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여성과 사회 (이디스 워튼 소설 연구)
여성과 사회 (이디스 워튼 소설 연구)
저자 : 정혜옥
출판사 : 동인
출판년 : 2020
ISBN : 9788955068313

책소개

워튼이 살던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는 산업과 경제 구조의 변화와 함께 여성의 입지가 급격한 변화를 겪은 시기였다. 수공업 시대에서 대량 생산 시대로 접어들면서, 집 밖으로 산업 현장이 이동해 집안에서 이루어지던 경제 활동을 남성과 공유했던 여성들은 이제 남자들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존재로 변화되었다. 가정 밖의 세계가 사실상 봉쇄된 당대의 중산층 여성들에게 결혼은 경제적 사회적 생존을 보장하는 유일한 선택이었다. 빠르게 상업화하는 사회에서 가정은 당대 지배적인 담론이 주장하는 ‘가정 바깥의 차가운 현실 세계에서 받는 고통을 치유할 수 있는 안식처나 안락함을 제공’하기보다는 비즈니스와 같은 거래가 이루어지는 현실 세계의 연장이었다. 워튼은 급변하는 시대에 경제 사회적인 거래로 더욱 변질되는 결혼 제도 내에서, 생존의 기반이 되는 남편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는 여성들의 비참한 처지를 냉정하게 드러낸다.

이 책에서 워튼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그리 행복하지 못한 결혼 양상들을 살펴보는 의의는 좀 더 행복한 결혼 생활, 그래서 더 나아가 좀 더 나은 삶을 가꾸어가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다. 또한 워튼이 집요하게 추적한 결혼과 얽힌 삶의 여러 양태가 지금 우리에게 의미가 있는 것은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의 삶에도 그런 문제와 갈등이 그대로 상존하기 때문일 것이다. 더군다나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초래한 전대미문의 사태까지 겹쳐서 출구 없는 막다른 곳에 갇혀 있다는 압박감에 시달리고 있는 지금 이 시대의 많은 사람들에게 출구를 모색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믿음에 있다. 여성의 입지가 아주 협소하면서도 취향이 대중화되는 시대에 ‘상류 사회 숙녀’ 출신 작가 워튼이 도태하지 않고 사회의 흐름에 앞서 나가기 위해 얼마나 고군분투했는지를 찾아보는 작업 역시 그녀가 우리에게 어떠한 삶의 자세를 요구하는지 다시 한 번 숙고해볼 일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워튼이 살던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는 산업과 경제 구조의 변화와 함께 여성의 입지가 급격한 변화를 겪은 시기였다. 수공업 시대에서 대량 생산 시대로 접어들면서, 집 밖으로 산업 현장이 이동해 집안에서 이루어지던 경제 활동을 남성과 공유했던 여성들은 이제 남자들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존재로 변화되었다. 가정 밖의 세계가 사실상 봉쇄된 당대의 중산층 여성들에게 결혼은 경제적 사회적 생존을 보장하는 유일한 선택이었다. 빠르게 상업화하는 사회에서 가정은 당대 지배적인 담론이 주장하는 ‘가정 바깥의 차가운 현실 세계에서 받는 고통을 치유할 수 있는 안식처나 안락함을 제공’하기보다는 비즈니스와 같은 거래가 이루어지는 현실 세계의 연장이었다. 워튼은 급변하는 시대에 경제 사회적인 거래로 더욱 변질되는 결혼 제도 내에서, 생존의 기반이 되는 남편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는 여성들의 비참한 처지를 냉정하게 드러낸다.

이 책에서 워튼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그리 행복하지 못한 결혼 양상들을 살펴보는 의의는 좀 더 행복한 결혼 생활, 그래서 더 나아가 좀 더 나은 삶을 가꾸어가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다. 또한 워튼이 집요하게 추적한 결혼과 얽힌 삶의 여러 양태가 지금 우리에게 의미가 있는 것은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의 삶에도 그런 문제와 갈등이 그대로 상존하기 때문일 것이다. 더군다나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초래한 전대미문의 사태까지 겹쳐서 출구 없는 막다른 곳에 갇혀 있다는 압박감에 시달리고 있는 지금 이 시대의 많은 사람들에게 출구를 모색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믿음에 있다. 여성의 입지가 아주 협소하면서도 취향이 대중화되는 시대에 ‘상류 사회 숙녀’ 출신 작가 워튼이 도태하지 않고 사회의 흐름에 앞서 나가기 위해 얼마나 고군분투했는지를 찾아보는 작업 역시 그녀가 우리에게 어떠한 삶의 자세를 요구하는지 다시 한 번 숙고해볼 일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며 / 4
작가소개 / 10

1부 사회와 결혼 제도의 덫
1장 결혼으로부터 도피: 『연락의 집』 / 17
2장 주거 공간과 여성의 독립: 『연락의 집』 / 48
3장 비즈니스로서의 결혼: 『그 지방의 관습』 / 80

2부 제도와의 타협과 출구 모색
4장 작가의 독립 선언: 『이썬 프롬』 / 107
5장 워튼의 출구 모색: 『여름』 / 129
6장 무엇이 암초인가?: 『암초』 / 147
7장 어머니의 지원과 여성의 독립: 『순수의 시대』 / 174

3부 대중문화와 작가
8장 대중문화와 워튼: 『그 지방의 관습』 / 211
9장 여성의 시각화, 대상화: 라파엘 전파와 세 편의 미국 소설 / 235

참고문헌 / 275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