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손혁의 투수 교과서 (마흔살까지 150km/h를 던지는 메이저리거들의 비결)
손혁의 투수 교과서 (마흔살까지 150km/h를 던지는 메이저리거들의 비결)
저자 : 손혁
출판사 : 북하우스엔
출판년 : 2013
ISBN : 9788956056425

책소개

메이저리거들의 강속구를 던지는 비결을 배우다!

마흔살까지 150km/h를 던지는 메이저리거들의 비결 『손혁의 투수교과서』. 전설적인 메이저리거들의 투구 폼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투수교과서이다. 저자가 미국에 와서 공부하고 느낀 내용을 최대한 쉽고 간략하게 전달하고자 했다. 동양인은 서양인의 투구 동작을 적용할 수 없다는 선입견 때문에 그러한 투구 동작을 하지 않았던 사람들에게 신체적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기에 충분히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며 부상 없이 오랫동안 빠른 공을 던지는 비결을 전수하고자 한다.

메이저리그 최정상급 투수들이었던 랜디 존슨, 페드로 마르티네즈, 그레그 매덕스 등 수백 명의 투구 폼을 연구한 결과 나타난 공통점을 9가지 투구 동작으로 정리하였고 한국야구계에서 잘못 가르치고 있는 투구동작 8가지를 뽑아 심층 분석하고 메이저리거들이 실제로 배우고 있는 투구 동작의 원리를 화보와 함께 제시하고 있다. 처음 야구를 시작하는 학생들과 투구 폼을 절실히 교정하기를 원하는 프로선수까지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랜디 존슨, 페드로 마르티네즈, 그레그 매덕스…

전설적인 메이저리거들의 투구 폼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한국 야구 최초의 투수교과서!



오랫동안 기다려온 책이었다. 부상 없이 빠른 공을 던지고 싶은 선수들이 꼭 읽어야 할 책.

-류현진(LA다저스 투수)



30년이 다 되어가는 한국 프로야구사에서 처음 체계적으로

정리된 투구 이론. 이 책에 거는 기대가 정말 크다.

-선동렬(기아타이거즈 감독)





랜디 존슨, 페드로 마르티네즈, 그레그 매덕스, 놀란 라이언, 로저 클레멘스…

전설적인 메이저리거들의 투구 폼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한국 야구 최초의 투수교과서!



『손혁의 투수교과서』는 6년 전 홀연히 야구계를 떠나 미국으로 갔던 저자 손혁이 미국 최고의 피칭 코치로 평가받아온 톰 하우스의 야구연구소에서 부상 없이 오랫동안 빠른 공을 던지는 비결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돌아와 쓴 책이다. 이 책에서는 한국야구계에서 잘못 가르치고 있는 투구동작 8가지를 뽑아 심층분석하고, 메이저리거들이 실제로 배우고 있는 투구 동작의 원리를 상세한 화보와 함께 제시하여 오랫동안 부상 없이 빠른 공을 던질 수 있는 투구법을 제안한다. 특히 유소년 등 아마추어야구에서 범할 수 있는 오류들을 잘 짚어주고 투수로서의 근력을 향상시키는 특별한 운동법 등을 저자가 직접 시범을 보이는 상세한 화보와 함께 수록하고 있어, 기본기를 배우는 유소년이나 사회인 야구인들의 투구 능력 향상에도 큰 도움을 주는 책이다.





[출판사 리뷰]



랜디 존슨, 페드로 마르티네즈, 그레그 매덕스, 놀란 라이언, 로저 클레멘스…

전설적인 메이저리거들의 투구 폼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한국 야구 최초의 투수교과서!



사회인야구든, 아마추어야구든, 프로야구든 각 팀에서 가장 해보고 싶은 포지션을 꼽으라면 투수가 압도적이다. 농구의 덩크슛처럼 150km/h의 빠른 공을 던지고 싶은 꿈은 아마 투수를 희망하는 사람들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빠른 공을 던져 타자를 삼진아웃시킬 때의 쾌감은 보는 사람이나 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야구의 묘미를 새삼 느끼게 해준다.



그런데 한국야구계에서 강속구를 던지는 투수치고 오랫동안 선수생활을 한 이는 거의 없었다. 150km/h가 넘는 강속구로 아마추어 야구계를 평정하고 화려하게 프로야구에 입문했던 투수들 중 팬들이 기억하는 이름은 극소수일 것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기본자세를 익혔다면 아마 많은 선수들이 오랫동안 프로야구에서 활약했을 것이고, 팬들이 기억하는 강속구 투수의 이름도 훨씬 많아졌을 것이다. 실제로 아마추어야구와 프로야구를 온 몸으로 경험했던 저자가 이 책을 통해서 강조하는 부분이 바로 정확하고 올바른 기본자세로 오랫동안 부상 없이 빠른 공을 던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국야구계에서 잘못 가르치고 있는 투구 동작 8가지

오랫동안 부상 없이 강속구를 던지는 비결



저자는 한국야구계에서 잘못 가르치고 있는 투구동작 8가지를 뽑아 심층분석하고, 메이저리거들이 실제로 배우고 있는 투구 동작의 원리를 상세한 화보와 함께 제시하여 오랫동안 부상 없이 빠른 공을 던질 수 있는 투구법을 제안한다.



