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근대 연극과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
한국 근대 연극과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
저자 : 박영정
출판사 : 연극과인간
출판년 : 2007
ISBN : 9788957861981

책소개

이 책은 모두 크게 두 주제로 묶었다. 제1부의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사’는 조선프로극협회(1925)에서 카프동경지부 연극부(1927), 무산자극장(1929), 동경조선어극단(1931), 3·1극장(1932), 동경학생예술좌(1934), 고려극단(1934), 동경신연극연구회(1935), 조선예술좌(1935), 그리고 형상좌(1939)에 이르기까지 일본에서의 조선인 연극단체의 활동 역사를 시기별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제2부에는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이 국내 연극, 즉 한국 근대연극에 끼친 영향관계를 다루고 있는 네 편의 서로 다른 글을 하나로 엮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3

제1부 일제강점기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사

제1장 서론 11

제2장 형성기의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 18
1. 조선프로극협회 19
2. 조선프로예맹 동경지부 연극부 24
3. 무산자극장 41
4. 일본극단에서 활동한 조선인-홍해성과 유치진 54
5. 활동상의 특징과 연극사적 의의 63

제3장 전성기 1: 일본 프로연극단체로서의 활동 66
1. 재일본 조선인 문화운동 66
2. 동경조선어극단 84
3. 3·1극장 86
4. 고려극단 98

제4장 전성기 2: 일본 신극단체로서의 활동 105
1. 동경신연극연구회 105
2. 조선예술좌 107
3. 통합 조선예술좌 114

제5장 재일본 조선인 학생극운동 120
1. 동경학생예술좌 120
2. 형상좌 133

제6장 결론 136

제2부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과 국내 연극

조선예술좌의 국내 진출과 극단 조선연극협회 143
1. 머리말 143
2. 조선예술좌 ‘귀국파’와 조선연극협회의 창립 146
3. 연협 활동의 전개과정 156
4. 재동경 프롤레타리아 연극계 조선 진출 사건 171
5. 맺음말 176

슈프레히콜 양식의 국내 수용과 정착 180
1. 머리말 180
2. 개념 및 양식적 특성 183
3. 수용 및 정착 과정 186
4. 작품 개관 190
5. 맺음말 198

‘연극운동 사건’과 한·일 프로연극의 관계 200
1. 머리말 200
2. 신문기사로 재구성해 본 ‘연극운동사건’ 202
3. 한·일 프로연극의 교류와 연대 213
4. 맺음말 218

카프 연극부의 조직 변천에 관한 연구 220
1. 머리말 220
2. 카프 영화부와 신흥영화예술가동맹 223
3. 카프 연극부의 조직 변천 과정 231
4. 맺음말 254

부록

1. 일제강점기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 연표 259
2. 재일본 조선인 연극단체 규약 모음 275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