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현대 이미지스트 시인 연구
한국 현대 이미지스트 시인 연구
저자 : 한영옥
출판사 : 푸른사상
출판년 : 2010
ISBN : 9788956407630

책소개


한국 현대 이미지스트의 계보를 읽는다 김춘수는 J. C. 랜섬이 분류한 바의 관념시, 사물시, 형이상학시를 거론하면서 관념을 되도록 피해 감각적 표현에 기량을 보인 우리 시사에서의 시편들을 ‘피지컬한 시’로 명명하며 그 계보를 그어 나갔다. 바로 여기에는 1920년대의 이장희를 선두로 하면서 1930년대 정지용, 김광균, 백석 그리고 이어서 박목월, 김종길, 전봉건, 김종삼, 조영서, 박용래, 김영태, 노향림이 그들의 시적 특성과 함께 나열된다. 1920년대로부터 1970년대까지의 이미지스트 계보가 두루 갖춰진 셈이라 하겠다. 『한국 현대 이미지스트 시인 연구』는 이미지의 현상학을 통해 본 1920년대의 이장희에서부터 정지용, 김광균, 장서언, 장만영, 박남수, 김종길, 김요섭, 조영서, 그리고 1970년대의 노향림에 이르기까지 한국 현대 이미지스트 시인들의 계보를 읽는데 초점을 맞추어 한국 현대 이미지즘의 위치와 시인들의 시사적 의의를 살펴보고 있다.

목차


머리말
한국 현대 이미지스트 시인 연구를 위한 개관

이장희론-감각화된 생의 의지

1. 서론
2. 이장희 시의 이미지 현상학
1) ‘하늘’의 이미지-상승과 초월
2) ‘모래’의 이미지-생의 슬픔
3) ‘저녁’과 ‘밤’의 이미지-비극의 경건성
4) ‘고양이’의 이미지-삶과 죽음의 포괄성
3. 결론

정지용론-산정으로 오른 정신

1. 서론
2. 현상학적 문예비평과 정지용의 시
3. 정지용 시의 상상력과 그 의미
1) 형태적 상상력과 고착된 공간
2) 물질적 상상력과 확장된 공간
3) 역동적 상상력과 초월의 공간
4. 결론
김광균론-‘차단-한 등불’의 감각

1. 서론
2. 제작의식으로서의 ‘형태의 사상성’
3. 주제의식
1) ‘사라지는 것’에의 연민
2) 자아와 세계와의 괴리감
3) ‘견고한 삶’에의 희구
4. 표현의 특성
1) 공간과 처소설정의 적확성
2) ‘차가움’의 시각화
3) 人事와 풍경의 교응
5. 결론

장서언론-탐미와 허무의 정서

1. 서론
2. 장서언 시의 주제와 방법
1) ‘同化’에의 열망
2) 절대세계의 환기
3) 生의 탐미와 허무의식
4) 감각의 화음
3. 결론

장만영론-풍물과 동심의 세계

1. 서론
2. 情景과 풍물 묘사의 구체성
1) 정경의 세밀화
2) 풍물의 세계
3. 다양한 형식과 미적 거리
1) 被話者의 설정
2) 대화체
3) 산문체
4. ‘어머니’와 ‘동심’의 세계
5. 결론

박남수론-상승과 하강의 변증법

1. 서론
2. 세부 감각과 구체성
3. 공기와 대지의 상상력
1) 공기의 상상력
2) 대지의 상상력
4. 결론

김종길론-초탈과 ‘슴슴함’의 기율

1. 서론
2. 김종길 시의 방법과 주제
1) ‘침묵’의 감각화
2) 미적 거리와 구체성
3) ‘슴슴함’과 초탈의 자세
4) ‘견딤’과 ‘높음’의 정신
3. 결론

김요섭론-‘빛’의 이미지와 대비의 구도

1. 서론
2. 대비와 융합의 상상력
1) 흰색과 붉은색의 대비와 융합
2) 수평과 수직적 세계의 대비와 융합
3. ‘빛’의 현상학
1) 생성과 영원성
2) 정신의 숭고성
4. 결론

조영서론-‘부재’의 전경화

1. 서론
2. ‘꽃’과 ‘과실’에의 탐미
3. ‘빛’의 사물화
4. ‘부재’의 전경화
5. 결론

노향림론-‘고통’의 건조한 외양

1. 서론
2. 공감각의 세밀화
3. 의인화 기법과 사물성의 응집
4. 氣化의 상상력과 소멸의 비극성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