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한국소설 텍스트의 시학(연세근대한국학 총서 53)
저자 : 박상준
출판사 : 소명출판
출판년 : 2009
ISBN : 9788956264318
책소개
1900년대에서 1950년대에 이르는 한국 근현대소설사의 주요 작품들에 대한 연구 성과를 모았다. 1부는 한국 근대소설과 우연의 문제 및 근대소설 연구 동향에 대한 비판적 제언을 담고 있다. 2부는 이인직, 이광수, 김동인, 염상섭, 최서해, 이상의 소설세계를 조명하는 6편의 논문을 모아 근대소설사를 이루는 여러 갈래 소설들의 특징을 심층적으로 살피고 있다. 3부는 채만식과 김동리 등을 대상으로 하여 해방에서 1950년대에 이르는 현대소설의 주제와 형식을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서는 소설작품의 서사구성 및 주제효과를 치밀하게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을 교정하고 보충하는 특징을 보인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_ 한국 근대소설의 시선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 및 분화와 우연의 구사 양상
1. 우연 연구의 의의와 방법
2. 근대소설 형성기의 우연-신소설과 『무정』
3. 리얼리즘소설의 우연-『삼대』의 경우
4. 모더니즘소설의 우연-「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의 경우
5.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 및 분화와 우연의 양상
「만세전」연구를 통해 본, 한국 근대문학 연구의 문제와 과제
1. 「만세전」 연구의 문제성
2. 「만세전」의 복합적·분열적 면모
3. 「만세전」론의 다섯 갈래와 대립의 의미
4. 연구 성과들의 분열상을 낳는 문제와 한계
5. 향후 「만세전」 연구에서 주목되는 문제들
6. ‘분화 경향’의 극복-한국 근대문학 연구의 과제
제2부 _ 식민지시대 소설의 지평
우연을 통해 본 이인직 신소설의 특징
1. 우연 분석의 필요성과 방법
2. 『혈의 누』를 통해 본 우연의 구사 양상 및 의미
3. 『귀의 성』, 『치악산』, 『은세계』의 경우
4. 이인직 소설에서의 우연 구사의 효과와 의미
역사 속의 비극적 개인과 계몽 의식 - 춘원 이광수의 1920년대 역사소설
1. 역사소설을 보는 문제
2. 텍스트 변용을 통한 주제 구현-춘원 역사소설의 초기 삼부작
3. 서사체의 연쇄 복합을 통한 인물사의 구축-비극적 역사소설을 통한 현실 환기
4. 1920년대 춘원 역사소설의 특징과 의의
환멸에서 풍속으로 이르는 길 - 「만세전」을 전후로 한 염상섭 소설의 변모 양상 논고
1. 1920년대 전반기 염상섭 소설문학을 보는 문제
2. 현실의 휘발, 내면의 전경화-초기 3부작의 선택
3. 현실과 현상, 내면과 심리의 변주-「만세전」 전후의 변화
4. 부르주아 개인의 역정-1920년대 전기 염상섭 소설의 의의
최서해 소설 연구 - 경제 문제 및 가족 범주 형상화의 변주
1. 문제 제기 및 연구사 검토
2. 신경향파기 소설의 다양성과 원리상 특징
3. 후기 소설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4. 『호외시대』와 ‘가족’ 범주의 공과
5. 맺음말
현실성과 소설의 양상 - 박종화, 심훈, 최서해의 1930년대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1. 대상 설정과 연구의 초점
2. 최서해의 경우-가족 단위 현실과 주제 표출의 맹목성
3. 심훈의 경우-부정적 현실과 긍정적 인물의 균열
4. 박종화의 경우-미분화(微分化)를 통한 현실의 무력화
5. 결어
잃어버린 정체성을 찾아서 - ‘외출-귀가’ 패턴 및 부부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본 「날개」
1. 「날개」를 찾아서
2. 외출의 양상과 서사의 추동력
3. 부부관계의 변화 양상
4. 소결 및 남는 문제
제3부 _ 현대소설의 주제와 형식
「민족의 죄인」과 고백의 전략 - 해방기 채만식 소설세계와 관련하여
1. 「민족의 죄인」의 문제적인 성격
2. 반성-변명의 이분법과 고백
3. 고백의 전략-대칭적 회상구조와 이원적 서술방식
4. 고백의 맥락에서 본 반성과 변명의 문제
5. 해방기 채만식 작품들의 의미망
6. 결론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적 구원의 문제
- 김동인의 「명문」 등과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를 중심으로
1. 기독교 문학 연구의 문제
2. 식민지시대 소설의 기독교 형상화와 김동인의 경우
3.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에 나타난 기독교적 구원 사상
4. 결론
1950년대 소설에서의 전통과 근대성
1. 1950년대 소설과 ‘전통-근대성’ 범주
2. ‘전통-근대성’의 길항관계 형상화
3. 부정적인 근대성의 폭로
4. 비근대적, 초역사적인 성향으로서의 전통적인 삶의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