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일 근대문학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변용
한일 근대문학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변용
저자 : 명혜영
출판사 : 제이앤씨
출판년 : 2009
ISBN : 9788956687308

책소개

여성들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신여성에서 프롤레타리아 여성으로, 모던걸로, 그리고 종국에는 현대여성인 군국의 여성으로 그 섹슈얼리티의 변용을 거듭하며 살아왔다. 이 책은 근대 한국과 일본에서 발표된 문학 작품에 투영된 여성의 삶과 섹슈얼리티가 사회적·역사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규정되고 활용되는 모습을 재조명하고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일 근대 모더니즘계열 문학과 프롤레타리아 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비교문학적 측면에서 총체적으로 규명함과 동시에 근대 초기 한국 문학자들이 대부분 일본 유학을 경험한 점에 착안하여, 먼저 그들의 창작에서 나타난 일본과의 영향 관계를 살피고, 기왕의 연구에서 간과 되었거나 소홀히 다루었던 점을 규명하는 데 주력하여, 근대문학 속에 표상된 여성의 몸, 언어, 삶에 대한 묘사를 젠더와 섹슈얼리티 이론에 의거 분석 재조명, 정립하고자 했다.
첫째, 근대 초기에 유입된 로맨틱 러브의 수용과 전개, 그리고 그에 따른 한일 양국 사회의 반응.
둘째, 자본주의의 대두와 함께 탄생한 프롤레타리아 계급을 조명한 프로 문학 작품을 통해, 권력에 의한 성적착취와 콜론타이즘적인 성적유린을 문제적 시점에서 분석.
셋째, 모던걸의 등장과 그녀들의 성적일탈을 조명
아울러 전쟁 말기인 1940년대의 전쟁협력 작가로 알려진 한일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그들의 선택과 전략을 읽어내어 소통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서 론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선행연구
3. 연구방법

제2장 '로맨틱 러브'의 발견
제1절 '생명'을 위한 해방- '경희'와 '노부코(伸子)'의 주장 -
1. 창간사로 보는 '생명'
2. '인간답게'를 모토(motto)로
3. 어머니와 딸의 연대
제2절 '로맨틱 러브'의 수용-『자각』의 자립, '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의 순응 -
1. 로맨틱 러브의 이식
2. 결혼과 생활
3. '자유'의 구가
4. 남자들의 약속
제3절 '知'의 여자- '되돌아 볼 때'와 '행복(幸福)'의 의지 -
1. 로맨틱 러브의 전개
2. '知'적 여자가 선택한‘행복’
제4절 '질서화'되는 몸- '감자'와 '슬픔의 대가'의 정화 -
1. 이성애라는 장치
2. 욕망의 거세
3. 새로운 질서로

제3장 '계급'과 섹슈얼리티
제1절 '품위'있게 사는 것과 젠더 교점- '망명녀', '마치코'의 선택 -
1. 1920년대 여자들의 현주소
2. 품위 있는 삶
3. 또 하나의 연애와 결혼
4. 프로 여성으로의 시도 - '생명'
제2절 '性'의 정치- '여직공'과 '유방(乳房)'을 통해 -
1. 1930년대 여자들의 현주소
2. '性'의 역학 관계
3. 신여성에서 프로여성으로
제3절 여자의 '장소' 경험- '인간문제'와 '방랑기(放浪記)'의 시좌 -
1. '서언'에 드러난 2개의 전략
2. 섹슈얼리티의 표출
3. 여자의 '장소' 경험
제4절 '적빈'과 '벌거숭이 부락(裸の部落)'에나타난 ‘부성 상실’  
1. 1930년대 중반의 시공
2. 남자들의 응석 구조
3. 소통되지 않는 관계
제5절 프롤레타리아를 끝낸 부부- '원고료 이백원'과 '잇꽃(くれなゐ)'의 문제 -
1. 프롤레타리아 10년
2. 아내의 역할
3. 가장(家長)이라는 이름

제4장 '일탈'적 섹슈얼리티
제1절 '일탈Ⅰ'의 연애, '일탈Ⅱ'의 결혼- '현숙'과 '은빛 송어'를 통해 -
1. 모던걸의 섹슈얼리티
2. 새로운 사랑과 결혼
3. 性의 상품화
제2절 '일탈Ⅲ'의 불륜 - '고행(苦行)', '미련(未練)'을 중심으로 -
1. 가정과 불륜 사이
2. 소통하는 시스터훗(sisterhood)
제3절 여성의 창조적 삶과 낳는성- '산협'과 '한 송이 꽃(一本の花)'의 입장 -
1. 창조적인 삶
2. 여자들의 반역(反逆)
3. '생명'과 자식의 메타포
제4절 여성 섹슈얼리티의 타자화
- '엉겅퀴의 장(?の章)'의 '요부'와 '수양딸(娘分の女)'의 '악녀' 만들기 -
1. 자유로이 쓸 수 없었던 시대와 '國民文學'
2. '純'의 시점 - 純潔, 純血에 대해
3. 여성의 他者化 - '악녀'와 '요부'
4. '기센 여자'에 대한 언설
제5절 '부름' 받은 여자들
- '환영의 병사(幻の兵士)'와 '둔감'의 '응답' -
1. 1940년대 그들은
2. 두 개의 계절
3. 여자들의 '응답'
     
제5장 결 론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