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호토토기스의 변용 (일본과 한국에서의 텍스트의 번역)
호토토기스의 변용 (일본과 한국에서의 텍스트의 번역)
저자 : 권정희
출판사 : 소명출판
출판년 : 2011
ISBN : 9788956266176

책소개


도쿠토미 로카의 소설 『호토토기스』가 일본과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에 주목한 연구서로, 『호토토기스』 수용 담론의 변화와 다양한 장르의 텍스트로 번역되는 과정에 시선을 두고 있다. 1900년 간행된 『호토토기스』는 백만 부를 돌파한 메이지 시대 초유의 베스트셀러로 원작의 인기에 힘입어 시·각본·노래·영화 등으로 번역되었고, 원작을 모방한 속서가 속출하였다. 이 책에서는 원작과 원작에서 파생된 통속소설간의 상호 보완적인 수용과정을 입체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문단을 넘어 광범위한 대중독자로 확산된 『호토토기스』 현상을 미시적으로 분석했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 ‘호토토기스’란 무엇인가

제1절 ‘호토토기스’를 둘러싼 담론-‘통속’이란 무엇인가
제2절 『호토토기스[不如歸]』 담론의 변화-순문학과 통속문학의 분기
1) 『호토토기스[不如歸]』의 동시대평 / 2) 메이지 40년대-여성 독자층의 전유 / 3) 문제의 소재
제3절 『호토토기스[不如歸]』의 ‘번역’ 양상
1) ‘번역’이란 무엇인가 / 2) ‘번역서’와 ‘속서’

제1부 일본의 ‘호토토기스’의 변용

제1장 『호토토기스[不如歸]』의 탄생
제1절 ‘직분’ 우위의 구조
1) 『호토토기스』 의 성립 / 2) 메이지의 ‘직분’ 담론 / 3) 서사의 ‘직분’의 함의
제2절 ‘사랑’과 ‘직분’의 역학
1) 부부애의 강박 / 2) 「비연애(非戀愛)」론의 역설-‘연애의 정’ / ‘공명의 지[功名の志]’ / 3) ‘러브신’과 낭만적 상상력-‘직분’과 ‘사랑’의 이중 구속 / 4) 분열된 자아 표상
제3절 이에[家]-‘부모의 직분’
1) 화족의 두 가지 존재 방식-‘간상(奸商)’과 ‘천상인(天上人)’ / 2) ‘이에[家]’의 논리 / 3) ‘이에[家]’의 수사학 / 4) ‘처냐 부모냐’-국가의 대립 은폐의 장치
제4절 국가-‘이 직분의 길’
1) 전장·경계·무상감 / 2) 투신모티프-신주[心中]에서 전사(戰死)로 / 3) 구원 모티프-군인칙유의 교차 / 4) “남자에서 남자에게로”-남성의 정체성 형성

제2장 문자에서 소리[聲]로-『가정신시 호토토기스의 노래』
제1절 신문연재소설에서 서적으로-『소설 호토토기스』의 매체 전환
1) ‘신소설’에서 ‘소설’로-문자·삽화의 재구성 / 2) 동정의 표상-권두화의 성립 / 3) 『호토토기스』와 『자연과 인생』-숭고·자연
제2절 소설에서 시로-『가정신시 호토토기스의 노래』의 성립
1) “협의의 호토토기스의 시대” / 2) 서적 『가정신시 호토토기스의 노래』-‘음송’의 독서 / 3) ‘가정신시’의 등장
제3절 단란한 가정의 독서 풍경
1) 가정과 전쟁 / 2) 구연의 상상력-공동체의 기억 / 3) “피를 토하는 상념의 호토토기스”-부부상화(夫婦相和)
제4절 ‘국민의 소리[聲]’
1) 다케오의 변용-군신(軍神) 히로세 다케오의 이미지 교차 / 2) ‘소리[聲]’의 「호토토기스」-공동체의 노래 / 3) 전쟁의 서사시에서 哀歌로-‘기러기 소리[雁の聲]’

제3장 소설에서 각본으로-『각본 호토토기스』
제1절 신파 「호토토기스」
1) 『각본 호토토기스[脚本 不如歸]』의 성립
제2절 부부애의 변용
1) 부부애의 형해화-「(서막)이카호[伊香保] 교외의 고사리캐기」 / 2) ‘영원한 아내’의 욕망의 배제-「(삼막)즈시[逗子] 해안」
제3절 면죄의 구조
1) ‘이에[家]’논리의 변화-「(이막)가와시마[川島]댁 객실」 / 2) 결핵의 이미지 변화-「(육막) 그 하나, 야마나시[山梨] 정거장」 / 3) 전투 후의 변화-「육막 그 이, 사세호[佐世保]해군병원」
제4절 눈물의 공동체-「(대단원) 아오야마[靑山] 묘지」
1) 미망인의 부각 / 2) 유서·낭송·목소리 / 3) 개인의 ‘눈물’에서 공동체의 ‘눈물’로

제2부 식민지 조선의 ‘호토토기스’의 변용

제4장 연극 「불여귀」-‘웃음’에서 ‘눈물’로
제1절 연극 「불여귀」 수용의 전야
제2절 광고의 수사학-‘모방’의 가치 전도
제3절 ‘정극’/‘원조’-‘내지’의 권위 쟁탈
제4절 ‘취미’의 변화-‘가정비극’에서 ‘신성연애’로
1) 연애와 고부간 갈등의 병치-‘천연묘사’의 ‘필법’ / 2) 『불여귀』에서 『쌍옥루』로-‘신성연애’에서 ‘육욕연애’로

제5장 번역 『불여귀』의 탄생
제1절 『불여귀』 이전
1) 번안/번역의 역사 / 2) 『불여귀』의 선행 연구
제2절 『불여귀』의 성립
1) 서적으로서의 『불여귀』 / 2) 주체·법제·작용-번역 / 번안의 분절과 저작권 / 3) 지적재산의 소유와 저작자의 권리-번역/번안의 위치 / 4) 표지·삽화·의장-활자와 삽화의 역학
제3절 부부애 표상의 두 가지 방식
1) 『호토토기스』와 『두견성』 사이 / 2) 해변의 러브신-정사(情死)의 회피 / 3) 평양 대동강의 지정학적 상상력-육친애에서 부부애로 / 4) 모자의 대결 장면의 변주-고부간 갈등의 서사 / 5) ‘일장춘몽’의 상상력-죽음을 향한 신체 구성의 변용 / 6) 구원 모티프의 재구성-‘충’과 ‘효’의 재배치
제4절 번역의 중절-『불여귀』에서 『장한몽』으로
1) 원작의 재배치-중역의 회로 / 2) ‘조선것’으로의 전유 / 3) 서사의 편폭의 확장-메이지 ‘가정소설’과 서사의 변용 / 4) ‘새로운 감정’으로-『불여귀』에서 『무정』으로

제6장 근대 서사의 분기-『두견성』과 『불여귀』
제1절 언어의 전환과 서사의 분기
제2절 문체·표기·독자층
1) 언어의 편차와 구연성과 문자성의 역학 / 2) ‘아속절충체’의 번역-아속의 재배치
제3절 애정의 서사, 전쟁의 서사-哀歌의 표상과 전유
제4절 근대 서사의 향방-리얼리즘의 서사와 번안소설

결론 ‘호토토기스’란 무엇인가
부록 1-참고문헌 / 부록 2-구성 대조표 / 부록 3-호토토기스[不如歸]의 ‘속서’ 목록 / 부록 4-찾아보기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