 이란사회의 실생활을 가장 가까이에서 바라보고 있다. 불안한 사회 구조 안에서 개혁의 희망이자 동시에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어 개혁, 보수 논쟁의 중심에 놓여 있는 이란 젊은이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회화된 자아와 본능적인 자아가 충돌하는 지점을 살펴보고 정부위주의 강요된 이슬람 시민으로의 사회화가 어떤 불완전성을 가지는지 보여 준다.

중동과 이슬람 사회의 젊은 세대에 대한 연구는 아랍의 봄, 중동 민주화 시위와 같은 일련의 세계사적 흐름과도 연결되어 있다. 현대 무슬림 젊은이들은 정치 참여나 세대 갈등, 인권 문제 등 전 지구적인 담론들 그리고 뉴미디어와 기술 환경 등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자신들이 속한 사회, 종교 질서와 타협 또는 변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 새로운 세대에 대한 관심과 보다 다양한 연구는 이란뿐 아니라 중동, 이슬람권의 미래를 예측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펴내며

제1장 들어가며: 이란 제3세대란 누구인가?
1. 인구학적인 측면에서 본 제3세대
2. 도시 공간의 계급적, 문화적 함의
3. 인류학자 대 스파이

제2장 국가의 감정 통제와 상징의 유포
1. 공공 영역에서의 무슬림 시민 만들기: 이슬람 국가의 탄생
2. 선전예술을 통한 설득의 장으로서의 공적 공간
3. 끝나지 않는 전쟁: 영웅, 적, 순교자 그리고 신화
4. 공교육을 통해 배우는 자아의 개념: 무슬림 키즈의 탄생

제3장 불타버린 세대: 혁명 이후 세대의 자아
1. 제3세대의 사회적 위치와 정체성
1) 일자리 없는 젊은이들
2) 문화적 범죄자로서의 제3세대
2. 이란 도시 젊은이들의 자아, 감정, 일상적인 저항
1) 흔들리는 정체성
2) 욕망의 표출과 일상에서의 저항
3) 상징적 연행으로서의 히잡
4) 보호색으로서의 가면

제4장 .그들만의 세상 구축하기: 초국가적인 장(場)과의 조우
1. ‘나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뉴미디어의 역할
2. 국영 방송의 의미
3. 뉴테크놀로지와 인터넷의 수용
4. 위성 방송의 특성과 역할
5. 상상된 서구와 그리고 노스탤지어

제5장 자아 찾기를 위한 여정: 녹색운동을 중심으로
1. 초록색의 의미와 상징화 과정
2. 알라후 아크바르, ‘신(神)’을 찾는 사람들
1) 희망, 분노와 절망으로 되돌아오다
2) 녹색운동의 의미와 전망
3. 혁명 담론의 대항 담론으로서의 이슬람

제6장 나오며: 개혁의 희망, 이란 도시 젊은이들


참고문헌 / 찾아보기 / 문명총서 발간사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