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이광수 문학과 민족 담론
이광수 문학과 민족 담론
저자 : 김경미
출판사 : 역락
출판년 : 2011
ISBN : 9788955569056

책소개


식민지 문학사에서의 작가 이광수. 근대문학의 '트라우마'로 기억되고 있는 그의 문학과, 친일 지식인으로 해석되는 그에 대한 논의들은 과연 정당한가? 그에 대한 이러한 평가의 뿌리는 어디에서 찾아야 하며, 그가 조우한 식민지 근대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이 책에서 저자는 그가 살아온 시대의 굴곡만큼이나 다양하게 평가되고 있는 작가 이광수와 그의 문학에 대해 집중적인 분석과 재해석을 시도한다.

저자는 이광수가 자신의 삶과 문학을 대표하는 화두로 삼고 있는 '민족'담론이 식민주의 권력과 문화 그리고 다양한 담론들과 충돌하고 갈등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다양하고 미시적인 차이에 주목한다. 책에서는 그의 민족 담론이 작품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변모되고 전개되는지를 추적하며, 그것이 갖는 작품 내적인 의미와 당시의 문단에서 차지하는 위상 등을 면밀하게 들여다본다.

목차


제1부: 이광수 문학의 민족주의 담론의 양가성
제1장 이광수 문학과 민족 담론
1. 문학, 민족, 담론과의 상관관계
2. 식민주의 담론의 모방과 전유
제2장 식민주의 문명화 담론과 준비론
1. 문명과 야만의 논리, 그리고 물질문명
2. ‘정’의 문학과 식민주의 담론과의 균열
3. 동화주의 담론과의 차이와 준비론의 양가성
제3장 문화정치 기획과 문화 민족주의 담론
1. 반사회주의 담론과 문화 개조 담론
2. 「개조」에서 「민족개조론」으로의 이행과 ‘대중’
3. ‘사회적 개인’의 조직과 문화 민족주의 담론
제4장 ‘근대 초극론’으로의 전환과 원형적 민족주의
1. 내선일체의 이중성과 황민화론
2. 황민화 담론과의 차이와 원형적 민족주의
3. 계몽 서사의 역전 구조와 「국민문학」의 양가성
제5장 민족주의 담론과 토포스(topos)적 인식
1. 상황론적 논리와 토포스적 인식
2. 민족주의 담론의 양가성

제2부: 식민지 담론과 민족 서사
192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1. 역사 내러티브와 ‘문학’의 상동성
2. 1920년대 식민지 문화 담론과 역사 내러티브
3. 『단종애사』의 서사 전략과 민족주의 담론의 역학관계
1) 고증적 역사의 사실 효과와 민족 복원
2) 인물 초점화의 객관적 서술과 계몽성
3) 연재 방식의 흥미성 유발과 대중 독자 확보
4. 1920년대 역사 담론의 역할과 의미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1. 역사 내러티브와 기억의 재구성
2. 황민화 담론과 민족의 재편성으로서 역사 서사
3. 『세조대왕』의 서사 전략과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1) 역사적 개연성 확보와 공적 역사의 주변화
2) 기억의 선택과 배제를 통한 민족 담론의 굴절
4. 1940년대 이광수 역사 담론의 의미와 토포스(topos)적 인식
1920년대 전반기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문화 담론
1. 이광수 문화 담론과 근대 매체
2. 『개벽』의 담론 기획과 이광수의 문화 담론
1) 『개벽』의 문화 담론과 「민족개조론」
2) 계몽 기획과 의사소통의 원리
3. 『조선문단』의 문학 장 형성과 문화 담론의 수행
1) 문화 담론의 수행 공간으로서의 「문학강화」
2) 서사 텍스트의 전략과 독자 대중의 추종 원리
4. 1920년대 이광수 문화 담론의 지향점과 의미
1940년대 어문정책과 이광수의 이중어 글쓰기
1. 조선교육령과 이중어 글쓰기
2. 어문정책의 이중성과 이중 언어 사용의 모순
3. 이광수의 이중어 글쓰기의 양상
1) 이중 언어 병용의 의미와 ‘번역’의 확장
2) 일본어 소설의 서사이탈과 조선어의 ‘간섭’
4. 1940년대 이광수 이중어 글쓰기의 의미
해방기 이광수 문학의 기억 서사와 민족 담론의 양상
1. 해방기 문단과 기억 서사
2. 해방기 문단 형성과 ‘고백’의 전략
1) 문단의 재편성과 서술 방식의 변화
2) 기억의 재구성과 고백적 글쓰기
3. 해방기 소설의 서사 전략과 민족 담론의 양상
1) 신화적 기억과 국가 재건의 논리
2) 세태 비판과 민족(ethnic) 복원의 욕망
4. 해방기 이광수 문학과 ‘민족’

참고문헌
찾아보기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