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보육시설 운영관리
보육시설 운영관리
저자 : 이대균
출판사 : 양서원
출판년 : 2010
ISBN : 9788959646395

책소개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이원화 체제에서 그 차이를 비교하면서 내용을 전개함으로써 각 기관의 특징을 분명히 이해하도록 하는 데 역점을 두었으며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통합을 위한 방안 모색과 함께 유치원과 보육시설 간의 협력을 위한 노력을 소개하였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PART 01 유?보 이원화 체제의 이해

chapter 01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주요 차이점 이해
1. 설립자가 누구냐에 따라 기관의 유형이 다르다
2. 설립에 대한 법적 근거가 다르다
3. 감독 기관이 다르다
4. 교육 및 보육 내용이 다르다
5. 교육 및 보육 시간 및 수업 일수가 다르다
6. 대상 연령이 다르다
7. 한 학급당 정원이 다르다
8. 원비(교육비, 보육료)가 다르다
9. 교사의 자격 기준이 다르다
10. 상급 자격 획득 기준이 다르다
11. 급여 체계가 다르다
12. 경력 인정 제도가 다르다
13. 공간 구성이 다르다

chapter 02 유치원 교육과정과 보육시설 표준보육과정의 차이점 이해
1. 유치원 교육과정과 보육시설 표준보육과정의 차이
2. 유치원 교육과정과 보육시설 표준보육과정의 개편 방안

chapter 03 보육시설과 유치원 평가체제의 차이점 이해
1. 운영체계 비교
2. 평가지표 비교
3. 평가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의 역할과 자격 비교
4. 개선 방안 논의

chapter 04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통합 및 협력을 위한 노력의 이해
1.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통합 방안
2.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통합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
3. 유치원과 보육시설 협력을 위한 노력
4. 육아정책연구소(구, 육아정책개발센타)의 유?보 협력과 통합을 위한 노력

PART 02 보육정책의 변화 및 질 관리체제의 강화

chapter 05 보육정책의 변화
1. 1991~1994년 : 영유아보육법의 제정 및 제도 정착
2. 1995~1997년 : 보육시설의 획기적 확충
3. 1998~2003년 : 보육시설의 질적 성장을 추구
4. 2004년 ~ : 영유아보육법 전면 개정 및 재정 지원의 확충
5. 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6. 2010년 보육예산의 편성 현황

chapter 06 보육시설 질 관리체제의 강화
1.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필요성
2.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목적
3. 보육시설 평가의 근거
4.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절차
5.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지표

PART 03 보육시설의 설치와 건축

chapter 07 보육시설의 설치
1. 보육시설의 입지 조건
2. 보육시설의 설비 기준
3. 보육실의 면적 및 정원 산정 기준
4. 놀이터 종류 및 면적 산정 기준
5. 놀이기구 설치 기준
6. 보육시설의 비상재해 대비시설

chapter 08 보육시설 건축의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증진
1. 안전성 측면의 점검 사항
2. 편리성 측면의 점검 사항
3. 쾌적성 측면의 점검 사항

PART 04 보육시설의 효율적 운영 방안

chapter 09 보육시설 운영계획서 작성
1. 보육시설 운영계획서의 주요 목차
2. ¶o¶o 어린이집 운영 현황
3. 어린이집 운영방침
4. 보육과정 운영계획

chapter 10 보육시설의 예산 편성 및 회계 관리
1. 보육시설의 수입?지출 원칙
2. 보육시설의 예산 편성
3. 보육시설 예산 편성의 실제
4. 회계 관리

chapter 11 건강, 위생, 안전 관리 및 지도 점검
1. 건강관리
2. 급식관리
3. 위생관리
4. 안전관리
5. 아동학대 예방
6. 지도?점검

chapter 12 영유아 보육의 평가
1. 영유아 평가
2. 교사 평가
3. 교사와 부모가 함께 작성하고 교류하는 영유아 관찰기록지

PART 05 보육시설의 효율성 증진 방안

chapter 13 우수 보육시설의 특징
1. 보육환경 관리 측면
2. 보육과정 운영 측면
3. 교직원 관리 측면
4. 가정과의 연계 측면

chapter 14 팀티칭 제도의 운영
1. 짝꿍 선생님만 찾는 사람들 - 문제 발생 시 해결을 돕는 선험자의 손길/보고 배움으로써 해소되는 ??처음??의 막막함
2.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내 반 - 혼자가 아닌 우리, 반감되는 업무부담/정서적 후원자, 내 짝꿍!
3. 나를 지켜보는 부담스러운 시선
- 즉각적인 피드백, 늘 내 곁에 있는 멘토
4. 경력교사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팀티칭

chapter 15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원내 장학 지도
1. 어린이집 교사의 장학 경험의 내용
2. 어린이집 교사의 장학 경험의 의미

chapter 16 교육실습 기간 중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수업의 특징
1. 수업 유형별 수업목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2. 수업 유형별 수업의 절차를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3. 유아들의 발달적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었다
4. 수업 자료와 매체 사용에 대해서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5. 적절한 발문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6. 전체 유아를 집중시키지 못하고 일부 유아들하고만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7. 적절한 수업 자료를 준비하지 못하여 수업 진행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8. 재미있고 역동적인 수업을 연출하는 데 어려움이 나타났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