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북한 연극 / 희곡의 분석과 전망
북한 연극 / 희곡의 분석과 전망
저자 : 박영정
출판사 : 연극과인간
출판년 : 2007
ISBN : 9788957861998

책소개

북한 연극 및 희곡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제시하는 책. 오늘날의 북한 연극은 모두가 주체사실주의에 입각하여 만들어지는 이른바 '[성황당]식 혁명연극' 일색이다. 1978년 국립연극단의 [성황당] 공연의 성과를 본보기로 삼아 연극이 '따라 배우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1970년대 이래 주체사실주의에 기초하여 창작되고 공연된 연극과 희곡을 다루고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3



제1부 북한 연극의 원리와 희곡 세계



북한연극의 공연방식과 미학

1. 머리말 13

2. 북한연극의 공연방식 15

3. ‘연극혁명’과 ‘식’ 연극의 특성 23

4. 맺음말 36



1990년대 북한 희곡의 개관

1. 머리말 41

2. 1990년대 북한 연극의 흐름 43

3. 1990년대 북한 희곡의 전개양상 49

4. 맺음말 70



북한 경희극의 형성과 발전

1. 머리말 73

2. 경희극의 개념 76

3. 천리마시대의 경희극과 ‘인간 개조’ 81

4. ‘식 혁명연극’과 경희극의 대중성 85

5. ‘선군혁명문학예술’과 ‘혁명적 경희극’ 91

6. 맺음말 103



북한 문학사에 나타난 희곡사 서술의 양상

1. 머리말 107

2. '주체문학론'에 나타난 ‘유산과 전통’론 111

3. 류만의 '조선문학사'에 나타난 새로운 요소 117

4. 류만의 '조선문학사'에 나타난 희곡사 서술의 양상 124

5. 맺음말 132



제2부 혁명연극 으로 본 북한연극



혁명연극 으로 본 북한연극

1. 김정일 주도의 ‘연극혁명’과 ‘식 연극’의 성립 137

2. 의 주제와 장르 144

3. 의 희곡과 다장면 구성형식 151

4. 과 ‘흐름식 입체무대미술’ 160

5. 의 음악과 ‘방창’ 170

6. ‘식 연극’의 이론 178

7. 이후의 북한연극 188



제3부 북한의 공연예술과 공연공간



북한 공연예술의 역사와 장르

1. ‘주체문예’로서의 북한 공연예술 199

2. 북한공연예술의 역사 201

3. 북한 공연예술의 장르와 주요 작품 205

4. 북한 공연예술 특유의 형상 요소들 218

5. 주요 공연단체 224



북한 공연장의 구조와 규모

1. 북한의 문화시설과 공연장 233

2. 평양의 장르/단체 전용극장 237

3. 지방 주요도시의 대형극장 259

4. 북한 극장의 기능과 규모 268

5. 공연장 분야 남북교류의 전망 273



제4부 남북 공연예술 교류와 통일문화



남북 공연예술 교류의 흐름과 전망

1. 들어가는 말 279

2. 남북 공연예술 교류의 전개 과정 286

3. 남북 공연예술 교류의 특징과 문제점 295

4. 전망과 과제 302



분단문화의 극복과 통일문화에의 길

1. 상생과 공존의 문화를 향하여 307

2. 남북문화의 차이와 통일문화 311

3. 남북문화교류의 영역과 단계 315

4. 문화교류의 현단계와 과제 319

5. 통일문화로 가는 길 323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