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일심의 시학 도심의 미학
저자 : 정효구
출판사 : 푸른사상
출판년 : 2011
ISBN : 9788956408095
책소개
저자는 시를 포함한 예술과 문학연구를 포함한 학문과 일상을 포함한 우리의 삶이 '수행'의 한 과정이자 양식이기를 희망하며 이 책을 출간하였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논문과 현장비평이 중심을 이루는데 이들은 한결같이 근대적 사유와 시쓰기 방식을 넘어서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목차
책을 출간하며
제1부
일심(一心) 혹은 공심(空心)의 시적 기능에 관한 시론(試論)
─ 공감의 구조와 양상을 중심으로
1. 서론
2. 본론─공감의 구조와 그 양상
3. 결론
송욱 시에 나타난 자연과 생명― 도(道)의 의미와 작용을 중심으로
1. 서론
2. 도리(道理)에 대한 관심과 탐구
3. 도체(道體)의 환유인 자연과 생명
4. 결어
김지하 시의 음양론과 ‘치유’의 문제
1. 서론
2. 치유의 원리와 세계관
3. 결론
김지하의 시와 ‘흰 그늘의 미학’
1. ‘흰 그늘의 미학’과 김지하 시의 문제성
2. 김지하의 시에 구현된 ‘흰 그늘의 미학’
3. 결어―‘흰 그늘의 미학’이 지닌 의미와 의의
한용운의 『님의 침묵(沈默)』과
최승호의 『달마의 침묵』에 나타난 선(禪)의 세계
1. 서론
2. 선심(禪心), 선어(禪語) 그리고 시 텍스트
3. ‘님’, ‘달마’ 그리고 ‘침묵’
4. 주제와 선적(禪的) 수사학의 문제
5. 결어
제2부
일색(一色)의 상상력 혹은 무위행(無爲行)의 꿈
─ 생가(生家)에서 석가헌(夕佳軒)에 이르기까지-정진규론
1. 서론
2. 생가(生家)-밥-고향
3. 생신(生身)-공양(供養)-대지
4. 생리(生理)-양생(養生)-자연
5. 다시 생가(生家)-중생(重生)-우주
천진(天眞) 혹은 ‘나-너’의 상상력 ─ 오탁번의 시세계
1. 시작하며
2. ‘나-어머니’의 길
3. ‘나-애인’의 길
4. ‘나-자연(혹은 도인)’의 길
5. 마치며
고백 혹은 고해성사로서의 시쓰기 ─ 김종철론
1. 시선집과 핵심감정
2. 어머니의 빈 젖꼭지 빨기
3. ‘수녀님’에게 영세명 받기
4. 성부(聖父) 혹은 ‘신부(神父)님’에게 고해성사하기
5. ‘-습니다’ 체의 사용과 남는 문제
불의 시대에서 물의 시대로 ─ 장석주론1
1. 문제제기
2. 나는 졌다, 그러나 질 수가 없다
3. 나는 졌다, 그러므로 이길 수가 있었다
4. 마무리
오르내림의 언어, 드나듦의 자재(自在)함 ─ 장석주론2
가족적 상상력, 대모(大母)적 대부(大父)의 삶 ─ 김사인론
1. 글을 시작하며
2. 가족적 상상력 또는 가족 콤플렉스
3. 대모적 대부의 삶
4. 글을 마치며
비무장지대 의식 혹은 무장해제의 상상력 ─ 함민복론
1. 시작하며
2. 일가친척의 상상력
3. 자궁의 상상력
4. 흙과 물의 상상력
5. 방생(放生)의 상상력
6. 마치며
제3부
공기와 바람의 생태시학
─ 질료에서 우주적인 몸 혹은 구체(具體)가 되기까지
1. 지수화풍(地水火風) 4대(四大) 속의 공기 혹은 바람
2. 공(空)의 기운인 공기(空氣), 공(空)의 활구(活句)인 바람
3. 영기(靈氣)인 공기, 영활(靈活)로서의 바람
4. 시 속의 공기와 바람
‘자발적 가난’의 시학
설병위법(說病爲法 : 병을 법이라 설함)의 시
시어의 선택과 그 인식, 그리고 발전에 대하여
1. 시인들의 언어 선택
2. 시인들의 언어 인식
3. 시인들의 언어 발전을 기대하며
‘자아 진화사’의 근대적 자화상
1. 시작하며
2. 생식(生殖)이 멈춘 : 절망
3. 관계가 부재하는 : 단절
4. 주변을 맴도는 : 소외
5. 외부에 잠식된 : 상실
6. 애증이 교차하는 : 소망
7. 우주와 화해하는 : 열림/포용
8. 끝내며
노경(老境)의 안쪽, 시경(詩境)의 심층
1. 시작하며
2. 몸의 말, 육체의 언어
3. 시인과 시의 말
4. 인간의 말, 인류의 언어
5. 영혼의 말
생명의 언어, 지예(至藝)와 지도(至道)의 시
1. 글을 시작하며
2. 실체(實體) 없는 환영(幻影)의 실상(實相)
3. ‘참나’와 ‘참너’에 대한 갈망
4. 일심(一心)과 일체(一體)의 순간에 대한 소망
5. 진언(眞言)에 대한 갈망
6. 글을 마치며
전율, 비극적 황홀, 위반
1. 대사저인(大死底人)의 활인(活人)
2. 감동, 전율 그리고 법열
3. 동일성, 비동일성, 비극적 황홀
4. 위반과 순응
5. 마치며
우리시, 다시 태어나야만 한다
1. 자신을 ‘필터링’하라
2. 독자와 소통하라
3. 혜안(慧眼)으로 심연을 관(觀)하라
4. 혼을 넣어 헌신하라
5. 지성과 영성을 움직여라
-김수영의 비(非)발표시와 이어령의 신작시
시-인(因)과 연(緣)을 맑히고 밝히는 일
1. 정현종의 ‘글쓰기’
2. 최승자의 귀환
3. 이문재의 ‘기도’와 김남조의 ‘화해’
4. 신현정의 ‘춤’, 이규리의 ‘근원’, 고재종의 ‘조복기심(調伏其心)’
젊음의 시와 노년의 시
1. 신인에서 노년까지
2. 문제적인 젊은 시인들
3. 노년의 시와 시인들
4. 마무리
부활, 귀환, 마무리 ─ 김지하, 이윤택, 마종하의 경우
1. 김지하의 「새벽편지」 외 5편
2. 이윤택의 「노래」 외 14편
3. 마종하의 「이장근」 외 9편
발표지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