<대표적인 투구 동작에 대한 편견 8가지>

01 투구 시 최적의 팔의 위치와 높이 그리고 각도가 존재한다

02 오른손 투수는 투수판의 오른쪽 끝을 밟고 왼손 투수는 투수판의 왼쪽 끝을 밟고 던져라

03 힘을 모으기 위해 다리를 든 후 잠시 멈추거나 완전히 멈추었다가 던져라

04 스트라이드가 떨어질 때 무릎과 발을 일직선으로 떨어지게 하라 그리고 스트라이드의 폭은 적절히 하라

05 버팀발로 투수판을 밟고 던지며 투수판을 밀고 나가라

06 던질 때 팔을 짧게 혹은 길게 회전해서 던져라

07 너무 어릴 때부터 변화구를 던지거나 많이 던지면 팔에 부상이 생긴다

08 공을 던질 때 글러브를 엉덩이나 가슴 쪽으로 당겨라



저자가 이 책에서 강조하는 투구동작의 핵심은 바로 올바른 균형과 자세를 유지하여 릴리스포인트를 최대한 앞으로 끌고나와 던지는 것이다. 높은 곳에서 아래로 내리찍듯 던진다든가, 온 힘을 팔과 어깨에 집중시키게 하는 기존의 투구동작으로는 공을 빠르게 던질 수도, 정확한 제구력을 지닐 수도 없다. 좌우로 치우침 없이 몸의 중심을 최대한 앞으로 끌고나와 타자 가까이에서 공을 뿌려야만 공의 스피드와 제구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상의 위험도 적어진다.



『손혁의 투수교과서』는 메이저리그 최정상급 투수들이었던 랜디 존슨, 페드로 마르티네즈, 그레그 매덕스 등 수백 명의 투구 폼을 연구한 결과 나타난 공통점을 9가지 투구 동작으로 정리하여, 처음 야구를 시작하는 학생들이나, 투구 폼을 절실히 교정하기를 원하는 프로선수까지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세세하게 설명해놓았다. 저자는 이 책을 메이저리그에 도전하는 야구 꿈나무들을 위해 썼다고 한다. 부디 이 책으로 탄탄한 기본기를 익혀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의 거름이 되기를 희망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기 전에
- 투구 동작에 대한 지금까지의 통념
- 균형과 자세
01 균형이 무너진 투구 동작 VS 균형 잡힌 투구 동작
02 놀란 라이언과 로저 클레멘스를 통해 본 균형 잡힌 투구 동작의 중요성
- 투구 동작 분석의 틀

01 와인드업과 퀵모션
- 와인드업
- 퀵모션

02 다리 들기와 엉덩이 밀기
- 다리 들기
- 엉덩이 밀기

03 스트라이드와 추진력
- 스트라이드

04 양팔의 대칭
- 양팔의 대칭

05 엉덩이와 어깨의 분리된 움직임 그리고 어깨 회전의 지연
- 엉덩이와 어깨의 분리된 움직임
- 어깨 회전의 지연

06 몸통의 움직임과 진행 경로
- 몸통의 움직임

07 글러브의 위치와 움직임
- 글러브의 위치
- 글러브의 올바른 움직임

08 릴리스포인트와 팔로스루
- 릴리스포인트
- 팔로스루

09 드래그라인
- 드래그라인

10 투구 동작 향상에 도움을 주는 훈련법
01 캐치볼
02 오렐 허샤이저 훈련법
03 로커스로 훈련법
04 무릎 꿇고 던지기
05 벽을 이용한 던지기
06 작은 타깃을 이용한 던지기
07 모자 맞히기
08 수건을 이용한 훈련법

11 구질의 종류와 공을 잡고 던지는 방법
01 패스트볼
02 브레이킹볼
03 러너, 싱커, 슈트
04 체인지업
05 스플리트핑거 패스트볼, 포크볼
06 너클볼, 팜볼
07 던지는 방법 총정리

12 글러브를 이용한 수신호
01 패스트볼
02 브레이킹볼
03 체인지업
04 스플리트핑거 패스트볼(포크볼, 너클볼, 팜볼)

13 투수를 위한 운동법
- 어깨 근력과 관절의 탄력을 기르는 운동 1-6
- 견갑골 붙이기
- 팔굽혀펴기

팔꿈치와 어깨 부상의 원인과 회복 방법
01 투구 수 / 02 팔꿈치 부상의 원인 / 03 어깨 부상의 원인 / 04 부상의 예방 /
05 근력 운동 / 06 얼음찜질 / 07 마사지 / 08 섭취 / 09 수면

책을 마치며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