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연극으로 사유하는 한국신화
연극으로 사유하는 한국신화
저자 : 김성희
출판사 : 연극과인간
출판년 : 2021
ISBN : 9788957867891

책소개


『연극으로 사유하는 한국신화』는 한국인의 정체성과 정서의 원형질을 이루는 한국신화를 깊이 있게 읽어보고, 또 그 신화가 오늘날 어떻게 해석되고, 무대 위에서 어떤 이야기로 새롭게 변형되고 재창조되었는지, ‘이야기’의 연속성과 차이를 비교해 읽어보려는 시도이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신화의 의미와 은유성, 그리고 신화가 시대적 간극을 넘어 현대의 우리 삶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어떻게 이 시대를 함축한 새로운 이야기를 파생시키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문화의 원형적 상상력과 한국인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한국신화가 이 시대의 새로운 이야기로 새롭게 재해석되고 재창조되었는지를 ‘상상력’과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어 읽어보려는 것이다. 하나의 이야기가 새로운 이야기들을 파생시키며 끊임없이 다양한 이야기들로 만들어지듯이, 신화 또한 세계 여러 나라의 신화들과 그 주제나 스토리텔링이 연결된다. 그래서 한국신화만이 아니라 비슷한 주제로 묶이는 세계 여러 나라의 신화들이나 이야기도 함께 읽어보려 한다. 또, 한국신화의 보고로 일컬어지는 『삼국유사』에 기술된 신화적/역사적 서사, 문화적 기억이 오늘의 연극에서 어떻게 재해석되고 새롭게 재창조 되었는지를 읽어볼 것이다. ‘현재와 과거의 대화’를 통해 신화의 원형적 삶과 오늘의 삶의 연속성과 차이, 인생의 여정과 통과 의례적 의미를 사유해 보고자 한다.

신화는 ‘근원적인 물음’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오래된 이야기이자 신성성을 가진 이야기이다. 김열규에 따르면 한국신화의 주요한 특성은 인본주의적이고 인간을 중심으로 삼는 것이다. 인간 사고의 두 극인 ‘나를 향한 내적인 성찰’과 ‘세계를 향한 외적인 관찰’이 담겨 있는 것이 한국신화이다. 신화가 세계와 인간의 기원부터 죽음, 죽음 이후까지 사유하고 있는 상상체계를 가진 것이라 했을 때, 이를 우리 인생 여정의 주요한 단계들과 인간이 추구하는 주요 주제, 한국인의 본질이란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고대 신화와 현대의 신화/연극 - 우주와 인간을 구성하는 것은 이야기다

제1부: 한국신화, 연극과 만나다

제1장. 존재
세계의 창조신화 / 한국의 창조신화 / 한국의 창조여신 신화 / 신화와 한국연극
1. 창조신화와 존재의 의미 찾기: 신화 「설문대할망과 500장군」과 연극 「동지섣달 꽃본 듯이」
2. 존재의 근원을 찾는 여행: 신화 「원천강본풀이」와 연극 「내일은 강」

제2장. 성장
1. 운명의 신에서 주체적 여성으로: 제주도 신화 「삼공본풀이」와 연극 「가믄장아기」
신화 「가믄장아기」: 길을 떠나는 여주인공 / 연극 「가믄장아기」: 개인의 성장에서 공동체의 성장으로
2. 가부장제 신화와 여성의 각성: 「가마」와 「남자충동」
바르트의 신화론: 이데올로기로서의 신화 / 가부장제 신화와 여성의 각성: 연극 「가마」 / ‘강한 남자’ 신화: 「남자충동」

제3장. 탐색
통과의례 / 영웅 신화의 서사 모델 ‘영웅의 여정(hero’s journey)’
1. 뱀신랑 설화와 연극 「지하생활자들」
뱀신랑 설화: 여성의 탐색 여행 / 연극 「지하생활자들」: 인간성의 타락과 구원
2. 게세르 신화와 연극 「칼집 속에 아버지」
바이칼의 게세르신화: 선악의 충돌 공간으로서의 세상 / 연극 「칼집 속에 아버지」: 악에 대한 사유와 내면으로의 여행

