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인문사회치의학 개론 (인간 사회 역사 그리고 치의학)
인문사회치의학 개론 (인간 사회 역사 그리고 치의학)
저자 : 김현덕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20
ISBN : 9788952129093

책소개

치의학을 인문사회적 관점에서
개론서 수준으로 정리하다

현재까지 인류의 인문사회적 관점에서 총괄적으로 정리된 치의학 연구업적이 보고되지 않아, 인문사회치의학은 아직 단편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류의 인문사회적 관점에서 치의학을 개론서 수준으로 정리하여 자연과학적 지식에 편향된 치의학이 인문사회적 치의학과 결합하여 바로 서는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치의학을 인문사회적 관점에서

개론서 수준으로 정리하다



현재까지 인류의 인문사회적 관점에서 총괄적으로 정리된 치의학 연구업적이 보고되지 않아, 인문사회치의학은 아직 단편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류의 인문사회적 관점에서 치의학을 개론서 수준으로 정리하여 자연과학적 지식에 편향된 치의학이 인문사회적 치의학과 결합하여 바로 서는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기

Ⅰ. 역사 속의 치과의료
1. 치과의사의 전문직화
이발-외과의사와 발치기술자
도제식 치과의사에서 전문직 치과의사로 치과대학 설립
치과대학 교육혁명
한국에서의 치과대학 설립
2. 파브리카와 가이타이신쇼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베이컨과 데카르트의 실험적 입증
갈레노스의 4체액설
파브리카
현미경과 세포
하비의 혈액순환설
일본의 가이타이신쇼와 란가쿠
3. 세균설 확립과 생의학 질병모형의 대두
세균설 확립과 파스퇴르
세균 질병설과 코흐
사회의학 및 세포병리학과 피르호
세포생물학
일본 현대의학과 기타사토
식민지 한국의학과 시가
구강 내 세균과 밀러
4. 산업화와 치과의료
아말감 전쟁
틀니 특허 분쟁
마취의 발견
치과용 드릴
치과용 주조법의 등장
레진과 임플란트
치아이식과 뼈이식
5. 전신건강과 구강건강
국소감염설과 무차별적 발치
국소감염설의 부활
치주병과 전신질환
치주염과 전신질환의 공통원인
6. 의사와 치과의사
치과의사와 구강의사
미국과 영국의 치과학 100년
한의학과 서양의학
의치 일원화 주장

Ⅱ. 철학 속의 치과의료
7. 사회발전과 질병모형의 역사
체액설
감염설과 세균론
생의학 임상모형
사회경제 모형
건강증진과 총체모형
8. 우식증 발생론
고대 충설에서 산업혁명 이후 세균설까지
밀러의 화학세균설과 그 이후
9. 구강병 발생의 과학적 접근
우식발생 주요 세균의 발견
충치는 유전인가? 환경적 감염인가?
충치예방제 개발 시도
10. 사회복지와 구강보건의료
정치경제체계와 구강보건의료
사회 및 국가와 구강보건의료
영국의 국가건강서비스와 구강보건의료
한국의 치과치료와 구강보건의료

Ⅲ. 사회 속의 치과의료
11. 우식증과 불소
갈색 치아와 사회적 문제인 우식치
불소 검출
불소로 우식치 문제 해결
불소국소도포법의 개발
12. 사회문화적 전통과 구강건강
스테판 곡선
당분과 우식의 연관성 연구
단 음식 통제와 우식 감소
설탕 대용 감미료
건강한 간식 섭취법
13. 공중구강보건사업
미국에서 전쟁과 구강건강
공중구강보건사업
국가우식증사업(NCP)
국립치과학연구소(NIDR)

Ⅳ. 대중 속의 치과의료
14. 임상치과학의 정립
치아보존과
악안면구강외과
치열교정과
공중구강보건과
치아보철과
치주과
소아치과
구강내과
영상치과
구강병리과
심미치과
스포츠 치과
15. 구강보건용품
잇솔의 대중화
치약(세치제)의 발전
이실과 사이솔: 잇몸병 예방
구강세정제의 등장
16. 치주병 예방과 관리
잇몸과 잇몸병
잇몸병과 세균
면역과 잇몸병
잇몸병 관리
17. 타액 진단과 건강
타액과 혈액, 소변
타액과 자가 신속진단
구강진료의 변화: 외과에서 내외과로
타액 진단의 적용: 암, 치매 등
타액은행
18. 미래의 구강보건의료
사회보장과 구강보건의료
유전체와 구강건강
구강보건행정
구강보건의 사회과학적 접근
남북통일과 치과학

나오기

참고문헌
그림출처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