제4장. 사랑
사랑의 신화와 낭만적 사랑
1. 「춘향전」과 뮤지컬 「인당수 사랑가」: 사랑의 해피엔딩에서 비극적 사랑으로
「춘향전」의 신화적 구조 / 「인당수 사랑가」: 한국판 「로미오와 줄리엣」
2. 자청비: 사랑을 쟁취하는 여성, 농경여신이 되다
농경신 혹은 곡물의 신들 / 자청비 신화의 현대적 재창조

제5장. 시련
1. 결혼과 가족
가부장제도의 기원
2. 가족의 비극: 그리스 신화 오이디푸스와 비극 「오이디푸스왕」
3. 단군신화: 결혼이라는 통과의례와 ‘곰신화’
환웅과 신단수 / 곰신화, 인간과 곰의 결혼 / 곰나루 설화
4. 연극 「곰의 아내」와 「처의 감각」
5. 고난과 시련
「초공본풀이」: 시련을 통해 얻는 자기 구원과 치유

제6장. 죽음
1. 영생에 대한 욕망: 「길가메시 서사시」
2. 저승 여행: 「바리공주」 신화와 이난나 신화
여신 숭배사상과 이난나 신화 / 「바리공주」: 지모신 신화, 사랑과 구원의 여정 / 연극 「에비대왕」: 가부장제의 대 잇기 욕망
3. 사후세계
「문전본풀이」: 가신 신화 / 연극 「흉가에 볕들어라」: 무한히 반복되는 시간

제7장. 순환
1. 초월적 존재
「차사본풀이」: 저승차사가 된 강림이 / 드라마 「도깨비」: 불멸의 삶과 필멸의 삶
2. 환생
「변강쇠가」: 유랑 하층민의 삶과 원혼 / 연극 「오랑캐 여자 옹녀」: 존재의 순환성


제2부: 『삼국유사』, 연극과 만나다

삼국유사: 신화적 상상력과 이야기의 보고

제1장. 아름다움
1. 「수로부인」: 신들까지 사랑한 절세미인
신화적/문학적 관점: 수로부인은 누구인가 / 「헌화가」 / 「해가」와 「구지가」 / 역사적 관점과 신화적 관점의 통합적 해석
2. 연극 「꽃이다」: 신체적 아름다움을 넘어 정신적 아름다움으로

제2장. 조화
1. 「만파식적」: 조화와 화합을 불러오는 마술피리
신화적 해석 / 역사적 배경과 정치적 독해 / 제의적 독해
2. 연극 「만파식적 도난사건의 전말」: 권력 욕망과 조화
유사한 신화들

제3장. 욕망
1. 「낙산의 두 성인 관음과 정취, 그리고 조신」
의상 설화 / 원효 설화 / 조신 설화
2. 연극 「꿈」: 신화와 근대사를 교직한 다층적 서사
이광수의 소설 「꿈」의 설화 다시 쓰기 방식 / 신화와 소설의 변용

제4장. 꿈
1. 혜공왕 설화
2. 성덕대왕 신종, 에밀레종 설화
3. 연극 「남산에서 길을 잃다」: 시대의 소모품으로 추락한 꿈

제5장. 이상
1. 「도화녀 비형랑」: 역사와 신화의 결합
진지왕의 즉위와 폐위 / 진지왕의 혼령과 도화녀의 결연, 비형랑의 벽사신 좌정
2. 연극 「로맨티스트 죽이기」: 현실주의와 이상주의의 대립

제6장. 관용
1. 처용설화
신화학적, 민속학적 해석 / 역사학적 해석 / 「쿠쉬나메」: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 공주의 사랑을 그린 고대 페르시아 서사시 / 비교문화학적 해석
2. 처용설화를 모티브로 한 연극
「처용의 노래」 / 「처용 아바」 / 「나의 처용은 밤이면 양들을 사러 마켓에 간다」

제7장. 권력
1. 「김부대왕」
2. 역사에서 신화로, 신화에서 역사로: 김부대왕 설화
금강산의 마의태자 설화 / 김부대왕 설화
3. 연극 「멸」: 권력 욕망의 충돌

에필로그: 증식, 분열, 변모, 유동하는 이야기의 생명력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